이병일 목사
(Photo : 이병일 목사)

한국교회의 특성상에 다른 모든 사역과 같이 남성 사역도 담임목사님의 절대적인 지지가 없이는 시작하기가 힘든 것은 현실입니다.

특별히 한국 교회는 많은 사역 및 프로그램을 통해 성도들에게 주님을 더 알아가는 계기가 되도록 기회를 제공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역들의 진행을 위해 다수의 부 사역자님들과 평신도 사역자들의 헌신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 모든 사역을 감당 할 수 있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그들에게 이러한 과중된 사역들이 단순히 또 다른 일로 취급되어 기쁨이 없이 자신의 의지로만 사역이 진행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서서 말씀드린 이동원, 오정현 두 분의 목사님을 통해 ‘뜨거운 감자’로 그리고 “혈관 수술의 Golden Time” 으로 표현되고 있는 남성 사역은 시작서부터 구별 되어야 하는 성육신적인 사역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이 땅에 우리의 구원을 위해 인간의 몸으로 오셔야 했던 희생 그리고 인간의 몸으로 오신 예수님의 십자가의 희생을 통한 우리의 구원의 역사와 동일한 과정이 바로 이 남성 사역이기 때문입니다.

교회 안과 밖에서 남자들이 그리스도의 헌신된 제자의 삶을 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주님이 그들을 만나 주시고 남자들에 가슴에 예수의 두 글자가 새겨지므로 이 남자들을 통하여 일어나는 교회와 가정과 사회의 변화야 말로 감이 상상을 초월하는 주님의 작품이 될 것 입니다.

그러나 남성 사역을 시작 하려면 동반되야 하는 몇가지 중요한 사실을 인지 하여야 됩니다. 대부분의 목회자나 리더들이 남자인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이 수술의 시작은 바로 우리들 목회자를 비롯한 교회의 리더들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우리들의 현실을 보면 실상은 목사님들이나 교회 리더 그룹들은 외롭고 고립되어 있으며 주님께서 우리와 항상 같이하시지만 일상 생활에서 마음을 열고 삶의 주어지는 현실을 믿고 나눌 수 있는 믿음의 친구나 Mentor가 없으므로 너무도 외로운 여정을 걷고 있을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인과 미국 교회를 다 경험하면서 목회자와 리더 그룹의 만남에서 큰 차이를 경험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한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체면 문화의 영향도 있겠지만 미국인들의 모임이 진지하고 솔직하였다면 우리들의 모임은 무언가 그저 서로가 겉돌다 혜어지는 느낌으로 돌아선 경우가 있습니다

남자들의 마음을 열기 위해서는 나와 지금이야기 하는 나의 상대가 진실을 말하고 있다는 확신이 필요합니다. 나에게 자신의 진실을 말하고 있는 사람에게 나도 나의 마음을 열기 시작 합니다.

Promise Keeper’s의 공동 설립자면서 Building Brothers를 설립한 Dan Schaffer목사님은 Relational Discipleship (관계를 통한 제자 훈련)을 통한 남성 사역에 헌신 한 분이며 그의 Effective Man’s Ministry라는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합니다. “많은 목회자들은 자신의 방어막을 제거하고 솔직하게 나아가면 자신의 안전 지대가 위협을 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이들은 성도나 다른 남성들에게 자신의 실패와 고민을 실제로 알게 되면 자신의 리더십을 잃을 것이란 두려움 안에 있지만 이것은 진리에서 벗어나는 생각이며, 현대의 젊은 남자 성도들은 자신의 목회자도 자신이 매일 접하는 도전을 똑같이 접하고 살아가는 평범한 인간임을 알고 싶어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영적 성장을 도와 주며 동행 하는 목회자들이나 교회 리더들은 이러한 고난의 여정을 어떻게 믿음으로 극복해 가는지를 알고 싶어 하는 강한 열망이 있습니다. MIM 의 설립자인 Patrick Morley 는 새로 발간된 ‘My Journey’라는 소그룹교제를 통해 우리 안에 있는 삶의 문제들은 성경, 소그룹, 그리고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을 통하여 90% 이상 해결 된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목사들은 남성들과 일대일과 소그룹 제자화 사역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너무도 잘 알지만 이 사역이 특별히 남성 목사님들 본인으로부터 적용이 시작 되어야 한다는 적지 않은 부담이 있고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예배와 말씀준비 그리고 이 남성 사역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에너지와 희생에 비해 신속한 결과를 볼 수 없다는 효율성을 비교하며 계속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제자화는 내가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떠나 나와 그리스도 그분과의 관계로부터 시작되어 나와 내가 같이 갈 수 있는 나의 믿음의 친구들 과의 그리스도 안에서 이어지는 제자의 여정안에서 조금씩 이루어 지는 것 입니다.

이 ‘나의 삶의 여정’ 남성 소그룹 교재의 가장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먼저 담임 목사님과 시무 장로님들이나 평신도 리더들이 같이 작은 소그룹을 형성 하시어 목사님 주관으로 매주 아니면 격주로 같이 모여 Chapter 마다 주어지는 3가지의 목표를 이해 하고 같이 참여하시는 남성들이 각 목표에 따르는 3가지의 질문의 각자의 준비해온 답을 나누고 해당 Chapter 에서 각자에게 성경이 주신마음과 자신의 삶의 부분에서 해당 되는 부분을 같이 나누면서 결론과 개인적인 성찰과 기도로 마무리 합니다.

이 과정을 유지하면서 구성원 각자가 준비 되는 대로 평신도 small group 을 구성 하여 그 그룹을 인도 해 나가시면 됩니다. 각 그룹의 리더들은 준비 되는 대로 저희 MIM staff 들과 그룹을 인도하는 남성 사역의 전문적인 방법과 그룹 형성과 유지 그리고 지속성에 관한 연구를 같이 하게 됩니다.

다음번에는 쉽지는 않지만 남성 소그룹의 형성과 운영에 대한 MIM 의 오랜 경험과 주님이 주시는 지혜들을 같이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