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리는 자신의 신학 방법을 제시하는데 관심을 별로 두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웨슬리를 연구하는 신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한다.  내가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배운 웨슬리와 Dallas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배운 웨슬리가 상이한 이유도 이 때문인듯 하다.  자신의 신학 방법을 정확하게 제시한 칼 바르트를 연구하는 신학자들도 서로 상치하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웨슬리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치할 날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는 중에도 웨슬리의 연구에 입이 모아지는 부분이 몇개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웨슬리안 사변형(Wesleyan Quadrilateral)이다.  웨슬리안 사변형이란 웨슬리의 신학이 (1) 이성, (2) 경험, (3) 전통, (4) 말씀의 네 가지 틀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그렇다고 해서 웨슬리가 네 가지의 틀에 동일한 권위를 부여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웨슬리는 항상 성경을 최종 권위로 두고 세상을 해석했으며, 성경이 계시하지 않는 부분만 이성, 경험, 전통을 상호 보완적인 보충적 권위로 사용하며 세상을 바라보려 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보충적 권위란 성경의 사유를 벗어난 해탈적 권위가 아니라 성경의 사유를 벗어나지 않는 제한적 권위임도 알아야 한다.  즉 웨슬리는 말씀으로 이성, 경험, 전통을 통제하며 그의 신학적 사유를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다.

최근에 웨슬리의 신학을 재조명하여 웨슬리안 사변형(Wesleyan Quadrilateral)을 새롭게 도표화한 신학자가 있다.  Barry L. Callen이다.  아래를 보라.

Presentation1

<Barry L. Callen가 도표화한 Wesleyan Quadrilateral>

Barry Callen가 그린 도표는 다른 웨슬리안 신학자가 그린 도표들과 사뭇 다르다.  그는 (1) 이성과 경험과 전통 사이에 서로 오가는 화살표를 넣음으로 이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다는 웨슬리의 사유를 전달하고 있고, (2) 이성, 경험, 전통으로부터 말씀을 향해 각각 뻗어나가는 화살표는 가늘게 그린 반면 말씀으로부터 각각의 보충적 권위들에게 뻗어나가는 화살표는 굵게 그림으로 네 개의 권위는 서로 교통하나 성경이 이성, 경험, 전통을 절대적으로 통제한다는 웨슬리의 사유를 전달하고 있으며, (3) 끝으로 웨슬리안의 사변형 안에 성령님을 넣음으로 성령님의 도우심 없이는 (1)과 (2)의 과정이 일어날 수 없다는 웨슬리의 사유를 전달하고 있다. 내가 지금까지 봤던 사변형 중에서 가장 자세하고 정확하게 웨슬리의 신학을 표현했다고 생각된다.

나는 작금의 교회가 필수적으로 기억해야 할 것이 웨슬리안의 사변형(Wesleyan Quadrilateral)이라고 생각한다.  얼마나 많은 교회가 말씀을 최고의 권위로 두지 않고, 이성이나 경험이나 전통을 말씀의 자리에 두고 있는가?  우리의 주변을 한 번 둘러보라.  이성을 말씀 위에 두는 교회는 성경이 증거하는 신비로운 일까지도 차갑게 무시하는 합리론자들을 배출하고, 경험을 말씀 위에 두는 교회는 성경이 경계하라는 신비한 현상까지 맹목적으로 따르는 신비주의자들을 배출하며, 전통을 말씀 위에 두는 교회는 성경이 멀리하라는 전통까지 분별없이 받아들이는 전통주의자들을 배출하고 있다.  그 결과 사회는 교회로 인해 더 병들기 시작했다.  정말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감사한 일이 하나 있다. 이런 교회가 옳지 않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젊은이들이 바른 교회를 만들자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이를 위한 대안들까지 봇물 터지듯 내놓고 있다는 것이다. 혹자는 목사가 직장을 잡아야 한다고 말하고, 혹자는 교회의 크기를 작게 해야 한다고 말하며, 혹자는 목사의 세습을 막아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교회를 사랑하기에 나온 제안들이고, 아주 틀린 말도 아니다. 그러나 본질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교회를 회복시키는 본질적인 해결책은 말씀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교회는 말씀 위에 세워지고, 말씀을 통해 성숙하며, 말씀에 의해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돌아간 후에 교회가 너무 커지면 분리 개척을 하면 되고, 성도가 적게 모이면 목사가 나가서 일하면 되고, 좋은 후임자가 준비되면 그에게 교회를 맡기면 된다. 말씀으로 돌아가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런 종류의 제안들을 내놓는 것은 순서가 아니다.

나는 목사다. 지금은 학업을 위해 담임 목회를 중단했지만 하나님께서 당신의 때에 다시 불러주실 것을 안다. 그 때 말씀을 사랑하는 성도들과 함께 오손도손 둘러앉아 웨슬리안의 사변형이 제시하는 목회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말씀으로 세워지는 목회. 말씀으로 이성과 경험과 전통을 다스리는 목회. 그래서 말씀이신 예수님께서 주인되시는 목회. 그런 목회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