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가장 큰 사명' 52%가 '영혼구원'
전도하지 않는 이유 "더 시급한 게 많아서"
'전도하여 출석시킨 경험' 26% → 15%

한국교회 담임목회자들이 교회의 가장 큰 사명으로 '영혼구원'을 생각하는 것에 비해 전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 이하 목데연)가 예장 통합 총회 소속 417명의 담임목사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8일부터 올해 3월 22일까지 조사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담임목사들에게 '교회에 가장 큰 사명은 무엇인가'를 물었을 때 절반 이상인 52%가 영혼구원을 답했다. 하나님 나라 구현(24%), 예배(20%), 제자화(3%)가 뒤를 이었다.

그렇다면 '목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일까. 대다수는 예배(87%)를 꼽았고, 이어 전도(국내) 6%, 지역사회 봉사 3%, 교육 2%, 등의 순이었다. 

앞서 교회의 사명으로서 '영혼 구원'을 압도적으로 꼽은 것과 비교하면, '전도'를 중요하다 꼽은 비율은 이에 크게 못 미친 점이 대비된다.

교회 전체 예산 중 전도 관련 비중은 평균 11%였고, 교회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소형교회가 대형교회 대비 보다 전도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였다.

설교에서 전도에 대한 내용을 얼마나 언급하는지 물은 결과, '월 1회 이상' 언급하는 비율이 55%였고, 2~3개월 1회 26%, 4~6개월 1회 14% 등의 순으로, 절반 가까이(45%)는 설교 시 전도를 월 1회도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의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23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신앙의식' 보고서에 따르면, 교회 출석자 대상으로 '전도하여 출석시킨 경험'의 10여 년간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12년 26%에서 2023년 15%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교인들이 전도에 '매우 관심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목회자의 설교 시 전도 언급 비중이 높을수록 높은 특징을 보였다. '월 1회 이상' 설교 시 전도를 언급하는 경우 '매우 관심 있다' 응답률이 30%인 데 반해 '4개월 1회 이하'는 10%였다.

목회자에게 시무 교회에서 전도에 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는지를 물은 결과, '하고 있음'이 54%로 '하지 않고 있음'(46%)보다는 약간 더 높았다. 전도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비율은 교회 규모가 클수록 크게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전도 교육/훈련을 하지 않은 목회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전도 교육/훈련보다 더 시급한 것들이 많아서'가 2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전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몰라서' 23%, '성도들이 전도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 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도에 의해 교회 출석한 자 중 초신자의 비율은 29%로 10명 중 3명이 '신앙 경험이 없는 자'였고, 반대로 71%는 수평이동자였다. 목데연은 "전도는 교회의 가장 큰 사명이자 한국교회의 미래와도 직결되지만 목회자의 관심과 교인의 실행이 사명만큼 못 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교회 내 소그룹을 활성화하여 소그룹이 전도의 거점이 되도록 목회 방향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