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영향력을 악용한 일부 네티즌들의 도를 넘는 장난이 사회문제로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유명인의 사망설 등 루머와 괴담을 퍼뜨리는 수단으로 잇따라 악용되면서 자정기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6일 오전 한 누리꾼이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1보> 강호동 자택에서 숨쉰 채 발견'이라는 글을 게시하는 바람에 강호동 사망설이 주요 포털사이트 인기검색어 상위에 오르는 등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퍼졌다.


일반적으로 자살 또는 변사 기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숨진 채 발견'이라는 문구를 차용해 '진'자 하나만 '쉰'으로 바꿔 이른바 '착시효과'를 노린 이 글로 인해 강호동은 졸지에 사망설에 휘말린 것이다.


앞서 지난 14일 가수 이효리가 '(속보) 톱스타 이효리 자택 안방서 숨쉰채 발견?'이라는 글로 인해 사망설에 휩싸였고, 급기야 당사자인 이효리가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남겨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다음날인 15일에도 재벌그룹 총수 사망설이 난데없이 올라와 인터넷이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트위터를 이용한 이런 류의 장난은 지난 9일 여의도 증권가에서 SK 최태원 회장의 사망설에서 비롯됐다.


선물투자 보전의혹 등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SK 최태원 회장이 역시 '숨쉰 채 발견됐다'는 메시지가 증권가에서 두루 사용되는 메신저를 통해 왜곡된 채로 무차별 확산됐고 한때 증시까지 출렁이게 만드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식의 무분별한 사망설 유포가 당사자나 가족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단순 재미를 위해 유포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도덕불감증과 생명경시 풍조를 반영한 것이 아니겠냐는 해석과 함께 "자신의 언행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