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시설을 겨냥해 벙커버스터 폭탄을 투하한 이후, 미국 본토 내 테러 위협에 대한 경계가 크게 강화됐다. 

미국 NBC 방송은 24일,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연방수사국(FBI)이 이란의 잠재적인 보복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대테러 인력 일부를 기존 이민 단속 업무에서 본래 임무로 복귀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중 다수는 국가안보 분야에 특화된 요원들로 구성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FBI는 행정부의 강경한 반이민 기조에 따라 국토안보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 활동을 지원하며 일부 대테러 요원들을 이민 업무에 전환 배치해왔다. 이는 FBI의 본래 임무와는 거리가 있어 논란이 되었고, 국가안보 대응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꾸준히 제기됐다. 

그러나 이달 초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과 그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이 이어지면서, FBI 내부 분위기는 급격히 바뀌었다. 돈 홀스티드 FBI 대테러 부국장은 지난주, 이민 단속에 투입됐던 요원들에게 본래 임무로 복귀하라는 지시를 내렸으며, 이는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직접 타격한 시점과 맞물려 있었다. 

NBC는 이 같은 조치가 미국 본토 내 테러 위협, 특히 이란과 연계된 '슬리퍼 셀(sleeper cell)'의 활동 가능성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내려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미 정부는 이란이 표면적으로는 대응을 종료한 듯 보이지만, 대리 세력을 통한 추가 보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에 대해 보도하며, 국토안보부가 FBI와 함께 최근 콘퍼런스콜을 통해 미국 각 주와 지방 당국에 강화된 경계 태세를 유지하도록 당부했다고 전했다. 국토안보부는 이란과의 충돌 이후 미국 내 보안 위협이 높아졌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주말 사이 미국 전역에서 이란 국적자 11명을 이민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다. 체포된 인물들 중에는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와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인물과, 이란군 저격수 출신의 요원도 포함돼 있었다고 WSJ는 보도했다. 

한편, 이란은 미국의 핵시설 공습에 대한 대응으로 카타르에 위치한 미군기지를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실제 피해는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외형상 대응을 마친 것으로 보이더라도, 여전히 대리 세력을 통한 산발적인 테러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