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되면서 중국이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시행했다. 중국 정부는 10일 0시를 기점으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앞서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4일 공고를 통해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초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부터 중국이 펜타닐 대응에 미흡했다는 이유로 추가 10% 관세를 부과했다. 

이번에 중국이 추가로 부과한 관세 대상은 미국산 농·수·축산물 전반에 걸쳐 있다. 닭고기, 밀, 옥수수, 면화 등 29개 품목에는 15%의 추가 관세가 적용되며, 수수, 대두, 돼지고기, 쇠고기, 수산물, 과일, 채소, 유제품 등 711개 품목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 이는 지난달 초 중국이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 농기계, 고배기량 자동차, 픽업트럭 등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또 한 번의 강경 대응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이번 추가 관세는 10일 이전에 출발한 물품에 한해 다음 달 12일까지 면제된다. 이는 기업들이 관세 인상 조치에 적응할 시간을 주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중국은 보복 관세 부과와 함께 미국을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협상의 가능성도 열어두는 모습을 보였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장관)은 지난 6일 양회 경제분야 기자회견에서 "관세를 이용한 위협은 전형적인 일방주의와 패권주의 행위이며, 이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미국을 비판했다. 그는 "만약 미국이 잘못된 길을 계속 간다면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왕 부장은 "평등한 대화를 통해 각자의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며 "양측은 적절한 시기에 만날 수 있으며, 양국 실무팀은 최대한 빨리 소통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