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하면 더 받을 수 있지만
태만하면 받은 것도 빼앗겨
하나님이 우리 대하는 방식
결코 균분 제도가 아니다
13세기 중동에 '나스테딘'이란 이슬람의 현자(賢者)가 살았다고 한다. 하루는 아이들이 호두가 든 봉지를 들고 찾아와 그에게 나눠줄 것을 부탁했다. 그는 "신(神)의 방식으로 나눠줄까? 인간의 방식으로 나눠줄까?"라고 물었다. 아이들은 '신의 방식'으로 나눠달라고 했다.
그래서 한 아이는 3개, 다른 아이는 5개를 주었고 어떤 아이는 한 개도 주지 않았다. 아이들이 볼멘소리로 투정(불평)을 부리자 그가 입을 열었다. "균등 분배는 인간의 분배 방식이야. 神은 균등한 분배를 하지 않는다. 그것이 인간을 사랑하는 神의 방식이다." 「행복한 바보」로 알려진 이 나스테딘의 우화에는 우리의 예측이 빗나간 결말이 담겨있다.
최근 종교학자인 정진홍 서울대 명예교수의 글을 읽어보면, '신의 방식'에 대한 궁금증이 풀릴 것이다. 공평하게 나누어 평등이 실현되는 세상에선 달라고 하는 일이나 나누어주는 일이나 고민할 게 없다.
따라서 주고 싶은 마음도 없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 가질 필요도 없다. 시샘할 일이나 미워할 일이 없는 대신 연민도, 자비도, 사랑도 사라지는 세상이다. 잘하거나 못하거나 항상 1/n로 똑같이 나누어줄 것인데, 무슨 고민이나 연구나 수고가 필요하겠나? 잘하거나 못하거나 선하게 살거나 악하게 살거나 부지런하거나 게으르거나 똑같은 결과가 주어진다면 굳이 노력하고 수고할 이유가 있겠나?
호두를 동등하게 받지 못한 상황에서도 재미있게 놀고 서로 사이좋게 지내는 것은 아이들, 즉 우리 인간들의 몫이라는 게 원로학자의 해석인 것이다.
이는 비단 이슬람뿐 아니라 다른 종교의 가르침에서도 마찬가지다. 불교에서는 '너'와 '나'를 편가르는 분별심을 내려놓고, 모든 생명 있는 것을 존중하라고 가르친다(大慈大悲). 세상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간적으로도 전생-현생-내생의 윤회로 연결돼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부분이면서 전체로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질문을 "다른 사람을 위하여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라고 말했다. 본회퍼 목사도 '예수님'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Man for others(타인을 위한 삶)'라고 하면서 신자는 '작은 예수'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JOY'(기쁨·희망)란 단어는 "Jesus first, Others next, Yourself last"에서 'J, O, Y'를 합자(合字)해야 된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자기'를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자기의 행복을 빈다. 좀 더 나아가면 가족(자녀)과 친척, 그리고 직장과 교회를 위해 빈다. 혹 국태민안(國泰民安)까지 넓히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대개는 남을 위한 기도나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기도까지 퍼져나가기가 어렵다.
그래서 문정희 시인의 「비망록」을 생각하게 된다.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이지만 굳이 연시(戀詩)의 범주에 가두어 둘 필요는 없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남보다 나를 더 사랑하는 사람이/ 되고 말았다.// 가난한 식사 앞에서/ 기도를 하고/ 밤이면 고요히/ 일기를 쓰는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구겨진 속옷을 내보이듯/ 매양 허물만 내보이는 사람이 되고 말았다// 사랑하는 사람아/ 너는 내 가슴에 아직도/ 눈에 익은 별처럼 박혀있고// 나는 박힌 별이 돌처럼 아파서/ 이렇게 한 생애를 허둥거린다."
성경에도 달란트 비유(마 25:14-30)가 나온다. 사람에 따라 5달란트, 2달란트, 1달란트씩 나눠주고 뒤에 계산했다. 5달란트로 5달란트(2배), 2달란트로 2달란트(2배)씩 이윤을 남긴 사람은 칭찬을 받았고, 1달란트를 그대로(현상유지) 보존한 사람은 질책(저주)을 받았다.
4달란트를 받은 사람을 가정해 보자. 그는 최선을 다했으나 이윤을 남기지 못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아마 결과에 상관없이 노력한 부분에 대해 칭찬이 있었을 것이다. 꼭 2배로 늘린 결과만 칭찬한 게 아니라, 그 노력한 과정을 칭찬한 것이라 추측해 본다.
1달란트를 갖고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사람에게선 그 1달란트마저 빼앗아 10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고 있는 것을 본다(마 25:29). 하나님이 우리를 대하는 것은 균분 제도가 아니라, 노력하면 더 받고 태만하면 받은 것도 빼앗기는 제도다.
김형태 박사(한국교육자선교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