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80년대에는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을 강조하는 신학자들 가운데 차영배 교수나 안영복 교수가 중생 이후에 성령세례를 받는 경험이 주어질 수 있다고 보는 점을 비판한 이들이 많았다. 그러면서 차 교수나 안 교수의 성령론은 오순절파가 지니고 있는 성령론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이인한이나 차영배나 안영복의 노선은 오순절주의하고는 다르다. 전통 오순절주의 성령론의 특징인 성령세례 받은 첫 표적으로서의 방언에 대한 언급이 그들에게서는 강조되고 있지 않다. 또 그들이 추종한 개혁파 전통의 무디(D. L. Moody)나 토레이(R. A. Torrey)를 오순절파라고 말할 수도 없지 않은가?
그렇다면 이인한이나 차영배나 안영복 등은 단지 근대 개혁파 성령운동과 또 이를 계승한 초대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전통에 충실했던 것으로서, 오순절주의라고 단정할 근거는 없는 것이다. 이처럼, 중생과 성령세례를 구분하는 경향을 무조건 '오순절파'라고 보는 시각은 무리가 있는 것이기에 시정되어야 한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교회 내에서는 마침내 성령론에 관한 신학적인 격돌이 야기되었다. 성령론의 교리적 노선에 따라 삼파전 양상을 띠게 되었는데, 그 첫째는 오순절운동이고, 둘째는 장로교회 계통의 성령운동이고, 그리고 셋째는 성결파 계통의 성령운동이었다. 이 중에서 이 시대를 가장 특징 지워 준 것은 오순절운동이며, 나머지 두 가지 성령론은 오순절운동에 대한 반동(反動)으로서 한국 신학계에 정식으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오순절 성령운동에 대한 신학적 경계의 필요성을 느낀 신학자들과 교계 지도자들이 장로교를 중심으로 활발한 성령론 논쟁을 벌이게 되었다. 장로교회에서는 사실 이러한 문제가 야기되기 전까지는 성령론에 있어서 큰 강조를 하지 않고 있었다. 이는 김명용이 지적한 대로, "장로교회가 신조로 사용하고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속에 성령론에 관한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정통적 장로교회가 성령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점과 연계"(김명용, "성령운동, 그 바람직한 균형은")된다는 점을 보아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성령론 확립의 필요성을 일깨움 받게 된 장로교 신학자들은 성령론을 전개하되, 초자연적인 성령의 나타남이라든지 성령 은사의 계속성 등을 철저히 배제하는 노선을 적용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오순절운동에서 비롯되는 극단적인 양상들을 막아 보고자 하는 데 있었고, 또 한편으로는 미국의 옛 프린스톤의 핫지(Charles Hodge)나 워필드(B. B. Warfield)와 같은 신학자들이 성령의 은사의 중단성(中斷性)을 주장했던 것과 신학적인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래서 장로교회의 성령운동은 주로 회개와 중생 그리고 성화(聖化)와 관련시켜 전개되었다.
그런가 하면 성결파 계통의 성령운동은 웨슬리(John Wesley)의 구원론의 특징인 성결 체험을 강조하는 성령론이었다. 웨슬리에 의하면 '완전한 사랑'(Perfect Love)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이라는 말로 성결의 단계를 설명하였다. 성결파의 부흥강사들은 그들의 집회 때에 '성령세례', '불세례', '온전한 성결' 그리고 '성령을 받으라'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중생(重生) 이후에 다가오는 순간적인 성결의 은혜를 표현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순간적 성결'이란 신자가 온전히 헌신하여 오직 그리스도의 영(靈)에 의해 다스림을 받는 상태를 순간적인 믿음으로 획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순간적 성결의 입문과정을 통해서 신자는 '지속적 성결'의 과정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 가지 성령운동의 각각 지닌 강조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오순절운동의 성령론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색으로서는 방언, 예언, 이적 등의 '성령의 나타남'((Manifestation of Holy Spirit)을 강조하여 이를 전도와 교회성장의 도구로 사용한 점이다. 이에 맞서서 장로교 계통에서는 성령의 회개시키고 중생시키는 사역과 내면적인 '성령의 열매'에 강조점을 두고 성령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성결파에서는 한국 초대교회로부터 지속적으로 강조해 온 성령의 제 이차적 은총으로서의 '신자의 회개'와 '순간적 성결'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성령운동을 계속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