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북한에서 미싱사로 일했던 탈북이주민 이순영(가명.50.여)씨는 눈치와 순발력이 있다고 자부해온 여성이었다. 중국과 태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했을 때만 해도 "북한에서 대학을 나와도 한국에 오면 다시 공부해야 하지만 재봉하는 사람은 박으라면 박으면 된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이씨는 지난 2년간 직장을 스무 번도 넘게 옮겼지만 정착할 직장을 잡지 못했다.
하나원에서 나와 처음 일했던 재봉공장에서 들었던 첫마디는 "북한 사람이라 이런 기계도 못 써본 모양이네"라는 무시하는 말이었다. 가슴에서 피가 끓었다. 마음 속으로 "너희는 운 좋아서 남한에서 태어나고 나는 운 나빠서 북한에서 태어나 여기까지 겨우 왔는데 처음 만난 사람에게 어떻게 이런 말을 하느냐"며 눈물을 삼켰다. 동료의 무시에 마음이 상할대로 상하면 또 다른 공장을 찾아 취직했다.
그러나 잘 적응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에는 다른 문제가 그를 기다렸다. 공장 사정이 나빠지면 북한 출신인 자신에게만 월급을 주지 않는 차별을 당했다. 120만원 남짓한 월급으로 두 딸을 데리고 생활해야 하는 이씨는 기다릴 시간도 없이 다른 공장으로 옮겨야 했다. 남들처럼 시위라도 해서 체납임금을 받아 나오고 싶었지만, 탈북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질까봐 계좌로 입금해달라는 요구를 끝으로 조용히 떠나온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
경력이 쌓여 월급을 올려준다는 공장도 많았지만 일 시작한 지 하루만 지나면 월급을 10만원, 20만원 깎자고 요구했고, 동료와는 월급이 40만원이나 차이가 나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렸다.
주변에서 미싱공장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말라고 조언해 때밀이 기술을 가르친다는 학원에 등록하기도 했다. 그런데 교육 첫날부터 "마사지를 먼저 배워야 한다"며 침대에 누운 남자의 허벅지를 문지르게 했다. 그제야 뭔가 잘못됐다고 깨달았지만 교육비 70만원은 환급해주지 않아 모두 날렸다.
지난 2년간 어깨 수술을 두 번이나 받으면서도 일을 계속 해 왔다는 이씨는 "기술이 있고 자신도 있던 나도 이렇게 직장 생활하기가 어려운데 다른 탈북여성들은 어떻겠냐"며 "화를 내도 소용이 없고 내가 사장이라면 더 지독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면 속이 좀 가라앉는다"고 말했다.
다른 탈북여성 김이숙(가명.35)씨는 "일을 하며 나를 속여야 하는 것이 제일 힘들다"고 속마음을 털어놨다. 탈북자에 대한 차가운 시선을 익히 알고 있었던 김씨는 차별을 피해보고 싶다는 마음에 숙박업소에서 일을 시작하면서 북한이 아닌 중국 길림에서 왔다고 신분을 감췄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 출신이 아닌 것 같다는 소문이 돌았고 그때마다 더욱 열심히 일해서 버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런데 하루는 형사가 찾아와 "조선족이라고 하는데 아닌 것 같다는 신고를 받았는데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물었다. 다행히 형사가 하나원 교육을 마치고 나온 탈북자라고 신원을 보증해줬지만, 탈북자에 대한 이상한 시선이 느껴지고 직장 생활은 더욱 위축돼 갔다.
김씨는 "남들 앞에서 당당해지고 싶어서 취직하기 전에 억양교정 강의도 들었는데 잘 안됐다"며 "북한 사람이라고 하면 다르게 대할 것 같아 점점 벽을 쌓고 살게 된다"고 처지를 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