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강제이주 정책

TIS(Trinity In Society)연구소장 김종덕 목사
(Photo : 기독일보) TIS(Trinity In Society)연구소장 김종덕 목사

연해주의 한인들은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로 강제 추방당했다. 1937년 8월21일,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고려인이 일본의 간첩활동을 할 것이라는 명분으로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를 결의한다. 그리고 스탈린은 강제추방 전 소련 사회 지식인 층에서 2500명 이상의 한인들을 숙청한다. 이는 소련 사회에서 한인들이 얼마나 영향력이 컸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굶주림과 관리들의 수탈을 피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은 연해주 초기 한인들은 한인 공동체가 만들어지자마자 민족학교를 세운다. 그래서 1920년대 연해주의 한인 초중등 교육기관은 344개에 이르렀고 학생수는 25,000명이 넘게 되었다. 그리고 사범대학교가 개교되었고, 7개의 우리말 신문, 8개의 우리말 잡지가 발간되었다. 1932년에는 고려극단이 창단되었고, 한국어 라디오 방송국이 개국한다.

1930년대 연해주 한인들의 교육수준은 상당히 높았다. 그리고 문화를 즐기며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그런데 이들은 재산을 정리할 시간도 얻지 못한 채 꼬박 한달 동안 쉬지 않고 달리는 화물열차에 짐짝처럼 실려 2만킬로미터 넘는 먼 곳에 버려진 것이다. 당시 스탈린에게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카자흐스탄에 20,170가구 총 95,256명,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에 16,272가구 총76,525명, 모두 171,781명의 한인이 강제로 추방되었다.

한인들은 추위와 굶주림으로 1만 1천명 이상이 죽었다. 기차 한칸에 평균 4가족, 20여명이 실렸는데 불규칙하게 정차해서 기차 안에서 출산하는 이들이 있었고, 열악한 환경으로 유아 사망률은 높았다 한다. 달리는 기차에서 장례를 치를수 없어 시신을 기차 밖으로 내던지기도 했단다.  참으로 끔직한 고난이다. 10월에 출발하여 한겨울에 도착한 한인들은 현지인의 도움을 받기도 했지만, 거처를 구하지 못한 한인들은 땅굴을 파고 그 안에 어린 유아와 약한 이들을 두고 그 주변을 젊은 장정들이 스크랩을 짜 온기를 만들어 중앙아시아의 매서운 추위와 싸워 생존했다.   

고난을 이겨낸 고려인 디아스포라

이런 역경에서도 고려인들은 구소련에서 가장 교육수준이 높고 잘 사는 소수민족으로 우뚝 일어선다. 당시 중앙아시아는 스탈린의 집단화 정책으로 수백만의 사람이 죽고 수십만이 국외로 떠나 거의 비어있는 상태였다. 그야말로 버려진 허허벌판 동토의 땅은 황무지였다. 그런데 고려인들은 그 동토의 땅을 개간하여 옥토로 만든다. 볍씨를 개발하고 수로를 만들어 마침내 1Ha 수확량 15톤 세계 기록의 기적을 일구어 낸다. 

고려인들은 가장 먼저 학교를 세웠다. 집단농장에 세운 초중고 통합 과정이었던 '선봉중학교'가 대표적인 예다. 이들은 학교에서 러시아어와 모국어인 한국어로 교육을 받았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구소련에서 고려인 200여명의 노동영웅이 나왔다. 이는 소수 민족 최다수다. 카자흐스탄 고려인 인구는 0.5% 에 불과하다. 하지만 카자흐스탄 50명의 부호 가운데 7명이 고려인이었다. 고려인들은 카자흐스탄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91년 12월26일, 구소련의 붕괴로 고려인들은 다시 벼랑 끝에 내몰린다. 구소련에서 12개 국가로 나뉘게 되는데 러시아를 제외한 중앙아시아 11 나라가 민족주의를 내세워 러시아어 사용을 금지한다. 이로인해 러시아어만 사용하던 고려인들은 중앙아시아에서 재산과 일터를 잃고 유랑자 삶을 산다. 연해주로 돌아간 고려인 사정은 더 심각하다. 국적이 없어 인권을 보장받지 못한 채 경제적으로 심한 생활고를 겪는다.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의미

고려인은 19세기말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삶의 터전을 마련한 한민족 디아스포라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선도했던 독립운동가들의 후예다. 그리고 근면 성실을 토대로 소련의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삶을 살아왔던 한민족 디아스포라다. 1937년의 정치탄압과 강제이주로 극한 어려움을 겪지만 다수의 고려인들은 이를 극복하고 현지 국가에서 안정적인 터전을 확보했다. 이들은 부모세대로부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배워 지금도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살아가는 한민족이다. 이들에게 조국은 하나다.

1864년 조선을 떠나 연해주로 이주할 때, 그리고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추방당할 때, 그들의 조국은 남북이 나뉘지 않았다. 그래서 이들은 조국을 생각할 때 남과 북을 나누어 생각하지 않는다. 이들은 남한과 북한에 대한 균등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고려인 72% 가 남북 통일에 가교 역할을 감당하겠다고 나섰다.

2014년 고려인은 '고려인 이주 150주년 기념행사'를 갖는다. 이때 이들은 모스크바에서 출발하여 중앙아시아, 연해주, 평양, 개성, 서울, 부산에 이르는 15,000km '러시아-한반도 종주, 유라시아 자동차 대장정' 행사를 가졌다. "유라시아 평화의 길, 한반도 통일의 길"을 지향하는 대륙횡단 및 한반도 종단 랠리 행사를 가진 것이다. 이들은 한반도 복음통일을 위해 대한민국이 함께 해야할 필수적 협력자이다. 하나님은 고려인 디아스포라를 유라시아 이슬람문화권 국가에 먼저 보내셨다. 이는 한반도 복음통일 이후 중앙아시아를 지나 예루살렘까지 이르는 한민족 대장정 세계선교의 길을 미리 열어놓으신 하나님의 경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