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 '탑(top) 리더 중심의 공동체'에 이어, '서브(sub) 리더 중심의 공동체'에 대해 살펴보자. 서브 리더는 탑 리더의 권한을 대행하여 사역과 업무를 주관하게 된다. 여기서 탑리더는 본인의 권한과 책임을 서브리더에게 위임하는데, 그 정도가 서브리더에게 더 많은 경우를 '서브 리더 중심의 공동체'라고 말한다. 한 마디로 탑 리더가 '위임'한 리더라는 것이 핵심이다.
◈대부분의 예배팀은 '서브리더 중심의 공동체'
대부분의 교회 예배팀은 담임목사가 탑 리더이고 부목사나 워십리더가 서브 리더인 경우가 많기에, 서브 리더 중심의 공동체가 더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렇게 위임받은 서브 리더가 공동체에 필요한 이유는, 공동체가 규모가 클수록 즉 많이 모일수록 탑 리더가 모든 관리와 운영을 혼자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단 예배팀 뿐만 아니라, 교회와 일반 사회 구조 안에서도 효율적인 조직관리를 위해 조직 내 직급이나 계급을 나눠 상하위 조직을 만드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그러므로 서브 리더는 탑 리더의 위임 정도에 따라 탑 리더의 분신으로 여겨지거나, 특정한 업무만 담당하는 기능적 도우미로 세워질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인 의미와 필요성을 잘 알고 있음에도, 우리 주변의 예배팀이나 더 나아가 사역기관, 교회 등에서 탑 리더와 서브 리더간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서로간의 갑질로 상처받고 공동체가 깨어지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탑 리더나 서브 리더 개인의 인성문제가 가장 심각
첫 번째는 탑리더나 서브리더 개인의 인성과 정서의 문제이다. 아무리 정직하고 탁월해도 인성과 정서가 받쳐주지 않으면 존경받지 못하고 공동체를 인격적으로 세워가지 못한다. 특히 상처가 많거나 한번도 실패해보지 않은 사람, 또는 정서가 무너져 있는 사람이 세상에서 성공했고 재능 있다는 이유로 리더가 된 경우에 더욱 위험할 수 있다.
그래서 임명의 기준에 그 사람에 대한 과거 경력과 더불어, 인성을 보기위해 외부의 신뢰할 만한 사람의 추천을 받게 한다거나, 내부에서 오랫동안 자라오며 자체적으로 검증된 사람을 세우는 것이다.
◈서브 리더들의 유행어 '설교할 때 홈런치면 안 돼'
흔히 부교역자들 사이에 하는 말이 있다. '설교할 때 홈런 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만큼 서브 리더는 너무 잘 해도 안 되고, 너무 못 해도 안 된다는 불문율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필자가 부교역자로 있을 때, 담임목사님이 가르쳐준 명언이 있다. '불가원 불가근', 즉 성도들과의 관계에 있어 너무 친하게 지내지도 말고 너무 멀어지지도 말라는 것이다. 이 중간의 개념이 참 어렵다.
예배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탑 리더 입장에서 서브 리더가 예배팀과 너무 친해지는 것도 싫고 너무 안 친한것도 싫은 경우라면, 서브 리더는 언제나 잠간의 실수에 책임을 져야하는 긴장감 속에서 섬겨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런 경우 서브 리더는 자신의 권한과 책임에 대한 애매한 상황을 인식하게 되고, 공동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탑 리더는 서브 리더에게 위임한 권한을 잘 인정해 주는 동시에, 위임한 권한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탑 리더가 고려해야 할 사항은 권한과 책임의 분배
이런 가장 큰 원인은 탑 리더의 위임내용에 있다. 위임하면서 탑 리더가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바로 권한과 책임의 분배이다. 위임해야 할 정확한 업무 내용과 그에 대한 권한을 위임하며, 이 모든 내용들을 공동체 앞에서 선언해야 한다. 그래야 모든 공동체 팔로워들이 이를 인식하고 이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 위임할 권한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고, 공동체도 이를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들이 있다. 이렇게 되면 서브 리더는 탑 리더의 지시사항을 받아 일을 하지만, 그 이상의 창조적이고 돌발적인 상황들에 대한 업무가 어렵다.
더욱이 탑 리더가 나머지 지시하지 않는 일들을 감당해 주지 않는다면, 공동체는 더욱 운영에 어려움을 겪에 될 것이다. 이런 경우 권한을 주지 않는 탑 리더, 그러나 책임을 져야 하는 서브 리더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애매한 위임은 반드시 애매한 상황을 낳는다
예배팀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담임목사가 부목사를 예배팀 담당으로 세운다. 그러면 기존의 워십 리더에게는 상위 서브 리더가 생긴 것이다.
그런데 부목사가 담당이라고만 알지,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감당하게 되는지는 모른다. 이 위임의 문제로 담임목사가 예배팀과 부목사를 모아서 설명해준 적도 없고, 부목사 스스로가 명확하게 자신의 영역을 설명한 적도 없다.
그런데 부목사는 이미 다른 업무들로 바쁘다. 교역자 사무실의 일들과 1-2개 부서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워십리더는 결국 자신이 팀의 모든 운영을 도맡게 되고, 부목사는 자신이 찬양을 인도하거나 담임목사의 공지를 전달하거나 예배팀에 특별한 문제가 생겼을 때 관여하게 된다.
그러나 워십 리더 입장에서는 상위 서브 리더와 그 위에 탑 리더를 모셔야 하는 구조 안에서 자신이 운영과 관리를 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부목사를 의지하기보다 부목사의 존재에 의문을 가지게 되고, 차라리 담임목사를 직접 만나 소통하고 싶어진다.
더 시간이 지나면서 부목사의 서브 리더십은 자연스럽게 워십리더에게 넘겨진다. 그러나 워십리더는 여전히 담임목사에게는 부목사 다음으로 직접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아니다. 이렇게 애매해진다.
따라서 반드시 정확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공개해야 하며, 서브 리더가 애매한 리더십이 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위임이 있어야 한다.
다음 시간에는 서브 리더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효과적인 소통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나눌 예정이다.
백성훈 목사(<팀사역의 원리> 저자, 김포 이름없는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