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박사
김형태 박사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은 신유사옥 후 전라남도 강진으로 유배되었는데, 그는 이곳에서 18년간 유배 생활을 하면서도 피폐한 농촌사회의 모순에 관심을 갖고 정치개혁과 사회개혁에 대한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같은 명저를 남겼다.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한 국가경영 정책 참고서들이다. 

특히 정약용 선생은 특정 지역이나 정파를 떠나 나라의 발전과 백성들의 삶의 향상을 위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선의의 대안을 제시한 대표적인 조선의 학자였다. 나라가 어려울 때나 평화로울 때나 살신성인으로 나라를 생각했기에, 지역주의나 맹목적인 이기주의에 기반을 둔 현재의 정당 정치인들이 크게 참고하고 본받을 만한 지도자라고 생각한다.

그런 기조 위에서 정약용 선생이 국가를 경영하는 공직자(목민관)들에게 주는 실제적 교훈을 새겨서 듣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도 공직자 후보 청문회를 보면 여러 사람들이 자식의 학폭에 관련돼 비난과 추궁과 해명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교양서 <대학>에도 수신(修身), 제가(齊家)한 다음 국가 공직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는 가정이 편안하고 가족들이 성실한 후에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학문활동(格物-致知)과 인격수양(誠意-正心-修身)이 먼저 완비된 후에야 가정과 국가와 세계를 관리할 수 있다는 수파식(水波式) 확장윤리를 제시하고 있다. 정약용이 공직자들의 가정 관리에 대해 논한 바를 알아보자.

①자신을 수양한 후에 자기 가정을 가지런히 정돈하고, 자기 가정을 정제(整齊)한 후에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천하 어디에서나 통하는 도리다. 고을(지역사회)을 다스리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기 가정부터 정제하여야 한다. 

②국법(國法)에는 어머니를 곁에 모시고 공양하면 공물(公物)을 내려주고 아버지를 곁에 모시고 공양하면 그 비용을 계산하여 넣어주거니와, 거기에는 그럴만한 까닭이 있는 것이다.

③청렴한 선비는 벼슬자리에 부임하러 갈 때 가족들을 데려가지 않는데, 이때의 가족이란 아내와 자식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④형제 간에 서로 그리워하는 경우에는 때때로 왕래할 수 있으나 가거나 와서 오래 머물러서는 안 된다.

⑤종이 많더라도 따뜻한 위로의 말로 그들을 떼어놓고 떠나야 하며, 양순한 자들을 선별하여 데려가더라도 사사로운 정에 이끌리고 얽매여 선발해서는 안 된다(국회의원(서 아무개)이 자기 가족과 자녀들을 자기 사무실 공직자로 채용한 비리 사례가 있었다).

⑥부녀자들이 남편의 근무지에 들를 때에는 그 치장을 아주 검소하게 해야 한다.

⑦의복의 사치는 많은 사람들이 꺼려하는 일이고 귀신도 질투하는 일이니 복을 떠는 일이 된다.

⑧음식의 사치는 재산을 줄어들게 하고 물자를 바닥나게 하는 일이니, 음식을 탐하는 일도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⑨규방(閨房)의 문을 엄하게 다스리지 않으면, 가정의 법도가 문란해진다. 가정에서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관청에서랴. 법을 세워 엄히 금하되 우레와 서릿밭처럼 기강을 세워야 할 것이다.

⑩청탁이 행해지지 않고 뇌물이 오고 가지 않으면 올바른 집안이 될 수 있다.

⑪물건을 살 때 그 값을 할인하지 않고 일을 시키는데 그 위세로써 하지 않으면 안사람(부인)이 존경받을 것이다.

⑫집안에 애첩을 두면 아내(조강지처)가 질투도 하거니와, 행동거지 하나가 잘못되면 그 소문이 사방팔방으로 퍼져나가게 되게 일찌감치 사욕(邪慾)을 끊고 후대가 따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⑬어머니의 가르침이 있고 아내와 자식들이 계율을 잘 지키면 이를 법도 있는 집안이라 할 수 있으니, 백성들이 모두 본받으려 할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 뿐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고위 공직자나 군 장성 등 사회 지도층에게는 엄격하고 품위 있는 가정생활이 요구된다. 특별히 배우자와 자녀들의 품행이 늘 감시되고 있다. 제가(齊家)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김형태 박사
한남대학교 14-15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