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을 잘하는 아이들이 있다. 이런 아동은 사실과는 다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편이다.
거짓말은 자기방어적 성격을 드러내는 측면이므로, 이미 아동의 문제점을 노출하는 상태이다. 이는 아동의 심리적 문제의 개선을 요구하는 표식이라는 점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아동의 거짓말은 일반적으로 특정 상황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아동이 자신의 처지나 상황이 불리하게 된다는 판단에서 따라 취할 수 있는 행동의 한 양식이다.
여기에는 순간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측면이 있지만, 상대방 입장에서는 배반적 태도를 취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런 시각에서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은 얼굴에 안정감이 없는 아동, 자기방어가 강한 아동, 책임을 회피하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해야 한다.
1. 자아가 허약한 편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은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보아야 한다. 자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자신의 의도를 당당하지 드러내지 못하고, 부모나 주변의 눈치를 보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아동의 심리적 허약함이 노출되는 점에서, 부모의 눈치를 보게 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동이 눈치를 보는 것은 부모가 적절한 애정을 쏟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로부터 진정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소외감이 아동으로 하여금 눈치를 보게 만들고 있다.
이렇게 눈치를 볼 때는 아동이 부모로부터 이미 야단을 많이 맞았다는 것이다. 아동이 눈치를 볼 때 야단맞지 않기 위한 조심스런 행동을 방어적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행동은 이미 아동의 자연스러움이 소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 행동은 부모의 애정결핍이 그렇게 만든 결과다. 아동은 부모의 애정을 받으면 건강하게 자라난다는 점에서다. 이는 애정은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마력이라는 점에서 이해된다.
2. 자기방어적인 측면
자기방어적인 측면은 아동이 잘못했을 때 순간을 모면하려 시도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동은 문제의 원인을 타인에게도 돌리는 투사를 작동하는 것이다.
투사(投射, projection)란 원인을 비자기적인 것으로 돌리는 행위, 즉 불쾌한 것을 다른 이에게 전가시키는 행위다. 아동은 외부로부터 오는 부담과 압력으로 느끼는 불안을 떨쳐버리기 의해 거짓말로 반응한다.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거나 용납 및 수용하지 않고 순전히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 현상은 일종의 자기합리화(rationalization)로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을 타인이나 외부세계에 적절한 구실을 전가시킴으로서 금지와 처벌을 모면하는 것이다.
아동은 이렇게 함으로 도덕적인 불안을 벗어나 방어하게 된다. 이런 투사는 아동이 자주 쓰는 방법이다. 투사는 자아의 방어기제의 원형이라는 의미는 아동이 도피를 위하여 그만큼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주 사용하는 건 사용이 손쉽기 때문인데, 자신이 잘못한 경우 원인과 내적 동기가 자신에게는 존재하지 않고 순전히 다른 친구 때문이라고 책임을 전가한다. 이로써 아동은 일단 그 죄책과 불안으로 부터 해방을 경험한다.
3. 존재 인정을 받지 못한 경우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은 부모로부터 존재인정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존재 인정을 받은 아동은 내면에 긍정성이 축적돼 자신감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감을 가진 아동은 당당한데 비해,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은 당당하지 못하다는 데서 이해된다. 부모는 아동에게 아이가 갖고 있는 능력 이상의 것을 기대하는 경우이다.
이런 심리적 상황에서 아동은 부모로부터 보이지 않는 억압을 경험한다. 자신은 잘 하고 싶은데, 부모의 기대에 도달되지 못하는 것이다.
실로 아동은 평소에 자기 나름의 발전을 하면서 부모의 요구에 응하려고 노력하지만 쉽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아동은 자신도 모르게 자주 한숨을 쉬게 된다.
이런 현상을 두고 부모는 겉과 속이 다르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더 심각해지면, 아동은 인정되지 않기에 친구를 모함하는 요령을 부리게 된다.
예를 들어 부모가 보고 있으면 친구보다 먼저 무엇을 하고 나서 "저는 했어요. 저 애는 아직이구요" 하고 고자질한다. 감독하고 있지 않는 곳에서는 행동이 태만하므로, 마침 그럴 때 부모의 얼굴이 보이면 깜짝 놀라는 것이다.
이런 경우 부모는 아동의 단순한 '교활'에 대해 못본 체하고 책망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는 얌전하지만 학교에서는 뽐내는 경우도 있고, 이는 주위 환경에 따라 적응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엄마에게는 솔직하게 약속하지만, 아빠에게는 그 약속마저 깨뜨리는 경우도 대부분 가정교육 불합리에 원인이 있다.
4. 정리
거짓말을 잘하는 아동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일 것이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