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사역을 진행하는 현장 속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토털 사역자로서 교회 사역 외에는 특별하게 할 것이 없다는 것이 목사 선교사의 한계라고 보는데, 현장 상황은 목사의 활동에 대해 많은 기회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어느 지역이나 대동소이할 것이라 본다. 사람들의 의식이 깨어날수록, 민족주의는 강해지고 이방인의 활동이나 삶을 예의주시한다. 종교적 편견도 더 강해진다. 전통종교 외에 외래종교를 배척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며, 그들의 보수적인 문화이다. 필자의 현장도 앞으로 더 큰 위기를 감지하고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기술을 가르칠 능력도 없다. 스포츠를 통한 태권도나 다른 어떤 것을 가르칠 능력도 없다. 그래서 오직 교회 사역에 매달리게 되는데, 사실상 현장에서는 자기 건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할 일이 없다. 임대교회는 공간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고, 건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한국처럼 활발한 교회는 거의 없다.

건물을 가지고 있으면서 열심히 뛰고 사역한다고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보면, 대부분은 본질이 아닌 일상의 일에 허겁지겁하는 것을 엿보게 된다. 바쁘기는 한데 무엇을 위한 것인지,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한 목표가 없는 경우도 많은 것을 보게 된다.

게다가 후원도 세월이 갈수록 떨어진다. 한국교회는 이제 오래된 사람에 대한 후원부터 중단하고 신규로 갈아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래서 소위 시니어들이 후원이 더 많을 것이라는 생각은, 외교적인 수단이 좋은 경우나 인적관계가 풍성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렵게 되는 일들이 많아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제는 사역적인 면이나 재정적인 면에서 다르게 접근하여야 한다고 본다. 즉,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이다. 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본다.

첫째, 재정적인 부분에서 말하자면, 자비량 사역을 감당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비종교적인 전문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비량은 선교사가 기본적으로 버틸 수 있는 일이 되어야 한다. 길이 열려 더 활발할 수 있게 된다면 좋은 일이나, 그러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최소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자비량이 잘 되면, 선교에는 관심이 없고 부수적인 일에 종사하여 본연의 사명을 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이 잘 된다든지 하면 돈맛이 들어서 본연의 사역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한다. 죄된 인생은 어쩔 수 없이 휘말려들게 되어 있다. 이러한 때에는 조직이 살아있어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이 마련되어, 인간의 본성을 제어하여야 한다. 요즘 들어 활성화되고 있는 BAM 세미나를 통하여 이러한 부분을 다루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비량은 한국교회의 관심을 꺾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서로에게 유익한 일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후원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진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을 것이다. 한국교회는 쇠락해가고 있으며, 갈수록 세속화되어 이제는 선교에 대한 관심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형국이다. 그래서 자비량으로 극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것은 선교훈련원에서, 또는 선교단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미국의 선교 후원은 대폭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파송 숫자도 그러하지만 재정적인 지원도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한국교회도 이러한 역사의 현실 속에서 배워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선교의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둘째, 사역적인 면에서 전략적으로 준비할 일은, 가장 기본적인 것만 준비하여도 사역의 새로운 장이 얼마든지 열릴 수 있다. 다음의 몇 가지는 현장에서 매우 필요한 것들이다.

한글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한국사회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주어지는 기회이다. 젊은이들을 만나고 선한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본다. 태권도 자격증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반 학교에 들어가서 교육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든지 있다. 아니면 협력자를 찾아서 함께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다.

현지 국가가 공인으로 인정할 수 있는 어떤 자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졸업장도 신학교 이름의 졸업장이 아닌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한국 선교를 살리는 하나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는 가정사역자나 상담자가 매우 필요한 지역이다. 어느 지역이나 대동소이할 것이라 본다.  이러한 일을 위하여 사역자가 없는 것이다. 현장에서 준비하려니 너무나 많은 시간과 자료 부족과 훈련을 받을 만한 여건도 안 된다. 그래서 고민이 크다.

한국에서 준비된 사람들이 좀 와서 도우면 좋은데, 국내에서는 많은 일을 하면서도 자비량으로 정작 필요한 현장에는 나오지 못하고 또한 언어와 문화적 상이점으로 인하여 적용이 쉽지가 않은 경우가 많다. 선교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바꾸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을 맞이 하고 있다. 모두가 패러다임을 이야기하지만 근본적으로 훈련원과 한국교회, 즉 지도자들의 생각의 변화가 우선되지 않으면 주장은 한갓 소리에 불과할 뿐이다.

한국선교를 염려하고 기도한다면, 변화를 시도하고 개혁을 강행하여야 하는 시점인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허황된 사고방식에 젖어 5천 명 파송이나 기천 명 파송 운운하는 허탄한 말로 어지럽히지 말고,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도 여름이면 한국교회에 선교사들이 넘쳐나, 전화만 와도 겁을 내는 불편한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현장의 소리, 세르게이(모스크바 선교사)
lee709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