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통합 전국은퇴목사회에 의하면 은퇴목사 중 68%가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으며, 자녀들에게 생활비를 얻어 쓰는 이들은 35%, 정부 지원을 받는 빈곤층도 2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교단들의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주요 교단의 은퇴목회자들 현황을 살펴본 결과, 현재는 그 수가 약 6,500명이지만, 10년 후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교단별로 은급제도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현실적인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은퇴목사 지원 현황에 따르면, 예장통합총회 '연금 미가입 은퇴목회자 대책위원회'는 2010년부터 연금 미가입 목회자 중 생계곤란자를 선정, 1인당 매월 20만원씩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600여명이, 2013년에는 교단 은퇴목사의 10%에 해당하는 148명이 혜택을 받았다.
기독교한국침례회 '교역자복지회'의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운 은퇴목사들에게 일정액(월 10만원선)을 지원하거나, 산하 교회를 연계해 후원을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교회 은급제도 현황을 통해 본 은퇴목회자의 삶과 노후 준비법' 발제를 맡은 이동원 원장은 "우리나라의 은퇴 목회자들은 거의 대부분 개척·미자립교회 출신으로, 늦게 신학을 했거나 교회가 자립하지 못해 목회자들의 노후를 책임져 줄 수 없기 때문에 은퇴 후 목회자들의 고민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은퇴목회자들에게 부족한 후원금마저 끊긴다면 더욱 생활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 무작정 총회에서 많은 기금을 마련해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은퇴목회자나 은퇴를 준비하는 목회자들에게 있어 연금과 인생 3모작을 할 수 있는 교육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만약 은퇴 전이라면 인생 3모작을 위해 직업과 자금을 함께 준비하면 된다. 직업과 재무를 위해서 반드시 목회자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준비하고, 은퇴 후라면 지금이라도 자신이 좋아하고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여생을 자신과 가정을 위해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리 준비하는 명예로운 은퇴'를 주제로 발제한 김영관 집사(부평교회)는 "은퇴는 기대되는 일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내가 해야만 하는 일 때문에 하지 못했던 일을 하는 것이다. 은퇴 후 꼭 하고 싶은 일을 고려해 보자. 목회자들의 경우에는 목회의 지식과 경험, 내가 베풀어야 할 사랑(특히 가족들), 이어주고 싶은 전통, 남기고 싶은 유산 등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은퇴에 대한 재무설계는 반드시 목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구체적으로 ▲내가 몇 세까지 일을 하고 은퇴하게 되는가 ▲은퇴 후 몇 년의 삶을 영위하게 될까 ▲은퇴 후 어느 지역에 살 것인가(도시, 농촌, 서울, 선교지 등) ▲은퇴 후 거주하고 싶은 집의 형태 ▲국민연금 불입액은 얼마이고, 얼마를 받을 것인가 ▲은퇴 후 기본 생활비는 얼마 정도 책정할 것인가 ▲은퇴 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질병에 들어가는 비용은 얼마로 할 것인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집사는 노후 생활비(연금)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으로 ▲고령화 사회 ▲저성장·저물가·저금리 ▲세금 ▲연금제도 등을 들면서 "연금을 들 경우에는 종신형으로 하고, 시간의 힘을 빌리며, 분산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다. 부부가 각각 나눠서 준비하는 것이 좋고, 시작할 때 끝까지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라. 또한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 등 3층 구조로 준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덧붙였다.
김 집사는 무엇보다 "노후생활비는 국가, 교단, 교회, 자녀에게서 얻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내가 미래의 나에게 매월 생활비를 보내주는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미래의 나를 '타인'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노후 준비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노후 준비에 관한 많은 계획과 컨설팅이 있지만, 일반인이 아닌 목회자 라이프 사이클에 따른 노후 스케줄링을 객관적으로 진단·점검·계획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