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부는 자살대책 수립을 위해 자살현황 및 원인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4.8명으로, OECD 국가들의 평균이 11.2명인 것에 비하면 2배 이상 높다. 이날 보건복지부가 밝힌 자살사망 분석통계에 따르면 자살로 인한 사망은 지난 1992년 전체 10위에서 2007년 4위로 급격히 상승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은 지난 1982년과 비교해 경제·사회적 안정과 공공부문 사회적지출 증가, 자살예방정책 추진 등으로 자살사망률이 감소 추세여서 대조를 이뤘다. 미국(-1.7%), 영국(-1.8%), 캐나다(-3.5%), 프랑스(-4%), 독일(-8.5%), 덴마크(-15.4%), 헝가리(-17.2%) 등 29개국 중 21개국이 자살사망률 감소세였고, 멕시코(1.5%)나 일본(3.1%), 아일랜드(3.5%) 등 8개국만 경제적 요인으로 자살률이 증가했다.

또 나이가 많을수록 자살사망률이 높으며,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살증가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수입 1백만원 미만의 노인들 중 자살생각률은 무려 77%에 달했다. 반면 10대 청소년들은 자살을 떠올리는 비율은 높은 반면,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보다 남자의 자살사망자 수가 약 2배 정도 높지만, 여성사망자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월별로는 대체로 봄(4-5월)에 높고, 겨울에는 낮았다.

▲자살증가율과 실업률변화 추이. 실업률은 자살증가와 정비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살 원인에 대해서는 경기변동과는 큰 관계가 없었으나, 실업률·소득분배상태·가계부실정도과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또 경쟁사회에서의 상대적 스트레스와 이혼증가 등으로 인한 사회적 지지망(Safety Net) 약화도 자살사망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각종 사회적 요인들로 우울증과 급성정신병 등의 정신질환과 생명경시 풍조 등도 자살률이 증가하면서 같이 높아졌다.

실제로 자살상담 실시사례에서도 원인분석이 이뤄졌다.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광역정신보건센터 자살상담 실시사례는 총 4160건이며, 이는 전체 상담건수의 약 13.2%를 차지했다. 이들이 밝힌 자살충동 동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가정불화(860명, 26.1%)였으며, 질병에 따른 좌절감(551명, 16.8%), 경제적 문제(480명, 14.6%), 이성문제(331명, 10.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경제적 문제라고 응답한 사람이 지난해 113명에서 올해 214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해 더 깊은 불황에 빠져들 내년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계청 조사결과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15세 이상 인구의 7.2% 수준이었으며, 자살충동 원인으로 경제적 문제가 2007년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했다. 정부는 유명 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로 인한 베르테르 효과와 더 나빠질 것으로 보이는 경제사정 등으로 자살이 더 늘 것으로 보고 자살예방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이같이 분석하면서 그동안의 자살예방 관련정책에 대해 개인중심의 정신보건사업으로 한정해 사회·경제적, 범정부적 지원책 마련이 미흡했고, 정책의 중요성에 비해 국민적 합의나 사회적 공론화에 한계를 드러냈으며, 제한된 예산으로 단계적 정책접근이 미흡하고 기반연구 부족으로 정책수행이 어려웠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