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동거하지 않고 노인만으로 구성된 '노인 단독가구'가 전체 노인가구 중 78.2%로 보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소득과 학력 수준이 높아지면서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치료 효과 없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반대하는 비율도 증가했다.보건복지부는 지난해 3월부터 9개월에 걸쳐 노인 1만97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 건강 및 기능상태, 경제상태 및 활동, 여가 및 사회활동, 생활환경 및 가치관 등을 조사한 '2020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노인 단독가구 78.2%로 보편화... 경제적 자립성 높아져

조사에 따르면 독거노인 또는 노인부부로 구성된 '노인 단독가구'가 2008년 66.8%에서 2020년 78.2%로 증가했다. 반면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는 같은 기간 27.6%에서 20.1%로 줄어들었다.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는 비율도 낮아져 노인 단독 가구의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혼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정서적 외로움, 수발 필요성 등 노인의 필요(48.0%)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미혼자녀 동거의 경우 '같이 사는 게 당연하다'는 규범적 이유(38.8%)와 자녀에 대한 가사·경제적 지원 등 자녀의 필요(34.0%)에 의한 비율이 높았다.

노인 개인 소득은 2008년 700만원에서 2017년 1176만원, 2020년 1558만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근로·사업소득, 사적연금소득 등이 큰 향상을 보여 노인의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노인가구의 96.6%가 부동산을 갖고 있으며, 규모는 평균 2억6182만원이다. 77.8%가 평균 3212만원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경제활동 참여율도 높아지고 있다. 65~69세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2008년 39.9%에서 2017년 42.2%, 2020년 55.1%로 증가했다. 이들 중 73.9%가 일을 하는 이유로 '생계비 마련'을 꼽았다. 특히 농촌노인(79.9%), 독거노인(78.2%)의 생계비 마련을 위한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고학력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능력 발휘, 사회 기여 등 비경제적 사유를 위해 일한다는 비율이 높았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 비율은 2008년 17.2%에서 2020년 34.3%로 2배가량 증가했다. 무학노인의 비율은 2008년 33%에서 2020년 10.6%로 급격히 감소했다.

50% "건강·행복하다", 85.6% "무의미한 연명의료 반대"

노인 2명 가운데 1명은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식했다. 설문 결과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는 응답은 2008년에는 24.4%이었으나 2017년 37%, 지난해는 49.3%가 됐다. 우울 증상을 보이는 비율은 2008년 30.8%에서 2017년 21.1%, 지난해 13.5%로 꾸준히 줄었다.

건강 상태 관련 인식이 좋아지고 경제 상황도 나아지자 노인 2명 가운데 1명은 본인 삶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삶의 만족도를 묻는 말에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49.6%였고 이어 보통이 42.6%, 만족하지 않음은 7.4%, 전혀 만족 안 함은 0.5% 순이었다.

생애 말기 좋은 죽음(웰다잉)은 가족이나 지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죽음이라는 생각이 90.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체적, 정신적 고통 없는 죽음 90.5%, 스스로 정리하는 임종 89%, 가족과 함께 임종을 맞이하는 것 86.9% 순이었다. 노인의 85.6%는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반대했으나 스스로 연명 의료 중단 결정 의사를 미리 직접 작성하는 '사전연명 의료의향서 작성' 등의 실천율은 4.7%에 불과했다.

장례방법은 화장이 67.8%, 매장이 11.6%로 화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노인의 56.4%는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령별로 활용 역량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65~69세는 81.6%가 스마트폰을 보유한 반면 85세 이상은 9.9%에 그쳤다.

노인 74.1%는 정보제공서비스가 온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키오스크 활용을 이용한 식당 주문에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64.2%로 가장 높았다.

노인 74.1%가 노인 연령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생각해 현행 65세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