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월드미션대학교 윤임상 교수의 소논문 "포스트 코비드 시대, 사역의 변화에 따른 교회 예배와 음악"을 연재합니다. 오늘의 예배 음악을 진단하고 포스트 코비드 시대에 교회 음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점검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편집자 주-
오늘날 교회 예배에 주는 도전들
지난 주 모세와 시내산 예배와 음악을 통해서 본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오늘날 코비드 팬데믹시대에 교회에 주는 도전들 즉, 온라인 예배와 예배에서의 회중들 그리고 나르시시즘의 관점에서 예배를 점검해 보려고 한다. 아울러 미디어를 통한 오늘의 찬양에 대한 도전을 점검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1) 온라인 예배도 예배인가?
오늘날 회중들은 코비드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지고 있다. 이에 회중들은 점점 더 예배에서의 구경꾼으로 바뀌어가고 있고, 예배를 대하는 마음가짐 조차 많이 안일해져 가는 안타까움이 있다.
코비드로 인해 처음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예배를 드릴 때 젊은 층 사이에서는 처음부터 큰 저항 없이 그 예배에 빠르게 적응하게 되었다. 교회의 어른들도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지 못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으로 많이 불안해 하다가, 이제는 온라인 예배가 참 편리하다고 이야기 한다. 습관 이라는 것이 참 무서운 것 같다. 이처럼 대면예배를 절대 고수하던 중, 장년층 마저 이렇게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모든 계층이 처음에는 어쩔 수 없는 비상 상황이 되기에 대면예배를 대처하는 것으로 온라인 예배가 출발 했다. 하지만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적인 예배로 정착되어가는 것 같다. 이에 두려움을 가진 교회 지도자들은 '어떻게 하면 포스트 코비드에 교인들을 교회로 다시 불러들일까?'라고 깊이 고민하는 소리들을 여기저기서 많이 듣게 된다.
오승성 교수는 그 이유에 대해 단순히 영적인 이유만이 아니고 기존의 제도 교회가 현장성을 중시한 대면 예배를 통해 성장해 왔기에 대면 예배의 붕괴는 기존의 제도 교회의 붕괴로 보아 목회자들은 전통적인 대면 예배가 불러올 수 있는 억압적인 효과들 즉 권위주의, 반 지성주의, 인기 영합주의, 들에 대한 비판적인 반성이나, 온라인 예배가 줄 수 있는 해방적인 효과에 대한 사려 깊은 숙고는 해 볼 틈도 없이 바로 대면예배로 복귀하고자 만 한다고 꼬집고 있다.
앞서 시내산 예배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미국의 유명한 예배학자 도널드 휴스테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 했다.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대화(Conversation with God), 하나님께 드림(Giving to God) 그리고 하나님을 닮아가는 것(Becoming more like the God)이다. 이 본질을 시내산 예배에 적용시켜 보면 예배에서 그 주체는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성도의 모든 행위들 즉 아론과 나답과 아비후와 이스라엘 장로 70인들의 찬양, 그리고 모세의 지시에 의해 아스라엘 청년들이 제사를 위해 준비하는 행위. 이 모든 것을 통해 온전히 드리고, 하나님과 대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세를 통해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고 그분을 닮아가는 것이다.
지난 2019년 연세대학교 종교 철학과 정재현 교수가 월드미션대학교 30주년 학술세미나 강연 중 어느 중세교부의 고백을 소개한 적이 있다. "하나님, 내가 지옥형벌을 면하기 위해 하나님을 섬기려 한다면 차라리 나를 지옥 형벌을 받게 하시옵소서, 하나님, 내가 천국만을 목적 삼아 하나님을 섬기려 한다면 차라리 나를 천국 명부에서 제하여 주옵소서. 내가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하는 목적은 오직 하나님 그 분을 닮고 싶은 것이 최고의 목적과 가치가 되게 하옵소서" 이 고백이 오늘날 우리 예배자들에게 큰 울림이 되어져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관점을 갖고 오늘날의 모든 예배와 찬양, 특히 온라인 예배와 찬양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온라인 예배에 대한 찬반 양론은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논쟁이 되어오고 있던 것이었고, 코비드 시대를 맞이하여 그 논쟁이 더 크게 부각되게 된 것이 사실이다.
국민일보 서윤경 기자가 미국 교회성장컨설팅기관 처치앤서의 대표 톰 레이너 박사가 이야기 한 "코로나19가 종식돼도 온라인예배를 계속해야 하는 7가지 이유" 를 지난 2021년 2월 3일 기사화 한 것을 보았다. 톰 레이너 박사는 2021년 1월 31일 "교회가 대면예배로 돌아가면서 온라인예배 서비스를 포기하고 있다. 이는 큰 실수"라고 하며 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그 첫 번째로 꼽은 건 대면예배로 전환해도 온라인예배 이용자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건강 업무 등 다양한 이유로 대면예배에 참석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온라인예배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다음 이유다. 또 온라인예배는 대면예배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지역 주민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온라인예배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섯 번째는 온라인예배가 사람들을 기도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또 온라인예배는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는 사도행전 1장 8절을 실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사이트 교회를 결집할 수 있다. 고 이야기 한다.
위와 같은 이유만으로 온라인 예배의 정당성을 제시하는 것은 결국 코비드가 끝나도 교인들이 오지 않기 때문이라는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또는 현실성과 환경에 순응하는 옹색한 이유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런 이유들 만으로 온라인 예배를 정당화 시키려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예배의 본질에 근거한 접근보다 어쩔 수 없는 현실적 상황에 기인되는 이유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런 것들은 교회가 해야 할 본질적인 직무를 유기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온라인 예배, 혹은 대면 예배 등 예배의 가용성을 가리기 이전에 먼저 복음적인 온전한 예배는 무엇일까? 라는 원론적인 내용을 두고 가슴 깊이 고민해야 한다. 이 복음적인 예배는 시대의 사조와 정신이 바뀌고 문화가 바뀌어도 그 본질은 변할 수 없는 또 변화 되어서는 절대 안되는 영원불변의 진리인 것이다. 이 정신을 바탕으로 예배의 본질에 기초해서 오늘날 급속도로 변화되어가고 있는 문화와 환경에 잘 순응해서 모든 예배를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