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윤실의 ‘목회자와 교회정치’ 컨퍼런스.
기윤실의 ‘목회자와 교회정치’ 컨퍼런스.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 9일 서울 명동 청어람에서 ‘목회자와 교회정치’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임성빈 교수(장신대)는 기조강연에서 “오늘날 한국교회와 교단의 현실은 하나님 나라를 위한 건설적 정치보다는, 개인․지역․학연․정파적 집단의 유익을 위주로 하는 파당적 정치의 잉여 현상이 보편화되어 있다”며 “교회와 교인의 정체성 인식이 중요하며, 특히 목회자와 장로의 상호보완적 역할과 관계는 교회정치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이어 “장로들은 단순히 교인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리스도의 뜻’을 찾아 대표하려고 노력한다”는 美장로교회(PCUSA)의 정치 원리를 소개하며, “장로교의 치리는 민의를 대변하는 소극적 차원을 넘어서, ‘그리스도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노력하는 적극적 원리를 함축한다. 대의정치 제도를 따르지만, 근본 원리는 성경의 원리”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임 교수는 한국교회의 정치 과제로 ▲평신도 지도자의 역할 회복은 종교개혁의 정신 회복이라는 것 ▲목사와 장로 두 직분 사이의 구별을 인식하고, 서로 존경할 것 ▲여성과 청년층의 정치참여 요구 및 교단에 따른 차별적 정치제도와 보편적인 민주정치 사이의 조율 등을 제시했다.

지형은 목사(성락성결교회)는 “현재 한국교회의 부정적 문제들은 대부분 좁은 뜻의 ‘교회 정치’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그 부패 정도가 상당히 심각해서 이를 해결하지 않고는 미래가 어둡다”고 지적했다. 지 목사는 주요 정치의 문제로, 법과 돈과 성역을 꼽았다.

먼저 법의 문제와 관련, “선거법 위반 시 공적 직무를 맡지 못하게 하는 ‘아웃 제도’ 등 실제적인 처벌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또 총회장 등 선거로 뽑힌 임원들이 총회 외 기관의 주요 직책을 맡는 등 특권의 연결고리도 끊어야 한다. 교회의 문제를 사회법으로 가져가는 문제에 대한 신학적 검토 및 사회법의 종교문제 연구를 교회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돈의 문제와 관련, “공금을 ‘공돈’으로 쓰는 데 재미를 붙이면서 ‘정치꾼’의 영역에 발을 들여놓는다”며 “상회나 교계 기관의 재정에 대한 표준적인 감사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성역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목양이 교회의 중심이 되게 해야 한다. 성역을 인정하는 정치 형태와 인정하지 않는 정치 형태 사이의 단점을 끊임없이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지 목사는 “시대 흐름의 큰 틀이 바뀌면 교회는 반드시 영향을 받는다. 기독교의 리더십은 이런 큰 흐름의 변화를 읽어내고 대처하는 것”이라며 “교회를 이끌어갈 다음 세대에 대하여 한국교회는 어떤 예측과 준비를 하고 있는가. 또 오늘날 세계 전체에 대해서 교회는 어떤 시각과 판단, 성경적 전망을 갖고 있는지 되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상민 변호사(법무법인 소명, 기독법률가회 사회위원장)는 “법원은 교리 해석 및 권징 재판을 제외하고는 교회 내 분쟁에 대해 개입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 내 분쟁을 곧바로 사회법정으로 가져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교회 내 해결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정하고 엄격하게 이와 같은 해결시스템을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회법정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다만, 이 경우에도 먼저 소송을 제기하는 것보다는 화해, 조정 등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사 고소, 고발은 최후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종석 교수(고려대 경영학과, 기독연구원 원장)는 “교회 정치의 제도화의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또 교회 직분자 선출과 지도자 선출은 매우 엄격해야 하며, 신앙, 인격, 전문성, 리더십(정치력)의 구비가 요구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