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C(세계교회협의회)가 세계교회와 한국교회 분열에 미친 신학적 원인을 분석하고 2013년 WCC 부산총회 개최를 비판하는 세미나가 ‘WCC 참된 교회연합운동인가’라는 주제로 22일 저녁 7시 서초 신반포중앙교회에서 개최됐다.
이승구 교수(합동신학대학원)는 ‘WCC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는 부산총회’라는 주제로 강연을 전했다. 이 교수는 WCC의 문제로 ▲오직 기독교만이 구원의 유일한 길이라고 하는 주장을 회개하고 극복해야 할 문제로 여기는 점 ▲성경의 권위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인정하는 점 ▲종교개혁의 원리를 온전히 인정하지 않는 점 ▲특별은총과 일반은총을 구별하지 않음으로 종교다원주의, 내포주의 등 다양한 구원의 이해를 열어 놓은 점 ▲교회의 가시적 일치를 궁극적 목표로 제시하는 점 등을 비판했다.
종교개혁의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WCC의 태도에 대해서는 “그들은 칭의에 대한 여러 입장들도 모두 받아들일 수 있다는 태도다. 루터와 칼빈이 말하는 이신칭의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믿음만이 아니라 자신들의 행위가 더해져서 구원받는다는 입장도 받아들인다”며 “WCC 운동 자체는 결국 종교개혁의 원리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10차 부산총회의 개최와 관련, “한국에서 WCC 총회 개최를 주도하고 홍보하는 이들은 이전 총회와 이번 총회의 방향이 다를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이 운동을 한국에서 주도하는 진보적 신학자들은 이번 부산 총회를 기회로 한국 기독교회를 포함하여 세계 기독교 전체가 WCC가 강조해 온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WCC부산 총회는 지금까지 WCC를 주도해온 신학자들과 실천가들의 유도에 따라 분명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WCC에 참여하는 소속 교단 중 어떤 교회가 WCC와 같이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 첫째 연구와 기도의 시간을 가질 것, 둘째 내부적으로 WCC의 부당성을 적극 증언할 것, 셋째 자신이 속한 교회가 바른 입장을 취하도록 노력할 것, 넷째 그래도 소속 교회와 교단이 WCC적 방향으로 나아 갈 때에는 앞으로 어떤 신앙생활을 해야 할지 심각하게 검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것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참으로 진리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연합운동”이라며 “전통주의 교리를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진리의 삶을 산다고 말하기 어렵다. 말 뿐만 아니라 삶의 태도와 이 세상에서 드러내는 모습 속에서 진리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봉 목사(신반포중앙교회 담임)는 ‘WCC적 연합운동이 목회에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전했다. 김 목사는 WCC에 대해 ▲성경관이 끼칠 영향으로 성경에 대해 무관심하게 하고 성경을 왜곡하고 전통적인 신앙 고백들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는 것 ▲신관이 끼칠 영향으로 신앙의 대상을 희미하게 만들어 열심 있고 살아있는 신앙생활을 약화시킨다는 것 ▲기독관이 끼칠 영향으로 죄와 사망과 영원한 저주 상태에 처한 인류를 구원할 그리스도 예수가 굳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을 확산한다는 것 ▲구원관이 끼칠 영향으로 하나님과의 화해를 필요 없게 만든다는 것 ▲교회관이 끼칠 영향으로 복음진리에 충실한 신앙고백을 필요 없게 만든다는 것 등을 지적했다.
김 목사는 “복음주의자들이 함께 참여했으나 자유주의자들을 돌이키지는 못했으며, 진리를 양보한 채 하나됨을 지키려 하다가 전체가 다 좌경화되는 일을 피하지 못했다. WCC에 가맹한 복음주의 교회와 신학자들은 WCC의 신학적 흐름을 성경적이고 정통적인 방향으로 이동시킨 적이 없다. 이는 신앙고백공동체의 영적 분별력을 약화시키며 진리에 대한 민감성을 앗아갈 뿐 아니라 교회의 생명력을 앗아가는 위험성과 파괴성을 자각하지 못하게 만든다”며 “그 결과 교회의 쇠퇴를 가져오고 말았다. 서구 기독교들에서 볼 수 있는 기독교 쇠퇴의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가 바로 WCC가 표방하는 연합운동의 결과”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김 목사는 “필요하다면 시대의 요구를 거슬러 결단을 내려야 할 필요도 있다. 때때로 외롭고 힘들지라도 성경적 진리를 굳게 붙잡고 혼자 남게 되더라도 가야 할 길은 간다는 자세로 서야 하겠다. 우리에게는 ‘성령의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는 말씀 뿐 아니라 ‘형제들아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여도 이상히 여기지 말라’는 말씀이 아울러 주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상규 교수(고신대 부총장)는 ‘한국교회에서의 WCC 분열의 원인, 통합의 걸림돌’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WCC가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전했다. 그는 WCC가 한국교회에 ▲NCCK 등 에큐메니칼 운동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 ▲한국에서의 진보신학, 종교다원주의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 ▲1959년 장로교회 분열과 장로교회 연합의 주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 등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이상규 교수는 “한국에서 WCC나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은 매우 아쉬운 점이다. 그간의 WCC에 대한 논의는 매우 피상적이었고 이런 점이 WCC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게 만든 요인이었다. 한국교회에서 이 문제를 좀 더 진지하게 연구했더라면 교회 지도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재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는 ‘교회 연합운동과 역사 의식’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WCC와 교회연합운동의 방향을 전했다.
김 교수는 “WCC 지도부의 신학적 경향은 세월이 지나면서 처음 보수적 교회가 염려했던 것보다 훨씬 더 급진적으로 발전했다. WCC 지도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경건주의적 영혼 구원의 선교를 지양하고, 모든 종교에서 기독교적인 요소를 발견하게 한다는 ‘하나님의 선교’ 이념을 말하였으며 교회의 사회 참여를 첨예화했다. 급기야 1970년대부터는 종교다원주의 사상을 허용하고 펼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리를 덮어둔 채 교회의 일치를 지향하는 것은 결코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아니다. WCC의 초교파적 보편주의 선교 신학은 ‘초종교적’인 보편주의·종교다원주의로 발전하게 됐다”며 “종교다원주의는 역사주의에 사로잡힌 자유주의 신학의 종착점”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WCC 산하에는 전통적이며 복음적인 신앙을 가진 교회들과 신자들도 있다. 그러나 WCC를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주도하는 한 WCC의 회원 교회에는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방어선이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며 “교회의 연합과 일치를 위해 기독교의 정체성을 허물어뜨리는 탈기독교적인 종교다원주의 사상을 용납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밝혔다.
이승구 교수(합동신학대학원)는 ‘WCC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는 부산총회’라는 주제로 강연을 전했다. 이 교수는 WCC의 문제로 ▲오직 기독교만이 구원의 유일한 길이라고 하는 주장을 회개하고 극복해야 할 문제로 여기는 점 ▲성경의 권위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인정하는 점 ▲종교개혁의 원리를 온전히 인정하지 않는 점 ▲특별은총과 일반은총을 구별하지 않음으로 종교다원주의, 내포주의 등 다양한 구원의 이해를 열어 놓은 점 ▲교회의 가시적 일치를 궁극적 목표로 제시하는 점 등을 비판했다.
종교개혁의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WCC의 태도에 대해서는 “그들은 칭의에 대한 여러 입장들도 모두 받아들일 수 있다는 태도다. 루터와 칼빈이 말하는 이신칭의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믿음만이 아니라 자신들의 행위가 더해져서 구원받는다는 입장도 받아들인다”며 “WCC 운동 자체는 결국 종교개혁의 원리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10차 부산총회의 개최와 관련, “한국에서 WCC 총회 개최를 주도하고 홍보하는 이들은 이전 총회와 이번 총회의 방향이 다를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이 운동을 한국에서 주도하는 진보적 신학자들은 이번 부산 총회를 기회로 한국 기독교회를 포함하여 세계 기독교 전체가 WCC가 강조해 온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WCC부산 총회는 지금까지 WCC를 주도해온 신학자들과 실천가들의 유도에 따라 분명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WCC에 참여하는 소속 교단 중 어떤 교회가 WCC와 같이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 첫째 연구와 기도의 시간을 가질 것, 둘째 내부적으로 WCC의 부당성을 적극 증언할 것, 셋째 자신이 속한 교회가 바른 입장을 취하도록 노력할 것, 넷째 그래도 소속 교회와 교단이 WCC적 방향으로 나아 갈 때에는 앞으로 어떤 신앙생활을 해야 할지 심각하게 검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것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참으로 진리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연합운동”이라며 “전통주의 교리를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진리의 삶을 산다고 말하기 어렵다. 말 뿐만 아니라 삶의 태도와 이 세상에서 드러내는 모습 속에서 진리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봉 목사의 강연 모습. ⓒ신태진 기자 |
김 목사는 “복음주의자들이 함께 참여했으나 자유주의자들을 돌이키지는 못했으며, 진리를 양보한 채 하나됨을 지키려 하다가 전체가 다 좌경화되는 일을 피하지 못했다. WCC에 가맹한 복음주의 교회와 신학자들은 WCC의 신학적 흐름을 성경적이고 정통적인 방향으로 이동시킨 적이 없다. 이는 신앙고백공동체의 영적 분별력을 약화시키며 진리에 대한 민감성을 앗아갈 뿐 아니라 교회의 생명력을 앗아가는 위험성과 파괴성을 자각하지 못하게 만든다”며 “그 결과 교회의 쇠퇴를 가져오고 말았다. 서구 기독교들에서 볼 수 있는 기독교 쇠퇴의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가 바로 WCC가 표방하는 연합운동의 결과”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김 목사는 “필요하다면 시대의 요구를 거슬러 결단을 내려야 할 필요도 있다. 때때로 외롭고 힘들지라도 성경적 진리를 굳게 붙잡고 혼자 남게 되더라도 가야 할 길은 간다는 자세로 서야 하겠다. 우리에게는 ‘성령의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는 말씀 뿐 아니라 ‘형제들아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여도 이상히 여기지 말라’는 말씀이 아울러 주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상규 교수(고신대 부총장)는 ‘한국교회에서의 WCC 분열의 원인, 통합의 걸림돌’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WCC가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전했다. 그는 WCC가 한국교회에 ▲NCCK 등 에큐메니칼 운동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 ▲한국에서의 진보신학, 종교다원주의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 ▲1959년 장로교회 분열과 장로교회 연합의 주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 등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이상규 교수는 “한국에서 WCC나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은 매우 아쉬운 점이다. 그간의 WCC에 대한 논의는 매우 피상적이었고 이런 점이 WCC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게 만든 요인이었다. 한국교회에서 이 문제를 좀 더 진지하게 연구했더라면 교회 지도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재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는 ‘교회 연합운동과 역사 의식’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WCC와 교회연합운동의 방향을 전했다.
김 교수는 “WCC 지도부의 신학적 경향은 세월이 지나면서 처음 보수적 교회가 염려했던 것보다 훨씬 더 급진적으로 발전했다. WCC 지도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경건주의적 영혼 구원의 선교를 지양하고, 모든 종교에서 기독교적인 요소를 발견하게 한다는 ‘하나님의 선교’ 이념을 말하였으며 교회의 사회 참여를 첨예화했다. 급기야 1970년대부터는 종교다원주의 사상을 허용하고 펼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리를 덮어둔 채 교회의 일치를 지향하는 것은 결코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아니다. WCC의 초교파적 보편주의 선교 신학은 ‘초종교적’인 보편주의·종교다원주의로 발전하게 됐다”며 “종교다원주의는 역사주의에 사로잡힌 자유주의 신학의 종착점”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WCC 산하에는 전통적이며 복음적인 신앙을 가진 교회들과 신자들도 있다. 그러나 WCC를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주도하는 한 WCC의 회원 교회에는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방어선이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며 “교회의 연합과 일치를 위해 기독교의 정체성을 허물어뜨리는 탈기독교적인 종교다원주의 사상을 용납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밝혔다.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