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간의 세미나에 이어 2월 4일부터 6일까지 “나의 성격 이해 및 성숙해지는 법”이란 주제로 특별집회를 열고 있는 한성열 교수가 집회 첫날 성격이 무엇인지에 관해 정의하고 성숙한 삶으로 초대했다.
우리는 성격이란 말을 자주 쓴다. “성격이 좋다, 성격이 급하다, 성격이 더럽다”고 말하는데 과연 이 성격이 무엇일까? 우리는 그 사람의 성격이 어떻다고 말하면서 마치 그 사람에 관해 잘 아는 것처럼 말하지만 정말 한 사람의 성격을 모든 방면에서 정확히 아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심리학자들이 내리는 성격의 정의는 “한 개인의 비교적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행동의 경향성”이다. 이 정의에서 ‘한 개인’이란 말은 모든 사람의 성격이 다르다는 뜻이며, ‘안정적’이란 말은 상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지속적’이란 말은 오랜 시간에 걸쳐 있다, ‘행동’은 성격이 행동으로부터 추론되는 것이란 뜻이다. 여기에 ‘비교적’이란 말에서는 성격이 변할 수도 있고 안 변할 수도 있다”는 여유를 남겨 놓고 있다.
한 교수는 “부부 혹은 대부분의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상대방의 성격을 바꾸려는 갈등”이라고 지적했다. 아내가 남편에게 잔소리를 할 때는 아내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대로 남편이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려는 이유에서다. 남편 역시 아내와 싸울 때는 아내가 자신의 생각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길 바라기 때문에서다. 한 교수는 “그러나 아무리 부부 싸움을 해도 상대방의 성격을 뜯어 고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경험에서 잘 아실 것”이라고 말했다. 청중석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한 교수는 “심리학의 대가인 프로이트가 모든 면에서 옳다고 할 수는 없지만 우리에게 훌륭한 관광 가이드가 있으면 더 쉽게 관광할 수 있는 것처럼 프로이트가 말한 성격의 구조를 살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듯 하다”고 본격적 강의를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성격의 3가지 구성 요소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꼽았다. 한 교수는 이것을 쉽게 욕망, 자아, 양심이라는 말로 설명했다. 욕망은 모든 동물이 가진 본능적 욕구다. 먹고 자고 배설하고자 하는 본능에 따른 욕구이며 쾌락의 원칙을 따라 간다. 즉 그것을 채움을 통해 즐거움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다. 먹고 싶으면 먹어야 하고 자고 싶으면 자야 하는 것이다.
반면, 자아는 현실의 원칙을 따라 간다. 먹고 싶다고 언제나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먹고 싶은 욕망이 생기면 음식을 준비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그 욕망을 풀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 이 자아는 욕망을 동물적 본능이 아닌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양심은 완벽의 원칙을 따라 간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한다고 명령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 그대로 양심, 도덕성, 윤리의 부분이다. 욕망이 “배가 고프니 무엇을 먹자”고 계속 독촉해도 도둑질 해서 먹지 않는 것이 우리의 성격에 양심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교수는 “양심이 높다고 해서 양심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그런 면에서 양심 역시 자아의 통제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 한 예는 마약의 흡입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마약 흡입이 나쁜 행동이란 가치관을 것과 실제 마약 흡입 여부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즉, 양심이 무엇이라 말하는가와 실제 행동은 어떤 면에서 무관하단 뜻이다. 다만 강한 자아를 갖고 양심이 시키는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이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서 우리의 성격을 구성하게 되는데 욕망은 동물적 본능이고 양심은 명령하는 것이기에 사실상 이 두가지를 통제하는 것은 자아다. 배가 고픈데 돈이 없다고 할 때, 욕망이 강한 사람은 빵을 훔칠 것이다. 양심을 통제하는 자아가 약하기 때문이다. 양심만 강한 사람을 빵을 쳐다 보기만 할 것이다. 훔치지 말라고 계속 명령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아가 강한 사람은 빵 가게로 들어가 주인에게 말하고 빵을 얻어 먹은 후 그날 하루 빵집에서 일해 주는 현실적 대안을 찾을 것이다. 자아를 통해 욕망과 양심의 두 가지 영역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성격은 이렇게 욕망과, 자아, 양심의 3가지 요소를 상황에 맞게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지속적으로 사용함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성격은 단순히 성격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사람이 태어나서 살아온 환경 속에서 자연스러운 산물로 형성되어 온 것이다. 즉 같은 씨앗이라도 옥토에 떨어지면 잘 자라고 자갈밭에 떨어지면 삐딱하게 자랄 수 밖에 없다. 자갈밭이란 상황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가장 최선을 다한 존재에게 넌 왜 옥토에서 자란 존재들처럼 자라지 못하냐고 아무리 말해봐야 소용이 없다. 자갈들을 치워내 주어야 한다.
한 교수는 사람들이 볼 때 긍정적인 성격, 혹은 부정적인 성격이 있다는 통념적 전제 하에서 “우리가 좋은 성격, 성숙한 인격을 갖기 위해서는 이 자갈을 치워내는 작업을 해야 하며 이것은 인간 성격의 3가지 중 욕망과 양심을 제어하는 자아를 어떻게 강화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첫날 강의를 맺었다.
시카고한인교회에서 오후 8시에 시작된 이 집회는 오후 10시까지 뜨거운 열기 가운데 계속됐으며 한 교수는 오랜 상담 경험에서 나오는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진지함과 웃음에 담아 강의로 이어갔다. 한 교수는 이후 5일, 6일 양일에 걸쳐 성격 성숙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지, 그 방법은 무엇인지를 다루게 된다.
우리는 성격이란 말을 자주 쓴다. “성격이 좋다, 성격이 급하다, 성격이 더럽다”고 말하는데 과연 이 성격이 무엇일까? 우리는 그 사람의 성격이 어떻다고 말하면서 마치 그 사람에 관해 잘 아는 것처럼 말하지만 정말 한 사람의 성격을 모든 방면에서 정확히 아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심리학자들이 내리는 성격의 정의는 “한 개인의 비교적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행동의 경향성”이다. 이 정의에서 ‘한 개인’이란 말은 모든 사람의 성격이 다르다는 뜻이며, ‘안정적’이란 말은 상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지속적’이란 말은 오랜 시간에 걸쳐 있다, ‘행동’은 성격이 행동으로부터 추론되는 것이란 뜻이다. 여기에 ‘비교적’이란 말에서는 성격이 변할 수도 있고 안 변할 수도 있다”는 여유를 남겨 놓고 있다.
한 교수는 “부부 혹은 대부분의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상대방의 성격을 바꾸려는 갈등”이라고 지적했다. 아내가 남편에게 잔소리를 할 때는 아내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대로 남편이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려는 이유에서다. 남편 역시 아내와 싸울 때는 아내가 자신의 생각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길 바라기 때문에서다. 한 교수는 “그러나 아무리 부부 싸움을 해도 상대방의 성격을 뜯어 고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경험에서 잘 아실 것”이라고 말했다. 청중석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한 교수는 “심리학의 대가인 프로이트가 모든 면에서 옳다고 할 수는 없지만 우리에게 훌륭한 관광 가이드가 있으면 더 쉽게 관광할 수 있는 것처럼 프로이트가 말한 성격의 구조를 살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듯 하다”고 본격적 강의를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성격의 3가지 구성 요소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꼽았다. 한 교수는 이것을 쉽게 욕망, 자아, 양심이라는 말로 설명했다. 욕망은 모든 동물이 가진 본능적 욕구다. 먹고 자고 배설하고자 하는 본능에 따른 욕구이며 쾌락의 원칙을 따라 간다. 즉 그것을 채움을 통해 즐거움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다. 먹고 싶으면 먹어야 하고 자고 싶으면 자야 하는 것이다.
반면, 자아는 현실의 원칙을 따라 간다. 먹고 싶다고 언제나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먹고 싶은 욕망이 생기면 음식을 준비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그 욕망을 풀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 이 자아는 욕망을 동물적 본능이 아닌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양심은 완벽의 원칙을 따라 간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한다고 명령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 그대로 양심, 도덕성, 윤리의 부분이다. 욕망이 “배가 고프니 무엇을 먹자”고 계속 독촉해도 도둑질 해서 먹지 않는 것이 우리의 성격에 양심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교수는 “양심이 높다고 해서 양심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그런 면에서 양심 역시 자아의 통제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 한 예는 마약의 흡입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마약 흡입이 나쁜 행동이란 가치관을 것과 실제 마약 흡입 여부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즉, 양심이 무엇이라 말하는가와 실제 행동은 어떤 면에서 무관하단 뜻이다. 다만 강한 자아를 갖고 양심이 시키는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이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서 우리의 성격을 구성하게 되는데 욕망은 동물적 본능이고 양심은 명령하는 것이기에 사실상 이 두가지를 통제하는 것은 자아다. 배가 고픈데 돈이 없다고 할 때, 욕망이 강한 사람은 빵을 훔칠 것이다. 양심을 통제하는 자아가 약하기 때문이다. 양심만 강한 사람을 빵을 쳐다 보기만 할 것이다. 훔치지 말라고 계속 명령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아가 강한 사람은 빵 가게로 들어가 주인에게 말하고 빵을 얻어 먹은 후 그날 하루 빵집에서 일해 주는 현실적 대안을 찾을 것이다. 자아를 통해 욕망과 양심의 두 가지 영역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교수가 오랜 연구와 경험에서 나오는 다양한 사례를 발표하며 청중들에게 성격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
한 교수는 사람들이 볼 때 긍정적인 성격, 혹은 부정적인 성격이 있다는 통념적 전제 하에서 “우리가 좋은 성격, 성숙한 인격을 갖기 위해서는 이 자갈을 치워내는 작업을 해야 하며 이것은 인간 성격의 3가지 중 욕망과 양심을 제어하는 자아를 어떻게 강화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첫날 강의를 맺었다.
시카고한인교회에서 오후 8시에 시작된 이 집회는 오후 10시까지 뜨거운 열기 가운데 계속됐으며 한 교수는 오랜 상담 경험에서 나오는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진지함과 웃음에 담아 강의로 이어갔다. 한 교수는 이후 5일, 6일 양일에 걸쳐 성격 성숙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지, 그 방법은 무엇인지를 다루게 된다.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