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사업에 있어 한국교회의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었던 평양과기대가 북한 당국으로부터 준공식을 허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대 관계자는 최근 “기다리던 김진경 총장 임명식 및 준공식 허락서가 (북한으로부터) 도착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은 7월 중에 계획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지난해 4월 개교를 목표로 했던 과기대는, 우여곡절 끝에 이를 연기해 지난해 12월 4일로 개교 확정 소식을 전해왔다. 하지만 개교식을 눈앞에 뒀던 12월 1일, 북한이 개성공단 상주 인력의 대폭 축소, 육로통행 제한·차단 등의 내용을 담은 ‘12·1 조치’를 단행하는 등 급격히 냉각된 남북관계로 무기한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

과기대 시공사가 중국 건설사인 관계로 건물 공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계속된 경색국면으로 과기대 사업 남한 관계자는 올해 2월 이후로는 현지에 체류하기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식량 등을 인도적으로 지원하는 단체 외에는 대부분이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가운데 김진경 총장은 지난 4월 중순 경 평양에 체류하면서 당국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추진했다. 그리고 5월 중순 북측으로부터 급히 입국해달라는 연락을 받고 들어가 학교 준공식과 총장 임명식을 7월 중으로 갖기로 합의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北 일방적 도발로 수 차례 연기… 앞으로도 미지수
‘인도적 지원’ 과기대측 난관 봉착, “안정 보장돼야”


하지만 일촉즉발 위기의 현재 남북 관계에서 이번 준공식 허가 공문이 개교를 장담해 준다는 보장은 없다. 과기대 관계자조차 “많이 기다리던 문건이라 기쁘지만 앞으로 일이 어떻게 진전되어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또한 암담하다”고 밝혔다.

학교 설립에 대한 과기대측의 노력과는 달리 북한은 개성공단 근로자 억류, 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 지속적으로 안보 불안감을 조성하며 인도적 남북 협력조차 모든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했다. 때문에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전후 시점에서 보내온 이번 공문은 시종일관 일방적인 자세를 취해왔던 북한이 계속되는 개교 연기로 난관에 봉착한 ‘과기대 달래기’ 용이 아니냐는 의견도 없지 않다.

5월 북측과의 합의 후 김 총장은 이 같은 내용을 갖고 정부 당국과 대화를 시도했으나 정부는 남북 간 대립이 극도로 고조된 상태에서는 난감하다는 입장을 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적인 개교에 필수적인 미국의 전략물자 반입 승인 역시 1년 넘게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적 지원’이라는 명분 아래 학교 설립에 전력을 기울여 왔던 과기대 관계자들조차 당황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학교측 다른 한 관계자는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싶어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국민들에게 명분을 내세우기 어렵지 않겠느냐”며 “남북 간의 정치적 관계에 근본적인 해결이 있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북한은 몇 개 과만 우선적으로라도 개교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라면서도 “무언가 정확하게 준비되고 안정된 상황이 보장된 시스템 아래서 개교되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엽적인 대립이 아닌 근본적인 대립이 많아 다들 관망하시는 것 같다”며 “금년에는 좋은 소식을 듣길 바랄 뿐”이라고 말을 흐렸다.

이와 별도로 북한은 평양과기대 교수진의 3분의1은 백인을 포함한 타 인종, 3분의1은 한국인 및 외국 시민권자, 나머지 3분의1은 한국 국적을 가진 교수로 구성해 달라고 한국측에 요청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평양과기대는 동북아교육문화재단(공동 이사장 곽선희, 김삼환 목사)의 추진으로 2001년 남북한 정부의 허가를 받은 이후 2002년 6월 착공했다. △정보통신 △산업경영 △농업식품공업 등 3개 단과대학으로 출발해 보건과 건설을 추가할 계획으로 선발 인원은 매년 500~800명 선으로 우선적으로 대학원생 150명을 선출키로 한 상태다.

현재까지 투자규모만 공식적으로 313억원이 소요된 것으로 전해지며 명성교회(김삼환 목사) 등 교회를 중심으로 종교단체 및 시민단체 등 각계 각층에서 지원되어 왔다. 하지만 착공 이래 구체적인 모금 상황과 사용처가 공개되지 않아 일각에서 투명성 의혹도 제기되어 왔으며 감상적 대북지원 및 과학기술 이전에 따른 안보위기 논란도 없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