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온 국민이 충격에 빠졌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은 시기적으로도 갑작스러울 뿐더러, 죽음을 택한 방법 또한 너무나도 극단적이어서 그 충격과 파장 또한 헤아릴 수 없을 지경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이, 그동안 잠재돼 왔던 우리 사회 모든 갈등의 대충돌로 비화될 조짐마저 보여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고인의 생전에 너무나도 많은 갈등과 반목을 겪었기에, 또한 고인이 세상을 떠난 시점이 너무나도 미묘하기에 아무래도 그의 죽음은 더욱 큰 비극들을 불러올 것만 같은 느낌이다. 벌써부터 고인과 대립했던 정치인 혹은 기관들이 일부 여론의 공격에 직면하고 있다. 고인의 측근이던 한 정치인이 현 대통령 등을 향해 “당신이 원했던 결과가 이것이냐”고 외쳤던 모습이 고인을 지지하고 사랑했던 많은 이들의 그같은 심경을 대변해주고 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지나치게 감정적인 반응, 그리고 고인의 정적(政敵)들을 모조리 ‘가해자’ 혹은 ‘살해자’로 몰아가는 현 논리는 위험하기 그지 없다. 그것은 “누구도 원망하지 말라”던 고인의 유지에도 맞지 않는 일이다.
더욱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이 ‘자살’이었다는 점 또한 현 세태를 걱정하게 하는 이유다. 사회적으로 최고위직에 있었던, 수천만 국민의 지도자였던 인물이 그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떠난 것은 이 땅의 젊은이들과 민중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자칫 고인을 추모하고 그 뜻을 기리는 과정에서 자칫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마저도 정당화되고 옹호될까 염려된다.
기독교계는 지금의 이 난국을 맞아 여론이 잘못된 목소리에 선동되는 것을 경계하고, 이 비극적인 사건이 국민 화합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한다. 자칫 고인을 조롱하거나 정죄하는 것으로 들릴 수 있는 발언은 삼가야 하며, 여론이 격앙돼 있는 이 때 섣부른 비판도 자제해야 한다. 혹여 생전에 고인과 대립각을 세운 일이 있었다 하더라도, 지금은 우선 이 헤아릴 수 없는 비극에 슬퍼하며 하나님 앞에서 그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순서요 도리일 것이다.
고인의 생전에 너무나도 많은 갈등과 반목을 겪었기에, 또한 고인이 세상을 떠난 시점이 너무나도 미묘하기에 아무래도 그의 죽음은 더욱 큰 비극들을 불러올 것만 같은 느낌이다. 벌써부터 고인과 대립했던 정치인 혹은 기관들이 일부 여론의 공격에 직면하고 있다. 고인의 측근이던 한 정치인이 현 대통령 등을 향해 “당신이 원했던 결과가 이것이냐”고 외쳤던 모습이 고인을 지지하고 사랑했던 많은 이들의 그같은 심경을 대변해주고 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지나치게 감정적인 반응, 그리고 고인의 정적(政敵)들을 모조리 ‘가해자’ 혹은 ‘살해자’로 몰아가는 현 논리는 위험하기 그지 없다. 그것은 “누구도 원망하지 말라”던 고인의 유지에도 맞지 않는 일이다.
더욱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이 ‘자살’이었다는 점 또한 현 세태를 걱정하게 하는 이유다. 사회적으로 최고위직에 있었던, 수천만 국민의 지도자였던 인물이 그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떠난 것은 이 땅의 젊은이들과 민중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자칫 고인을 추모하고 그 뜻을 기리는 과정에서 자칫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마저도 정당화되고 옹호될까 염려된다.
기독교계는 지금의 이 난국을 맞아 여론이 잘못된 목소리에 선동되는 것을 경계하고, 이 비극적인 사건이 국민 화합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한다. 자칫 고인을 조롱하거나 정죄하는 것으로 들릴 수 있는 발언은 삼가야 하며, 여론이 격앙돼 있는 이 때 섣부른 비판도 자제해야 한다. 혹여 생전에 고인과 대립각을 세운 일이 있었다 하더라도, 지금은 우선 이 헤아릴 수 없는 비극에 슬퍼하며 하나님 앞에서 그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순서요 도리일 것이다.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