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목회자의 월평균 소득이 천주교와 불교 성직자들의 그것보다 약 2배 정도 높고, 4명 중 1명은 마땅한 노후준비 수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이하 연구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개신교 목회자의 월평균 소득은 202.10만원이었고, 천주교는 102.27만원, 불교는 99.77만원이었다. 반면, 월평균 생활비 지출은 개신교 131.69만원, 천주교 69.95만원, 불교 79.38만원이었다.
이들의 소득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사례비였는데, 전체 응답자 중 약 92%가 사례비를 받고 있었다. 평균 사례비는 월 약 139만원 수준이었다.
연구원은 60세 미만 전국 개신교 목회자 262명, 천주교 성직자 259명, 불교 성직자 27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4월 29일부터 7월 18일까지, 이들의 노후보장 살태 등을 조사했다. 개신교 조사 대상자의 경우 예장 합동·통합, 감리회, 기장 소속이었다.
이번 조사의 목적이 이들의 소득 수준 등을 파악해 은퇴 후 노회보장을 위한 공적연금 가입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어서, 소득과 지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이 이상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개신교 조사 대상자들의 은퇴 예상연령은 68.92세였다. 불교가 74.57세로 가장 높았고, 천주교도 69.19세로 개신교에 비해 조금 높았다.
또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31.3%가 마땅한 노후준비 수단을 갖고 있지 못했다. 개신교의 경우 그 비율은 26.3%로 전체 평균보다는 낮았다. 4명 중 1명은 노후가 불안한 셈이다. 불교가 45.5%에 달해 가장 높았고, 천주교는 21.2%로 가장 낮았다.
개신교 응답자들 중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은 49.6%가 '종교단체(교단) 제공 연금제도'를 선택하고 있었고, 이어 34.7%가 '공적연금제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연구원은 "2015년 12월 기준 일반인(비성직자)의 18~59세 총인구 대비 공적연금 가입률이 69.3%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성직자의 (공적연금제도) 가입률은 상당히 낮은 편"이라며 "의료·의식주·여가 등과 관련된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성직자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 수준이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어 "개신교·천주교·불교 등 국내 주요 종교의 성직자들은 국민연금과 같은 기본적인 공적 노후소득보장제도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며 "또한 종교단체에서 제공하는 자체적인 노후보장제도 역시 급여수준이나 적용범위 측면에서 상당히 열악하고, 개인연금이나 가족으로부터의 지원 역시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은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소규모 교단(종단) 소속 성직자들에게는 훨씬 더 심각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