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뷔통, 구찌, 샤넬 등 값비싼 해외명품을 구입한 소비자 3명중 1명은 할부금을 갚느라 고생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0세 이상 수입명품 구입자 500명을 대상으로 '해외명품브랜드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9.8%가 "명품을 카드할부로 구입후 할부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10명중 4명은 "돈이 모자라 짝퉁상품 구입을 고려해봤다"(37.5%)고 답했고, "돈이 없어 중고품 구입을 생각해봤다"는 답변도 24.3%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고가 사치품 시장규모가 지난해 5조원을 넘는 등 국내 명품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며 "명품의 대중화를 일으킨 가장 큰 이유가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한다는 밴드왜건 효과인데 이로 인해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남을 따라 무리하게 명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명품구입자의 75.3%가 '요즘 명품을 구입하는 것이 예전만큼 특별한 일이 아니다'고 답했고<'예전과 비슷' 19.6%, '그렇지 않다' 5.1%>, 구입자의 40.3%는 '남들이 갖고 있어서 명품을 구입했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 28.8%, '보통' 30.9%>
한편, 소비자 대다수는 향후에도 해외명품을 계속 구입할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2년간 해외명품 구매횟수에 대해서는 '줄었다'(24.0%)는 응답이 '늘었다'(23.5%)는 답변보다 다소 많았지만,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답변이 52.5%로 과반을 차지했다. 구입한 품목으로는 '가방·지갑 등 피혁제품'(92.8%)이 최다였고, 이어 '시계 및 악세서리'(52.0%), '패션의류'(36.0%), '구두'(27.8%)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구입계획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4.8%가 '계속 구입할 것'이라고 답했고, <'의향 없음 15.2%> 구입시기로는 '6개월~1년 내'(36.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3~6개월' 21.2%, '유동적' 19.8%, '1~2년' 12.1%, '3개월' 10.0%>
대한상의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명품소비가 위축되지 않는 것은 명품구입이 이미 일상화된데다 명품을 보다 수월하게 구입할 수 있는 쇼핑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소비자들은 얇아진 지갑을 대신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동원해 해외명품 구입에 나서고 있었다. 해외명품 구매방법에 대해 '인터넷, 백화점, 면세점 등 가장 저렴한 곳을 찾아다니며 발품을 팔았다'는 소비자가 63.8%였고<'그렇지 않다' 13.8%, '보통' 22.4%> '주로 세일기간에 명품을 구입했다'는 소비자도 53.5%로 절반을 넘었다.<'그렇지 않다' 16.3%, '보통' 30.2%> '동일브랜드 내 가급적 저렴한 상품을 구매한다'는 소비자도 42.0%나 됐다. <'그렇지 않다' 21.0%, '보통' 37.0%>
해외명품 가격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품질에 비해 높은 편'(84.8%)이라고 답했고, <'적당하다' 12.2%, '낮은 편' 3.0%> 그 이유로는 '브랜드의 고가전략'(46.0%), '브랜드명성'(35.1%), '희소성'(5.6%) 등을 지적했다.
해외명품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에 대해서는 '브랜드 파워가 있다'(58.0%)는 답변이 첫 손에 꼽혔고, 이어 '비싼 가격'(55.3%), '우수한 품질'(46.5%), '뛰어난 디자인'(43.0%), '희소가치'(32.8%) 등이 차례로 꼽혔다.
명품구매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 응답자들은 '디자인'(36.5%), '브랜드 명성'(26.3%), '품질'(14.5%), '가격'(13.8%), '희소성'(8.8%) 등을, 구매 장소로는 '백화점'(40.0%), '공항면세점'(20.5%), '시내면세점'(11.5%), '온라인면세점'(5.5%) 등을 차례로 꼽았다. <'프리미엄아울렛' 4.5%, '독립매장·멀티숍' 3.5%, '오픈마켓' 3.5%, '기타' 11.0%>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명품은 소비자에게 자신감을 불어넣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과소비를 조장하고 외화의 국외유출을 부추기는 부정적 측면도 존재한다"면서 "무조건적인 해외명품 선호보다는 경제적 수준에 맞는 합리적 소비문화 정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