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간이 가진 최고의 지성과 고도의 기술을 융합해, 그 시대 최고의 문화적 결정체를 만드는 일이 바로 교회 건축이었으며, 이는 한 시대의 예술혼을 이끄는 좌표였다.”

건축가 승효상 씨의 말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교회 건축 또한 그러한가?” 승 씨의 대답은 “아니오”였다.

그는 마산성당, 경동교회 등 한국 현대 건축사에 획을 긋는 작품들을 남긴 스타 건축가다. 그가 29일 오후 서울 약수교회에서 문화선교연구원과 예장(통합) 총회문화법인이 ‘교회 건축, 지역사회와 만나다’를 주제로 주최한 문화목회 컨퍼런스에 기조강연자로 나섰다.

그는 오늘날 한국의 교회에 대해 “고딕양식과 현대 건축양식을 적당히 혼합해 놓은 매우 기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며 “왜 교회를 짓는지 알지 못한 채 건축을 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승 씨는 “어느덧 교회는 뾰족탑을 세워야 교회다워 보인다고 여기는 것 같다. 소위 이 시대 교회 건축의 형식이 된 셈”이라며 “마치 뽀족탑에 신성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면서 그 건축 자체는 지극히 세속적이고 탐욕적”이라고 했다.

뾰족탑 세워야 교회다워 보인다고 여기는 듯
검박·겸손하나 삶의 가치 알려주는 건축 해야

그는 또 “이런 건축이 교회일지는 몰라도 ‘교회적’이진 않은 것 같다”며 “우리는 ‘교회 건축’을 ‘교회적 건축’과 착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승 씨는 “건축은 그 시대의 미학을 표현해야 한다. 교회 건축도 예외일 수 없다”며 “우리가 지금 다원적 민주주의 시대에 산다면 당연히 교회도 이 사상적 토대 위에서 건축돼야 한다. 그렇지 않고 여전히 고딕의 껍데기인 뾰족탑을 고집하거나 고딕의 양식을 답습하는 교회는 시대로부터 버림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건축을 말하면서 승 씨는 “누구에게도 평등한 사회 속에서 교회는 무엇보다 만민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며 “선택된 자들이므로 우리만 구원받는다는 생각에 벽을 쌓고 대문을 둘러 단절된 형태의 교회를 만든다면, 그 교회는 전통적 교회 역사 위에 서 있기 힘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회 건축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승 씨는 “검박하고 겸손하게 서 있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일인가를 끊임없이 알려주는 건축이 좋은 건축”이라며 “그런 교회가 진정 위엄 있는 교회다. 뾰족탑이 내뱉는 허위의 위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참 위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