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NCCK <사건과 신학>에서 '드라마 오징어 게임; 'K-'를 생각한다'라는 주제를 다룬 가운데 이찬석 NCCK 교회일치위원(협성대)이 '오징어 게임과 K-기독교'라는 글을 게재했다.

오징어 게임을 두고 안티 기독교 논란을 의식한 이찬석 위원은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나오는 가장 자극적인 비판을 먼저 조명했다. 다름 아닌 목사의 딸인 240번의 지영의 고백을 다시금 회상시켰다. 극중 그녀는 네 번째 구슬치기의 시간에 67번 탈북여성에게 "학교에 갔다가 돌아오니 엄마가 방바닥에 누워서 죽어 있었어. 그 옆에 아버지란 인간이 칼을 들고 서 있었고, 그 다음으로 본 건 우리 아버지 시체. 그 옆에 칼을 들고 서 있던 건 나였고. 그 인간 직업이 목사였어. 엄마를 때리고 나한테 그 짓을 하고 나면 항상 기도했어. 우리 죄를 사하여 달라고. 근데 엄마를 죽인 날은 기도를 안 하더라? 죄를 용서받지 못할 걸 알았나?"라고 고백한다.

이에 이찬석 위원은 "한국 프로테스탄트의 많은 교회가 종교 개혁 전통에서 '오직 믿음으로만'에 강조점을 찍고 회개와 믿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본회퍼의 말대로 복종과 제자도(discipleship)를 상실한 '값싼 은혜'(cheap grace)의 종교가 되었다"며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마 7:21)라는 행함을 강조하는 예수의 가르침보다는 "만일 하루에 일곱 번이라도 네게 죄를 짓고 일곱 번 네게 돌아와 내가 회개하노라 하거든 너는 용서하라"(눅 17:4)는 말씀을 더 선호하고 강조하는 비윤리적이고 율법 무용론적인 K-기독교의 수치스러운 민낯이 240번 지영의 고백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주인공 성기훈은 게임 참여자 456명 중에서 꼴찌 456번으로서 최종 우승자가 되고 상금 456억을 받고 도심의 길가에 버려진다. 예수 천국 불신 지옥을 외치면서 전도하던 한 기독교인은 쓰러져 있는 성기훈에게 다가와서 이렇게 말한다"며 ""예수 믿으세요!" 교회 성장론에 매몰된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선교'보다는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의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일방적인 '노방전도'를 행하였다. 노방전도를 하는 사람의 모습에서 하나님의 나라보다는 교회 성장에 더 치중하였던 K-기독교의 삐뚤어진 민낯이 드러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교회 안에는 종교(바르트의 종교개념)를 지향하기보다는 복음과 예수의 가르침에 헌신하며 하나님의 나라를 일구어 가는 많은 교회가 있다"며 "그러므로 많은 기독교인이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기독교를 너무 부정적으로 그리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그러한 평가는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회와 기독교인의 삶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벗어나는 모습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오징어 게임에 나오는 244번 남자, 240번 지영의 아버지, 예수 천국 불신 지옥을 외치는 노방 전도인의 모습을 통하여 드러나는 K-기독교의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민낯은 바르트가 제시하는 종교의 모습에 상응한다. 반대로 오징어 게임 안에는 죽음의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을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들이 속속 등장한다"고 질타했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등장하는 희생정신의 의미도 되새겼다. 실제로 오징어 게임에 등장하는 첫 번째 게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에서 이주노동자 알리는 자신도 움직이면 죽을 수 있는 상황에서 넘어지는 주인공 성기훈을 붙잡고 도와주어 살려준다. 또 240번 지영은 구슬치기 게임에서 구슬을 벽에 가까이 던지지 않고 자신 앞에 툭 떨어뜨리면서 67번 탈북인 강새벽에게 게임과 생명을 양보한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넌 여기서 나갈 이유가 있지만 난 없어 · · · 이유가 있는 사람이 나가는 것이 맞잖아."

이 뿐 아니다. 마지막 게임인 오징어 게임에서 주인공 성기훈은 쌍문동의 천재 조상우를 죽일 수 있는데도 죽이지 않고 게임장에서 퇴장하려고 뒤돌아선다. 또 병정이 상우를 죽이려고 하자 기훈은 병정에게 "게임을 그만두겠어. 동의서 3항 참가자 과반수가 동의하면 게임은 중단된다"라고 말하고 쓰러져있는 상우에게 손을 뻗으며 "집에 가자"라고 말한다. 하지만 상우는 빚더미에 오른 자신의 삶과 어머니의 여생을 걱정하며 "형 미안해"라고 말하며 흉기로 자신을 찌르고 만다. 이 위원은 "기훈은 상우를 위하여 희생하고, 상우는 기훈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것이다"라고 했다.

아울러 이 위원은 "타자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몫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은 예수의 삶과 가르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고 그 절정은 골고다 언덕에서의 십자가 사건에서 꽃을 피운다"고 했다.

주인공 역을 맡았던 배우 이정재의 NYT 인터뷰도 인용했다. 이정재는 인터뷰 중 오징어 게임은 삶의 벼랑 끝에 선 사회의 낙오자들 456명이 목숨을 걸고 상금 456억 원을 타기 위한 생존게임을 벌인다는 내용이지만 게임의 참가자들은 생존게임을 벌이면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 분투한다고 말한바 있다.

특히 이정재는 당시 인터뷰에서 "한국 사람은 이타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고 친구가 매우 소중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 오징어 게임은 이타주의라는 주제를 (드라마 속) 생존게임과 연계시켰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위원은 "오징어 게임 드라마에 나오는 기독교인의 모습은 예수가 선포한 메시지의 본질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타자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이타주의적 장면과 모습들은 예수의 가르침과 동선을 같이한다"고 했다.

이 위원은 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너무 폭력적이고 잔혹하다,' '한국의 순수한 전통 놀이를 왜곡한다,' '기독교를 왜곡한다,' 등 다양한 비판을 받고 있지만, 제작자의 속 깊은 의도는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의 희생과 협력으로 보인다"며 오징어 게임 감독 황준혁의 작품 의도 역시 살펴봤다.

앞서 황 감독은 오징어 게임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우화"라며 "오징어 게임은 한국 사회가 경쟁에 부여하는 중요성과 패자에 대한 자본주의의 잔혹성을 언급했다. 극 중 보여주듯 패배자 성기훈도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끝까지 갈 수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무엇보다 이 위원은 1번 오일남이 구슬치기 게임에서 깐부를 맺는 장면을 짚었다. 드라에서 오일남은 "깐부끼리는 네 거 내 거가 없는거야"라고 말한다. 이에 이 위원은 "한국의 기독교는 오징어 게임에서 드러난 것처럼 잔혹한 자본주의에 편승하여 이기주의와 성장과 경쟁의 늪에 빠졌던 수치스럽고 부끄럽고 삐뚤어진 모습들을 인정하고, 치열한 경쟁에서 낙오한 패배자들과 깐부 맺는 K-기독교로 거듭나야 한다"며 "기독교인들은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반기독교(교회)적인 요소에 거부반응을 보이기보다는 예수의 가르침을 담고 있는 장면들에 더 굵은 밑줄을 긋고 K-기독교의 방향성에 대하여 생각에 잠겨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의 기독교는 이기적/기복적 믿음을 넘어서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갈 5:6)을, 개인적 성화를 넘어서 사회적/우주적 성화를, 교회 성장을 넘어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강조하는 K-기독교로 성숙해야 한다. 복음과 한국의 선조들이 추구하였던 상생(相生)의 전통을 토대로 자본주의를 완성하는 글로컬 기독교가 K-기독교의 지향점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