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환경부가 삼겹살이 목에 낀 먼지나 황사를 제거해 준다는 속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곤욕을 치렀다.

환경부와 양돈업계가 삼겹살을 놓고 갈등을 빚다 결국 환경부가 사과했다.

환경부는 최근 발간한 웹진 "환경을 알면 건강이 보입니다"에서 "삼겹살은 황사 피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 차라리 실내에 머물고 물을 많이 마시라. 공기 청정을 위해 오히려 고기는 굽지 말라"고 조언했다.

그리고 "목에 낀 먼지를 제거하는 데에는 삼겹살이 최고라는 속설은 과거에 광부들이 탄광에서 일을 마치고 술을 마실 때 삼겹살을 안주삼아 먹던 데서 생긴 인식"이라 말했다.

이쯤 되자 대한한돈협회는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한돈농가의 고통과 어려움을 읽지 못한 환경부의 발표가 소비 회복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혹평했다. 또 "돼지고기가 체내의 중금속을 해독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상식이며 과학적 연구 결과"라고 주장했다.

환경부가 "단순히 흙먼지였던 황사는 요즘은 중국의 공업화로 중금속 외에도 바이러스 등 각종 유해인자들이 섞여 있다 볼 수 있다"고 했음을 이용해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윤성규 장관은 이 성명이 발표된 지 하루만인 2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민주통합당 이낙연 의원이 "돼지가격이 폭락하고 양돈 농가가 위기에 처했는데 학문적 논란이 있는 발표를 왜 했는가"라고 묻자 즉시 "오판했다. 바로 잡겠다,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