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30일 "자신이 사회적 기대에 어긋나지 않을수 있을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과정에 있다"며 대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내비쳤다.


안원장은 이날 부산대에서 열린 특강에서 학생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며 "정치인들은 자신의 뜻을 대중에게 밝히고 찬성하는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행동한다"며 "그러나 제 경우 사회변화에 대한 열망들이 저를 통해 분출된 것"이라며 자신을 향한 국민의 지지를 해석했다.


안원장은 "그렇기 때문에 그것들이 온전히 저 개인에 대한 지지라고 생각하면 교만이다"며 "자신이 정치를 하게 된다면 사회적 기대에 어긋나지 않을 수 있을까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하고 지금 그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통합진보당 폭력사태에 대한 생각을 묻는 학생들의 질문에 "다양성의 시대에 소수의 약자를 대변하는 진보정당은 기성정당보다 민주적 절차를 중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진보정당이 인권평화와 같은 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하는데 이러한 잣대가 북한에 대해서만 다르게 적용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유독 이 문제가 안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국민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며 "국가경영에 참여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은 이 문제에 대해 입장을 솔직하게 밝히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내세웠다.


그러나 안원장은 "부분의 문제는 부분의 문제로 봐야 한다"며 "이 문제가 건강하지 못한 이념문제로 확산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안원장은 이날 개원한 19대 국회에 대해 "원 구성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 서로 날을 세우고 있다"며 "구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안원장은 문재인 이사장의 공동정부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앞서 안원장은 '지금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이라는 주제로 우리의 시대적 과제로 복지·정의·평화를 제시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소통과 합의 정신을 강조했다.


안원장은 "최근에 노력한 것에 대해 인정해 주지 않는 스팩사회는 정의롭지 못하다"며 "이런 현상이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는 것이 국가와 정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같은 출발 선상에 서고, 경쟁을 할 때는 반칙과 특권이 없으며 결승점에서 패자에게 제도적인 기회가 주어질때 정의사회가 구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소통과 합의 정신을 말하며 "정치는 적을 무조건 불신하는 전쟁과 다르게 상대방도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기본적인 믿음을 가지고 싸우는 것"이라며 정치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이날 강연에 대한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부산대 실내체육관은 강연을 듣기 위해 모인 학생, 청중 2천500여명이 좌석을 모두 채우고 통로까지 메우는 성황을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