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이른바 `버핏세'로 불리는 부자증세는 올해 대선까지는 미국에서 진보와 보수 논쟁의 한복판에 자리잡을 것 같다. 부유층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고 주장해온 미국의 억만장자 투자가 워런 버핏은 오바마 진영에는 원군이지만, 공화당에는 비판의 표적으로 부상하며 정치판의 중앙무대에 단골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미 공화당의 떠오르는 정치 스타인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가 21일 버핏을 향해 '독설'을 퍼부으면서 부유세 논쟁에 또 다시 불이 지펴졌다. 크리스티 주지사는 이날 밤 CNN 방송에 출연해 `버핏세'를 비판하면서 버핏에 대해 "그냥 (세금을 내는) 수표나 쓰고 입을 닥치고 있어야 한다"고 쏘아붙였다.


직설적인 독설로 유명한 정치인인 그는 "그 얘기를 듣는게 질렸다"며 "버핏이 정부에 더 많은 돈을 내고 싶다면 수표를 쓸 능력을 갖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하며 "가서 그냥 수표를 쓰면 된다"고 말했다. 부자라서 돈을 내고 싶으면 조용히 정부에 세금을 더 많이 내면 되지 왜 떠드느냐는 얘기이다.


크리스티 주지사는 뉴저지 주민에 대한 소득세 10% 일괄삭감을 추진하고 있다. 뉴저지주 의회의 다수당인 민주당은 크리스티 주지사의 방안은 '부자를 위한 세제'라고 비판하고 있다.


민주당은 "크리스티 주지사 개편안대로 갈 경우 연간 5만달러를 버는 가정은 세금으로 80달러를 덜 내게 되지만, 1백만달러를 버는 부자는 무려 7천200달러를 챙기게 된다"고 지적했다. 증세와 감세를 놓고 연방정부든, 주정부 차원이든 민주당과 공화당이 전방위로 대결하는 형국인 셈이다.


백만장자 부유층에게 중산층 납세자보다 낮은 소득세율이 적용되는 것을 막자는 버핏의 주장은 크리스티 주지사의 방안과도 정면대립하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1백만달러 이상을 버는 부유층은 최저 30% 소득세율을 매겨야 한다는 `버핏세' 도입을 제안한 상태이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크리스티 주지사의 독설에 대한 논평을 요청받자 "공평과세라는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부터 화제를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말장난"이라고 일축했다. 카니 대변인은 "말장난과는 별개로 버핏세 규칙은 세제 개편 과정에서 반드시 적용돼야 할 중요한 원칙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티 주지사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뉴저지주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내가 버핏에게 말하고 싶은 것은 '더 많은 세금을 내고 싶으면 더 내라, 수표를 내고 입닥치고 조용히 있으라'는 것"이라고 비판을 반복했다.


공화당 지지자들로부터 대통령 선거 출마를 요청받아왔던 크리스티 주지사는 불출마를 선언한 상태이며 부통령 후보로도 계속 거론되고 있는 공화당내 인기가 높은 정치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