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한나라당은 26일 국민공모를 통해 당명을 개정키로 했다. 한나라당의 당명이 바뀌는 것은 지난 1997년 신한국당과 민주당의 합당으로 당이 출범한 후 15년만이다. 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당명 개정을 결정했다고 황영철 대변인이 밝혔다.


비대위는 오는 27일부터 사흘간 국민공모로 새 당명에 대한 의견을 접수한 뒤 홍보기획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당명 후보군을 압축하기로 했다. 이어 30일 비대위 회의에서 새 로고와 함께 개정된 당명을 의결하고 내달 3일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차례로 이를 당론으로 의결한 뒤 새 로고와 함께 발표키로 했다. 당명 개정 절차는 내달 10일까지 선관위 등록을 끝내면 완료된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4ㆍ11 총선 공천심사위원회를 11~13명 규모로 구성키로 했다. 당 내부 인사는 1/3 수준으로 제한하고 2/3 가량은 외부 인사로 채울 방침이라고 황 대변인은 밝혔다. 이에 따라 공심위 가운데 당 내부 위원은 4명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박 비대위원장은 회의 시작 전 티타임에서 비대위원들에게 공심위원 추천을 부탁했다고 황영철 대변인이 전했다. 비대위는 또 이공계 출신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이공계 정치 신인에게 경선시 최대 20%까지 가산점을 주기로 한 정치쇄신분과 안을 의결했다. 세부 사항은 공심위에서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공계 출신은 공고 졸업자 및 이공계열 학사 이상의 학력 소지자를 의미한다고 황 대변인은 설명했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당 예결위를 구성, 정치자금을 선관위에 회계 보고할 때 사용 내역을 검토하고 의결하도록 했다. 재선의 김기현 의원을 위원장으로 배영식ㆍ김태원ㆍ박보환ㆍ조윤선 의원 등 4명이 예결위에 참여한다.


이와 함께 홍보기획본부장 주관으로 `감동인물찾기 프로젝트'를 가동해 각 지역의 숨은 인재와 인물을 발굴하기로 했다. 조동원 홍보기획본부장은 "이메일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각 지역에 계시는 분들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지면 직접 찾아가 그들의 생생한 삶의 경험과 문제를 함께 챙겨나가겠다는 것"이라면서 "박 비대위원장도 직접 이들을 만나 삶의 현장을 찾아 소통과 화합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