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권력 3대 세습을 비판하거나 백안시했던 국제사회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후 이를 공식 또는 사실상 인정하는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2009년 1월 김 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이후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북한의 권력 3대 세습에 '공산왕조' 건설이란 부정적 시각을 견지해 왔다.


특히 중국조차 김 위원장과 북측의 끈질긴 요청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이 평양 최고지도자의 후계로 정해진 데 대해 지지를 보낸 적은 없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가 지난 19일 북한이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을 발표한 직후부터 급반전됐다.


먼저 북한과 혈맹임을 자랑해온 중국이 김정은으로의 최고 권력 이양에 관해 가장 발 빠르게 움직였다. 중국은 김정일의 사망 소식이 나온 당일 오후 곧바로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무원 등 당·정·군의 핵심 4개 기관 명의의 조전을 북한으로 보냈다.


조전에서 중국은 김정일의 사망을 애도하고 북중 양국의 전통적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당과 정부의 일관된 방침임을 천명했다.


이튿날인 20일 오전에는 국가주석 후진타오가 우방궈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리창춘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시진핑 국가부주석은 당·정·군 고위 관계자들을 대동하고 북한 대사관을 직접 찾아가 조문했다. 후 주석은 이 자리에서 김정은이 김정일의 후계자임을 중국 최고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


중국의 이 같은 신속한 행보는 김정일의 급사로 최고 권력이 공백상태에 빠질 경우 우려되는 북한 내 대규모 혼란을 막으면서 자국 이익에 기초해 최대 동맹국으로서의 강력한 지원을 과시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이밖에 러시아와 일본 등 한반도 주변 다른 열강도 김정은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식 인정은 없었지만 고위 관리들의 말로 미뤄볼 때 그의 권력 승계를 불가피하나마 기정사실로 인정하고 대비에 나서는 분위기다.


북한 정권의 3대 세습에 대한 세계 주요국의 이 같은 입장 변화는 김정일이 누구도 예측 못한 때 갑자기 숨졌고 그에 따른 북한 내 돌발적 상황 급변이 북한과 주변국은 물론 국제사회 전체에도 이롭지 못한 데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전반적인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