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주민들이 김정일의 죽음에 오열하는 사진 및 동영상이 발표되며, 북한 주민 눈물의 진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20일 ‘절대적 고립 속에 놓여있는 북한 주민들에게 ‘친애하는 지도자'는 날씨나 달과 같이 항상 곁에 있는 존재로 그가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기 때문에 통곡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론 매체들은 탈북자 등의 증언을 통해 “조작된 것”이라는 데 힘을 싣고 있다.

북한 내 자유를 위한 연합 ‘Liberty in North Korea(이하 LiNK)’에 연락한 탈북자들의 대부분은 “북 주민들의 눈물은 강요에 의한 억지 눈물”이라고 주장한다.

탈북자 신종욱 씨(가명, 20세)는 “북한 주민들은 슬픔을 가장하고 있다. 많은 업적을 세웠다고 여겨지며 북 주민에 의해 추앙받았던 김일성 죽음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일 것”이라며 “김정일 통치 시대는 상황이 훨씬 어려웠고, 이로 인해 주민들이 외부 세상에 눈을 뜨기 시작하고 북한 정권의 현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겉으로는 슬퍼하는 척 해도 속은 다르다. 슬픔을 표현하지 않으면 목숨이 위태롭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탈북자 남금숙 씨(가명)와 강보희 씨(가명)도 “북한에서는 지도자가 죽었을 때 울지 않으면 평생 반동 분자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고 증언했다.

한 탈북자는 오픈도어선교회를 통해 “김일성 동상 앞에 아무런 느낌 없이 서 있다가, 처벌받지 않기 위해 억지 눈물을 짜내야 했다. 나오지 않는 눈물을 흘리기 위해 바늘을 가지고 가 몸을 강하게 찔렀다”고 회고하며 “동영상에서 평양 주민들이 우는 모습은 모두 연기”라고 말했다.

또 중국 인터넷에서는 북한에 출장을 다녀온 남성이 올린 글이 화제가 됐다. 이 남성은 글에서 “김정일 사망 발표 당시 열차를 타고 있었는데, 다수의 외국인이 ‘울지 않았다’는 이유로 강제로 하차당했다. 나는 앞칸에서 다른 손님이 끌려 내려가는 것을 보고, 주위 사람들이 우는 모습을 흉내 내 큰소리로 울부짖은 덕에 간신히 열차에 남을 수 있었다”고 적었다.

한편, 독재 체제 유지를 위해 북 주민들이 겪을 고통은 더 극심해 질 것으로 탈북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LiNK에 증언한 탈북자 박윤주 씨(가명, 31세)는 “나는 김정일의 죽음이 슬프지도 기쁘지도 않다. 다만 지도자가 바뀌면서 강화될 체제 아래 고통받을 가족들이 더 걱정”이라며 “장마당은 닫혔고 정치적 목적의 행사들이 줄줄이 계획돼 있다. 북 주민들은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2월 17일(현지시각) 1998년 김일성 사후, 13년동안 북한을 세습통치하던 김정일이 사망했다. 1974년 후계자로 지명받은 후, 37년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김일성 우상화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이 철권통치자는 기차 안에서 쓸쓸히 생을 마쳤다. 북한중앙통신에 따르면, 그는 중증 급성 심근경색에 심장성 쇼크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