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C.S. 루이스는 『우리가 얼굴을 가질 때까지』라는 그의 저서에서 “너의 영혼이 진실로 투명해질 때 너는 얼굴을 가질 것이다” 라는 매우 영성있는 말을 했습니다.

예술가의 모든 작품들은 실로 그의 자화상들입니다. 작품 안에 그의 정체성과 세계관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좋은 예술작품이란 매우 투명하여 그 예술가의 영혼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예술작품을 감상한다는 일은 “영혼의 창”과 같은 그의 작품을 통해 나의 영혼과 예술가의 영혼이 만나는 경험인 것 같습니다.

저는 제 작년 늦봄에 미켈란젤로를 처음 만났던 것 같습니다. 그 전에는 저 유명한 그의 작품들인 <시스티나 천정화>라든지, <바티칸의 피에타>, <최후의 심판>같은 작품들을 그저 관광명소처럼 여기고 있었기 때문에 한 번도 자세히 드려다 보려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사실 21세기를 살면서 아주 특별한 관심이 아닌 다음에야 16세기를 살다 간 예술가를 관심있게 들여다보지 않게 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장신대 강의를 진행하는 중에 그림공부를 하다가 신학교를 왔다는 어떤 남학생이 저를 찾아와 <론다니니의 피에타>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었습니다.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작품이라면서 강의를 좀 해주면 안되겠느냐는 겁니다.

<론다니니의 피에타>라는 “영혼의 창”을 통해 만난 미켈란젤로는 제가 식상하게 알고 있던 미켈란젤로가 아니었습니다. 그 작품이 가진 영적인 아름다움은 정말 깊은 것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그의 초기작 <바티칸의 피에타>와 그의 마지막 미완성작 <론다니니의 피에타>를 비교하면서 강의를 준비했었습니다.

예술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예술가들이 고민하는 가장 근본적이며 핵심적인 문제는 내용과 형식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예술작품은 옷이며 그릇이며 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내용을 어떤 그릇에 담아내느냐, 나의 영혼에 어떤 몸을 입혀줄 것이냐, 나의 이야기에 가장 잘 어울리는 옷은 어떤 것일까... 그 질문은 예술가 뿐만 아니라 평론가나 감상자 모두에게 가장 중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질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저는 기독교적인 시각에서 <바티칸의 피에타>를 금그릇으로 비유하고 <론다니니의 피에타>를 “질그릇”, 질그릇 중에서도 “깨어진 질그릇”으로 비유해 보았습니다.

미켈란젤로의 작품들 중 그의 영혼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는 작품 일곱 개를 차례로 살펴보면서 그의 삶의 여정이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있었다는 것을 밝혀 보고자 시도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의 종착역은 역시 <론다니니의 피에타>를 통해 보는 미켈란젤로, 그의 영혼의 마지막 자화상일 것입니다. (계속)

심정아 작가는 뉴욕 Parsons School 학사, 뉴욕 Pratt Institute 석사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설치미술을 전공했으며 국립 안동대학교, 홍익대 조형예술대학, 경희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 중이다.

출처: 예술의 발현과 선교를 지향하며 아름답고 영화로운 예술장르를 그 목적으로 하는 공동체 아트미션(www.artmissi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