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사회를 변화 시킨다는 이론과 사회가 인간을 만들어 간다는 논쟁은 끝없이 오늘도 지속 되고 있다. 사실 시대에 따라 어떤 이론이 더 강하게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역사는 흘러가고 있다. 나는 커서 의사가 되겠다는 야망을 가졌으나 6.25 전쟁은 그 꿈을 송두리째 뽑아가고 다른 길로 가게 만들었다. 나만이 아니다. 단체나 국가도 전연 예상치 못 한 방향으로 가는 일이 너무도 많다.

6·25 사변: 우리 가족은 전쟁으로 너무도 많은 것을 잃었다. 작은 집이지만 평양에 있었다. 그 집을 마련하느라 부모님들은 얼마나 고생을 했던가, 그 안에는 남 여 다섯 형제들의 보금자리였으나 전쟁은 그 집을 송두리째 없앴다. 뿐만 아니다. 내가 집을 나갔다가 행방불명이 되자 오늘이나 혹시 내일이나 돌아오기를 염원하며 물을 떠놓고 빌기를 3년 이상을 했고 한다. 더욱 바로 밑의 남동생은 미군의 무차별 폭격으로 집 앞에서 즉사했고 옆에 계시던 삼촌도 같은 참변을 당했다.

부모님은 아들 둘을 잃고 큰 보따리를 이고 지고 어린 세 딸을 데리고 남쪽으로 내려가 대전의 피난민 수용소에 들어가서 가마니 몇 장으로 바람을 막고, 비를 피하며 여러 해 사셨다는 슬픈 이야기를 후에 들었다. 6.25가 터지던 날부터 계속 반복되는 평양의 뉴스는 남쪽의 괴뢰군이 북침을 해서 용감한 인민군은 반격에 나서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고 대전을 지나 낙동강에 이르렀고 곧 부산이 떨어진다는 말을 나는 믿을 수가 없었다. 이유는 우선 공산당들의 말은 진실성이 없고 또 남쪽에는 든든한 국방군이 있고 미국이 있는데 쉽게 무너진다는 말은 빨갱이들의 수작으로 생각했다.

내가 7월 9일 주일 교회에서 예배를 끝내고 집으로 가는 길에 정보원에게 끌려 간 곳이 평양역이었다. 그 곳에서 화물차에 실려 낮에는 미군의 폭격을 피해 굴속에 숨었다가 밤에만 가기를 3일간, 결국 도착 한 곳은 원산 근처에 있는 덕원이었다. 그 곳 까지 가는 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못하고 창문도 없는 화물차에서 대 소변을 보며 살아남았다. 그 곳에 도착한 수백 명이 배당 받은 것은 인민군 군복 그리고 2개의 수류탄과 소련제 소총이었다. 내가 그렇게도 싫어했던 공산당의 군인이 된 것은 나의 의지와는 정 반대의 길에 강제로 끼어 들어가 있었다. 그곳에서도 예수 자랑하다가 소대장에게 끌려가 권총을 이마에 대고 쏘아 죽이겠다는 협박을 받으면서도 안 죽고 은혜로 살아남았다.

그 해 10월 중순에 우리의 부대는 중국으로 후퇴 하게 되었다. 떠나기 전날 밤 한 민가에서 식사를 하다가 몇 방의 총소리에 장교들과 공산단원들은 어디로 도망가고 졸병만 몇 명 남은 것을 알기는 다음 날 아침 날이 밝으면서였다. 어수룩하고 동작이 느린 나 같은 친구들 중에서 몇 사람은 인민군 겨울옷을 주고 민간인 옷을 바꿔 입고 산에 며칠 숨어 있다가 입성하는 국군에게 귀순했다.

포로 생활: 전쟁은 새로운 방향으로 갔다. 엄청난 중공군의 침입으로 국군과 미군들은 후퇴하게 되자 포로들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문제가 생겼다. 후퇴하면서 데리고 가자니 힘들고 죽이자니 너무 많고 놓아주면 적군이 될 것이고……. 그 와중에 많은 포로들이 국군에게 처참하게 살해 되었다. 그 희생자들은 모두 한 가정의 귀한 아들들이지만 전쟁 속에서 귀천이 없이 파리 목숨처럼 명분 없이 죽어갔다. 그 와중에서도 운이 좋아 살아남은 포로들은 미국 LST 배에 실려서 부산 근교에 와서 천막을 치고 가마니 깔고 담요 한 장으로 살아야했다. 몇 달 후에는 부산도 인민군의 공격을 받을 위험을 느낀 미군은 포로들을 남쪽에 있는 외딴 섬 거제도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그 곳에서는 예상치 못한 또 다른 사건이 일어났다. 우익과 좌익의 싸움은 점점 가열되어서 잔인하게 죽이고 죽었다. 더욱 공산당원들은 기독교인들을 더 잔인하게 죽여 매장하거나 쓰레기통에 넣어 강에 갔다 버렸다. 그 속에서도 나는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열심히 전도하고 봉사했다.

전쟁에서 얻은 것: 전쟁은 없어야 한다는 평화주의자가 된 것이다. 또 있다. 생존의 존엄성이다. 살아있다는 그 자체 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 마치 미국의 남 북 전쟁을 배경으로 쓴 ‘바람과 함께 살아지다’에 나오는 주인공이 그 무서운 전쟁 통에 너무도 배가 고파 남의 무밭에서 무 한 자루를 뽑아 들고 외친다. “도둑질을 해서라도 살아야한다” 라는 생존의 절규다. 나도 6·25 의 전쟁에서 생존의 의지가 강하게 다져져서 그 후 어떤 어려운 일이 일어나도 감당할 수 있고 더욱 하루하루를 기쁘게 살아가는 자세가 되었다. 6·25 전쟁으로 내 꿈도 형제도 고향도 친구도 잃었으나 얻은 것도 있다. 즉 환경이 나의 꿈과 목적을 송두리째 빼앗아 갔을지라도 그 곳에서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나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멋지게 살아가는 오뚝이 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