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리의 들개가 석양머리 언덕에 혼자 서 있구나. 그것으로 충분하다. 오늘 아침 참새소리 이 가지 저 가지에서 분주하구나. 이것으로 천만 년 이래의 하루가 온전하다. 이렇게 어제 오늘의 삶을 이어 온다. 저 1960년대쯤 서울역에서 목포까지의 완행열차 비둘기호는 가다가 서고 가다가 서고 목적지는 더욱 아득하기만 했다. 그런 열차를 타 보고 나서 인생을 새삼 알게 되었던가.

대구에서 서울까지는 야간 급행열차로 7시간이나 걸렸다. 요즘 서울∼대전 고속철도는 1시간 안팎이다. 머쓱하다. 기차여행은 옆 좌석과의 말문이 트이기 일쑤이다. 뜻밖에 오랜만의 친구도 만나게 된다. 며칠 전 강연하고 돌아오는 길에 10년 만의 친구를 만났다. 그가 들려준 얘기가 인상 깊었다. 미국 동부 어느 대학 생물학 교수가 작은 네모 상자에 모래를 담아 거기에 라이보리 한 놈을 재배하는 실험을 했다. 날마다 물을 주었다. 3개월 뒤 거기에서 물만 먹고 싹이 자라나 열매를 달았다. 수분밖에 없었으니 이파리인들 빛깔이 진할 리 없고 열매도 푸짐하지 않았다.

아무튼 이만큼 되기까지 얼마나 뿌리가 내렸는가를 알기 위해서 상자를 떼어 내고 모래를 헤쳐 보았다. 잔뿌리가 아주 많았다. 솜털 비슷한 것은 현미경으로 계량했다. 그 3개월간 사방 30cm, 깊이 50여 cm의 상자 안에서 뻗어 내린 뿌리 길이를 환산해 보니 무려 1만1200km나 되었다. 거짓말 같았다.

기껏 한 줄기 곡식 초본(草本)인데 거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뿌리가 이렇게 엄청난 길이다. 그 네모진 상자 안에서 영양분을 필사적으로 찾아내야 하는 그 기나긴 뿌리의 헌신적인 역할이야말로 한 생명의 숨은 바탕이었다. 수분을 비롯한 철분 칼리 인산 등을 모래 속에서 빨아내어 줄기와 이파리와 열매를 만들어낸 것이다. 한 알갱이의 라이보리나 밀이 이런 뿌리라는 지하의 어머니 없이는 이 세상에 있지 못한다. 그렇다면 한 인간의 생존에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공이 들여져야 하는가. 한 사람의 생에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종류의 역할이 바쳐져야 하는가.

이 글은 시인이신 고은님이 동아일보에 개제했던 글의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우리 인생 자체가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고는 아무것도 아님을 작은 식물에게서도 배울 수 있음을 이야기 합니다. 작은 모레 상자에 심기운 식물이 살겠노라 뿌리를 내립니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죽거나 그 영양분이 공급되는 정도까지만 자라고 말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인생은 어디에 심겨져 있습니까? 우리 집 뒷마당에 심기어 졌다가 돌봄 없이 메말라 죽어버린 작은 나무 한 그루가 생각납니다. 그런 인생은 아니시길 바랍니다. 우리 집 뒷마당 보다 백악관이나 청와대에 심겨진 나무였다면 얼마나 관심과 사랑 속에 풍성한 모습을 드러내고 자랄 수 있었을까요? 풍성히 자라는 것뿐 아니라 그 위용을 드러내 찾고 찾는 모든 내외빈들에 자랑거리가 되었을 것입니다.

우리 인생을 하나님은 자신의 집에, 그의 궁정에 심기운 나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아무 곳에나 기분 되는대로 심기워진 나무, 버리워진 나무가 아닙니다. 하나님의 공의에 손에, 은혜에 손에, 잘 다듬어 질 것이고, 필요는 끊임없이 채워 질 것입니다. 뿐 아니라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자랑거리로 세워질 것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의 인생에 믿음의 빛을 잃지 않고 뿌리를 깊게 깊게 내리는 것입니다.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만일 빛을 잃고 믿음의 뿌리를 잃는다면 주인의 손이 아닐찌라도 작은 시련에 그만 뽑혀 버릴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하나님의 집에, 그 궁정에 심기운 나무로 깊은 믿음의 뿌리를 내리며 주인의 자랑거리로 사시는 복된 날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