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stats
  • ▲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김진영 기자

    46억 년 전 지구가 생겼다는 걸 증명할 수 있나?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회(교진추, 회장 이광원)가 9일 오후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진화론·교과서·세계관-교과서 내 오랜연대설에 기반한 우주·지구의 진화'라는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조덕영 박사

    사이비 과학과 사이비 종교의 유사성

    사이비 과학은 자신의 불완전성과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길 결단코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사이비 종교와 유사합니다. 즉 사이비 과학과 틀린 과학은 조금 다른 측면이 있습니다.
  • 역사의 아버지 헤로도토스

    성경에는 왜 공룡이 안 나오나요? - 과학이 심어놓은 관념과 성경의 대결

    무신론자 중에는 성경에 공룡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성경이 가짜라고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꽤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런 주장에 동요를 하며 성경에 공룡이 등장하지 않는지 질문하십니다. 솔직히 저는 왜 성경에…
  • 지구가 6천년 밖에 안됐는데... 수백억 광년 떨어진 빛을 볼 수 있나요?

    저는 젊은 지구론자입니다. 즉 저는 지구가 6천년 정도 되었다고 믿습니다. 많은 분들은 이런 믿음을 조롱하며 그 큰 이유 중 하나는 수백억 광년 밖의 별 빛을 지구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 입니다.
  • 전생명 선교사는 “IT로 전 세계가 연결되어 모든 그리스도인이 선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강조했다. ⓒ이지희 기자

    "인터넷이 '절친'인 다음세대, 진리로 인도하는 다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을 기반으로 모든 제품과 서비스가 연결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특징으로 한…
  • 노아의 홍수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

    노아의 홍수가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창조론자들의 경우 전 지구의 역사가 6,000년 정도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세속 지질학이 가리키는 수십억년의 지층 중에 지난 6천년 동안 전지구적 홍수의 증거가 없었으니 전지구적 홍…
  • 과학이란 무엇인가? – 진화론자들의 이중 잣대

    저는 여러분들께 젊은 지구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들을 드리기 전에 우리가 나눌 주제 즉 과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해보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수십 억년의 연대를 주장하는 과학자들은 과학에 대한 정의를 마음대로 …
  • ⓒNASA 제공

    9월 23일 ‘행성 X’와 충돌해 인류 절반 이상이 사망?

    오는 9월 23일 행성 X와 지구의 충돌로 인류의 절반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현재 인간의 지식·기술로 지구의 연대를 알 수 있다는 주장 자체가 거짓!

    최근 포항 공대의 1회 수석 졸업생이자, 현재도 포항 공대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계신 분이 문재인 정부의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 되었습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아담과 하와의 혈액형은 뭘까?

    만약 우리가 아담과 하와의 후손이라면, 사람들은 단지 하나의 혈액형을 가져야하는 것 아닌가? 어떻게 4가지의 혈액형(A형, B형, AB형, O형)을 가질 수 있는가?
  • 노아의 홍수에 대한 무신론자들의 주장 반박

    나무 위키란 곳에 보면 '노아'라는 문서가 있습니다. 그 글에는 노아에 대한 성경적 해석부터, 노아의 방주가 불가능한 과학적인 근거들, 여러 다른 노아의 홍수들 그리고 방주에 대한 많은 부정적인 글들이 있습니다. 이 문서를…
  • 진화론이 거짓일 수 밖에 없는 8가지 이유

    진화론에는 정작 진화(증거)가 없다. 검증과정은 일부러 무시된다. 다음은 진화론이 명백한 거짓말인 이유 8가지다.
  • 미국교회가 8월 21일 일식을 기다리는 이유

    8월 21일, 미국 역사상 가장 희귀한 사건 중 하나를 목격하게 된다. 미국에서만 볼 수 있는 일식으로 수백만 명이 일식이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모여들고 있다.
  • pixabay

    과학자들이 밝힌 사후세계의 공통점 3가지

    사후세계는 누구도 실제로 죽을 때까지 알 수 없지만 임사 체험 경험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세계가 어떤 곳인지 흥미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최근 영국 크리스천투데이는 벨기에 리에 대학(University of…
  • 허정윤 박사(가운데).

    "보이지 않는다고 신 존재 부정하는 과학적 무신론은 폐기돼야"

    신(神)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논증하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창조론 오픈포럼'의 허정윤 박사(케리그마신학연구원)는 그의 책 「과학과 신의 전쟁」에서 '과학적 유신론'이라는 이름으로 그것을 시도했다. 그리고 그 내용의 일…
Real Time Analytics
Web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