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나라당이 탈당 사태에 따른 당 분열 위기를 가까스로 넘겼다. 박근혜 전 대표와 쇄신파 의원 7명이 14일 오후 5시10분부터 1시간30분 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회동 끝에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과 개혁'에 공감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박 전 대표와 쇄신파 의원이 서로 쇄신의 진정성을 이해하고, 한 발짝씩 물러난 결과물로 평가된다. 박 전 대표는 그동안 `재창당 수준의 쇄신'을, 쇄신파는 `신당 수준의 재창당'을 각각 주장해왔다.
양측의 팽팽한 견해차는 12, 13일 두 차례의 의원총회에서 좁혀지기는커녕 김성식 정태근 의원의 탈당을 불렀고,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일부 쇄신파 의원의 2차 탈당 가능성이 점쳐졌다.
결국 박 전 대표가 직접 `소방수' 역할에 나섰다. 박 전 대표 입장에서 `탈당 후폭풍' 속에서 5년6개월 만에 당 운영의 전면에 등장하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당 일각에서 제기된 `박근혜 불통'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해명이 필요했다.
회동 초반 쇄신파는 당의 내용과 틀을 모두 바꾸는 `재창당'을 주장한 반면, 박 전 대표는 "뼛속까지 강력한 쇄신을 해야 한다"며 `내용의 쇄신'을 강조, 긴장감이 흐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표는 "변화도 없이 당을 새로 만들면 국민이 눈속임으로 생각한다"며 "뼛속까지 바꾸는 쇄신을 하려면 4개월로도 부족하며, 이를 실제로 해내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 의원이 전했다.
하지만 쇄신파 의원들은 1996년 민자당에서 신한국당으로의 재창당 사례 등을 거론하며 "시간적으로 당의 내용과 틀을 모두 바꿀 수 있고 재창당이 실질적 쇄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자 박 전 대표는 우선 민생 챙기기, 정당사에 모범이 되는 공천모델 등 `뼛속까지의 쇄신'으로 국민적 공감을 얻어낸 뒤 당명 변경 등을 논의할 수 있다는 `2단계 쇄신안'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박 전 대표가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을 사실상 절충점으로 제시했다는 후문이다.
결국 쇄신파는 `박근혜 비대위' 활동에 재창당을 명기하지 않는 것으로 한걸음 물러섰다. 당명 변경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으로 극한으로 치달은 재창당 논란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한 쇄신파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위기 인식과 쇄신에 대한 강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박 전 대표는 김성식 정태근 의원이 탈당을 철회할 수 있도록 인간적인 노력을 해달라는 쇄신파의 요청을 선뜻 수용, 향후 당 화합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박 전 대표와 쇄신파의 갈등 봉합으로 한나라당은 추가 탈당 사태로 인한 당 분열 등 최악의 상황을 면하게 됐으며, 재창당 논란이 가라앉으며 급속히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박근혜-쇄신파 회동' 직후 15일 오전 8시 의원총회 일정을 확정하는 등 `박근혜 비대위' 가동에 속도를 냈다. 비대위가 출범하면 여권 유력주자인 박 전 대표를 구심점으로 당 구도가 재편되는 동시에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 이후 논란만 무성했던 당 쇄신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탈당을 선언한 김성식 정태근 의원이 탈당철회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 후유증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쇄신파인 원희룡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불통이라는 최악의 파국은 면했지만 쇄신의 내용,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갈지에 대한 아무런 내용이 없어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앞으로 지켜볼 일이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따라서 15일 의원총회에서 `재창당' 목소리가 간헐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이날 회동에 참여하지 않은 쇄신파 정두언 의원은 회동 결과에 침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