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TV 드라마에 유명 여자 배우가 등장한다. 누가봐도 예쁜 얼굴. “어쩜 저렇게 예쁠 수가 있니.” 엄마의 감탄을 새침한 딸이 받아친다. “저거 다 고친 거야, 엄마. 속지 마.”

성형수술이 흔치 않던 시절, 유명 연예인의 ‘커밍 아웃’은 그것 자체로 화제였다. 당시로선 코나 눈을 고쳤다는 고백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형이 대세가 된 요즘, 상황은 변했다. ‘손 대지’ 않았다는 것이 오히려 더 이슈가 된다. 급기야 딸 생일에 쌍꺼풀 수술을 선물했다는 아빠까지 등장했다. 남자라고 예외일 수 없다. 화장도 하는데 성형, 그까짓 것 쯤이야. 이제 성형은, 적어도 한국에선, 일반적인 ‘미용 활동’ 중 하나다.

문제는 크리스천이다. 하고는 싶은데, 왠지 찜찜하다. ‘신체발부수지부모’가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이야기라지만, 그래도 크리스천들에겐 창조라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 있다. 행여 ‘칼’을 댔다가 하나님이 벌을 내리시면 어쩌나. ‘천국 문 앞에서 하나님이 날 못 알아보시면 어떡하지?’. ‘에이, 말도 안 돼’ 하면서도 ‘혹시나’ 한다. 주변 시선도 의식된다. 우리나라, 그 중에서도 교회는 아직 보수적이다.

“자신감 찾을 수 있는 수단” VS “성형이 성형을 부른다”

사람들 생각은 어떨까. 물론 찬반이 갈린다. 찬성하는 쪽에선, 일단 ‘생존’과 관련된 거라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외모, 안 본다지만 어디 그런가. 우월한 ‘스펙’으로 서류심사 통과해도 면접만 들어가면 추풍낙엽이다. “예쁜 사람들만 대접받는 더러운 세상…, 밥벌이 하려면 성형이라도 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처절한 절규다. 사회를 바꿀 수 없다면, 사회에 맞춰 살아야 한다는 현실주의자들이다.

또 하나는 정신적인 차원이다. 고쳐서라도 자신감을 찾을 수 있다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외모에 대한 자신감 상실로 사회에 적응조차 하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성형이 백 번 낫지 않냐는 주장이다. 때론 성형외과가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교회 못지 않은 치유처가 될 수도 있다고 이들은 말한다.

반대도 만만찮다. 우선 얻는 게 있으면 반드시 잃는 게 있다고 이들은 강조한다. 예를 들어 뼈를 깎으면 피부와는 달리 쉽게 피가 멋지 않는단다. 뼈에서 계속 피가 나오기 때문에, 비록 외모는 이전보다 예뻐질지언정 몸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생긴다는 것이다. 턱을 깎은 한 20대 여성은 수술 뒤에도 출혈이 멈추지 않았고, 결국 이 피가 목을 짓눌러 호흡곤란으로 사망했다는 섬뜩한 예화도 든다.

약간의 성형은 괜찮지 않냐는 의견에도, 반대론자들은 성형이 성형을 부른다고 반박한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어서 눈을 고치면 코를 고치고 싶고, 코를 고치면 입을 고치고 싶은 게 바로 인간이라고 이들은 지적한다. 더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이 끝내 ‘성형중독’을 낳고, 이는 외모보다 더 아름다워야 할 우리 인생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미의 기준은 시대마다, 그리고 나라마다 달라 성형을 통해 예뻐진다 해도 언젠가 미의 기준이 달라지면, 다시 성형을 해야 할지 모른다고 이들은 경고한다.

▲성형에 대한 찬반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자신감 고취 등을 이유로 찬성하는가 하면, 성형은 또 다른 성형을 부른다며 반대하기도 한다. ⓒ김진영 기자

성경적으로 죄는 아니나, 과도한 성형은 금물

신학자와 목회자들은 어떨까. 결론부터 말하면,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성형을 굳이 죄라고까지 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그것이 삶에 자신감을 찾는 차원을 넘어 집착에 이른 것이라면, 이는 반드시 경계해야 할 것이라는 것에 모두가 동의했다.

배본철 교수(성결대)는 “치료를 목적으로 성형을 택할 수 있는 것이기에 성형을 반드시 죄라고 규정할 수는 없다”며 “개인마다 하나님께서 깨닫게 하시는 죄의 범위가 다르다. 그래서 성형도 누구에겐 그저 미용의 하나일 수 있는 반면, 누구에겐 심각한 죄로 인식될 수 있다. 죄의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형용 박사(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도 “성형 자체를 죄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치료의 수단인 성형은 죄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성형도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박 박사는 “치료가 아닌 다른 의도로 성형을 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고유의 특성을 보존하는 것이 좋다. 남들이 보기에 민망할 정도의 외모가 아니라면 성형은 신중히 생각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김성영 박사(전 성결대 총장)는 故 김준곤 목사의 일화를 예로 들며, 크리스천이라면 성형을 일반인들보다는 좀 더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故 김준곤 목사는 금식기도로 몸이 지친상태에서 계단을 내려오다 허리를 다친 적이 있다. 당시 시급히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도 김 목사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몸에 함부로 칼을 댈 수 없다며 수술을 미뤘다. 그러나 결국 수술을 받았고 김 목사는 회복될 수 있었다.

김 박사는 “비록 수술을 받았지만 크리스천으로서 하나님의 창조를 얼마나 소중히 생각했는지 김 목사를 통해 알 수 있다”며 “크리스천이라면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겨야 하고, 하나님께서 왜 나를 이렇게 창조하셨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약학자인 최갑종 교수(백석대)는 “신약성경 어디에도 성형에 대한 언급이 없다”며 “따라서 성경적으로 규정할 수 없는 부분이다. 개개인이 고민해서 선택해야 할 문제다. 교회나 교권이 관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목회자인 박요한 목사(성암교회)도 “신앙이 있어도 예뻐지고 싶어하는 마음은 다 같다고 생각한다”며 “창조섭리를 이유로 성형에 반대하고 싶지는 않다. 크리스천들도 사회의 한 구성원이기에 사회적 요구에 적응해야 할 때가 있다. 성형은 개인의 양심에 맡겨야 한다. 과거의 가치관으로 성형한 이들을 정죄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