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과다사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전체의 5%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4-5월 실시한 인터넷 이용습관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4학년(11세)의 인터넷 중독률은 5.69%(3만 4천명로 나타났다. 고위험군이 1.88%(1만 1천명), 잠재위험군은 3.81%(2만 3천명)였다. 올해 처음 실시된 중학교 1학년(14세) 인터넷 중독률은 비슷한 수치인 5.29%(3만 4천명)였다.

고위험군은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으면 금단증상이 나타나는 등 전문가의 상담·치료가 필요하며, 중·고생은 하루 4시간(초등생 3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다. 잠재위험군은 약한 수준의 금단증상이 나타나고 스스로 문제가 없다고 느끼지만 인터넷 중독 우려가 있어 상담·치료가 권장되는 경우로 중고생은 3시간(초등생 2시간) 정도 인터넷을 사용한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를 놓고 부모 사전 동의를 얻어 상담·치료 등을 희망하는 청소년들은 전국 166개 청소년 상담지원센터와 156개 정신보건센터, 179개 치료협력병원을 연계한 16개 시도별 인터넷중독 대응 지역협력망을 가동해 지원한다.

집중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청소년에는 공존질환 진단을 위한 별도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별 상담을 실시하거나 의료기관 치료 연계 및 치료비 일부(일반 최대 30만원, 저소득계층 최대 50만원)를 지원한다.

이밖에 잠재위험군에게는 학교별로 찾아가는 집단상담 서비스(5회기 내외)를 실시하고,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학교별로 ‘인터넷중독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또 한국청소년상담원(원장 차정섭) 측은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가정환경 만들기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다. 상담원 측은 컴퓨터를 가족들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거실 등의 공동 공간에 두고 정해진 시간만 사용하도록 하며, ‘반드시 사용 시간표 작성하기’ 등의 규칙을 정하라고 조언했다. 또 일주일에 한 번은 컴퓨터나 텔레비전의 휴(休)요일을 정하고 각종 약속을 이행하면 보상을 실시하며,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터넷 중독 치료 과정을 운영중인 차정섭 원장은 “인터넷 중독의 경우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또다시 중독에 빠질 수 있으므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상담 전문가와 가족, 사후 관리를 돕는 동반자들의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