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제목은 근래 버지니아주 헤리슨버그한인장로교회를 담임하고 있는 주경로 목사가 출간한 [스터디 그룹] 장편소설의 부제입니다. 언뜻 보면 한반도통일과 사랑이라니 엉뚱한 이율배반적인 생각이 들기도 하고, 어찌보면 세상에 흔히 있는 전쟁과 사랑을 테마로 한 소설같이 한반도 분단, 전쟁, 통일 등의 과정에서 싹트는 사랑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소설같이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소설은 통일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길로 기독교적인 사랑이라는 안목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지게 들어나 흥미와 묵상을 자아나게 합니다.

한반도통일의 문제를 지금까지 지난 60년 이상 추구해 왔던 정치나 이념이나 질서로 풀어 가는 것 보다는 인간관계의 최대가치인 ‘사랑’으로 접근하여 풀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스토리로 전개해 가면서 제시하고 있는 것이 다른 정치소설과 다른 흥미를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아마 주경로목사가 목회를 하기 전에 주미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한 대한민국군인생활을 일찍이 경험하였기 때문에 통일과 사랑을 연계시키었는지 모를 일입니다.

이 소설은 한반도통일에 관련된 국제정치나 이념이나 역사 등 제반 문제는 제임스메디슨대학내 정치학과에 개강된 남북통일을 주제한 세미나에서 벨리 힐 교수가 행하는 강의와 학생들로 짜여진 스터디 그룹의 토의에서 상세하게 다루면서 현재 논난되고 있는 한반도통일의 문제점과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스터디 그룹]에는 네 사람의 한인 주인공이 세미나의 스터디 그룹에 참여하는 사람들로 등장합니다.

중국학생이라 가장하고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북한고위관료의 자녀인 메이, 그녀를 감시하기 위하여 따라 다니는 서영, 미주한인 2세인 남학생 다디엘, 그리고 주미대사관으로부터 메이를 정탐하라고 부탁을 받은 청강생 경국 등이 한 학기동안 통일관련강의를 듣고 스터디 그룹에서 토의 하면서 엮어 가고 있는 인간관계를 한반도통일문제의 배경으로 이야기하면서 통일로 가는 방향을 암시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는 접촉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경국과 메이와의 마남, 경국과 서영과의 만남, 다니엘과 메이의 만남은 한국과 북한의 관계, 한국의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관계,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인간적인 접촉의 관계에서 시도한 것으로서, 만나서 커피를 마시고, 있는 그대로 대화하는 것이 통일을 여는 출발점인 아닌가 소설은 암시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는 자연스럽게 문화적인 삶의 관계로 발전하게 마련입니다. 경국과 서영, 그리고 메이와 다니엘은 강의와 스터디 그룹토의에 함께 참여하면서 한국민족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라면, 잡채 등 한국음식을 같이 먹고 한국비디오와 영화를 함께 감상하면서 그들의 관계는 가까워 집니다.

벨리 힐 교수가 마지막 강의에서 상대성이론을 원용한 통일공식을 설명하면서 6자회담당사국들의 역학관계로 인하여 한반도의 통일은 답보적인 대치상태로 얼마 정도 지속될 것임을 역설합니다.

그러나 하나의 희망이 있는 것은 IT산업이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한국이 문화적인 관계를 북한과 진전시킨다고 하면 통일이 예기치 않게 빨리 올 수 있다고 결론을 집니다. 마치 독일통일에 서독의 통신망개방이 크게 기여한 역사적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듯이.

주경로작가가 스터디 그룹구성원들의 문화적 삶의 관계를 설정한 것은 단순히 이야기를 꾸려가기 위한 플롯이 아니고 한반도통일로 가는 문화의 길을 디자인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일 것입니다.

소설의 극치는 경국과 서영, 그리고 메이와 다니엘이 서로 사랑의 관계로 몰입하는 데에 있습니다.

여기에서 작가는 사랑이란 하나님이 마련해 주신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라고 하면서 사랑의 최고표현중의 하나인 용서를 구하는 2개의 사건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기러기엄마인 경국의 친구부인이 미국남자친구와 마구 놀아나는 딸을 야단치다가 아동학대혐의로 유치장에 갇혀 있는데 딸이 경찰관앞에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함으로서 문제가 깨끗하게 해결되는 이야기입니다.

둘은 민주화운동을 하다가 군에 입대하여 견디기가 힘들어 목메 자살한 남편의 한을 안고 있는 서영에게 경국은 군에 복무하였다는 이유로 한국군의 잘못을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비는 장면입니다.

이렇게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비는 것이 용서를 베푸는 것 이상으로 참된 사랑의 표현일 것입니다. 바울사도는 성령의 열매인 사랑의 특성을 열거하면서 화평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올바른 화평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기가 저지른 잘못이든지 자기가 직접 저지르지는 아니하였지만 자기와 연관이 된 잘못을 마음속 깊이 깨닫고 용서를 구하는 데서부터 시작하여 길을 터 놓아야 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한국과 북한이 무슨 잘못인지는 구체적으로 열거하기는 힘들지 모르지만 서로 용서를 구하는 사랑의 마음을 간직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현재 얽히고 섥혀 있는 한반도통일의 문제를 하나씩 하나씩 풀어 나아가는 통일의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기독인들은 세계 어느 곳에 있든지 그렇게 되도록 하나님께 간구하고 용서를 구하는 마음을 북한에 알리는 일에 어떠한 모습으로든지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입니다.

주경로 소설 [스터디 그룹]은 미주한인으로서, 나아가 미주한인교회의 목회자로서, 한반도통일문제를 정치, 이념, 제도 등의 측면에서가 아니고 기독교적인 사랑의 측면에서 솔직하고 자상하고 깨끗한 문장으로 이야기를 꾸려 나가는 특징이 있어 누구에게나, 더구나 기독인들에세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