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즘 대형 교회 담임 목사들이 은퇴할 때가 되어 후임자 선정에 교회마다 크게 신경 쓰는 모습을 본다. 이상하게도 대형 교회를 무조건 비판하는 이들이 꽤 많다. 강의 시간에 신학교 교수들 중 일부가 자주 하는 짓임을 잘 알고 있다. 물론 작은 교회 목사들 중 일부도 그에 속함을 안다. 그래서 나는 강의 시간에 대형 교회는 아무나 하는 게 아닌데, 어째서 그 교회는 그렇게 크게 부흥했는지 그 비결을 배우라고 목소리 높여 외칠 때가 많다.
[2] 작은 교회를 무시해서도 안 되지만, 큰 교회 역시 비판받아선 안 되기 때문이다. 나는 현재 대형 교회의 담임 목사들을 누구보다 많이 알고 교제하고 있는 사람 중 하나이다. 그동안 내가 알고 교제해 온 큰 교회 목사들은 대부분이 그만한 역량을 갖춘 분들이었다.
수업 시간에 큰 교회 목사들을 부정적으로 자주 말하는 학교의 졸업생 중 교회를 크게 부흥시킨 경우가 있는지를 보라.
[3] 내가 아는 그런 몇몇 신학교 출신 중 대형 교회를 일군 인물이 전무함을 본다. 그러면 “교회가 크고 숫자가 많으면 다냐?’”라고 반박할 이들이 있을 게다. 그러면 이렇게 되묻고 싶다. “교회가 작고 숫자가 적으면 다냐?"라고 말이다.
사도행전 2장 끝에 보면, '믿는 사람이 함께 모여서 같이 떡을 떼고 하나님을 찬미하고 멋지게 사니 주위의 온 백성들이 칭찬하고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도 날마다 더하게 하셨다'라고 되어 있다.
[4] 교회가 성령 공동체로 모범적으로 잘 살아가니 수적인 성장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더라고 했음에도 여전히 “수가 많으면 다냐?”라고 비판하는 이들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한국 대형 교회들이 지도력 교체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4차례에 걸쳐서 지원서를 받아 선을 보고 했지만, 실패한 교회가 있다. 큰 교회는 설교의 능력을 제일 많이 본다. 그래서 설교학 교수인 내게 설교가 좋은 후보를 추천해달라는 부탁이 들어온다.
[5] 문제는 추천할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는 점이다. 알고 보니 내가 소개할 만한 인재들은 대부분이 미국 이민교회에 있더라는 점이다.
이민교회 목사 중 6명 정도는 설교에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는 이들로 보인다. 그들은 이미 1,500명~2,000명 교회에서 담임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중 단연 으뜸인 한 사람을 알고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개척해서 10년 만에 2,000명 교회로 일구었다.
[6] 미국의 명문대학 출신이기도 하다. 성품도 인격도 좋은 사람이다. 페북에서 친구가 되었는데, 작년에 페이스북 영상 통화로 만나자고 연락이 와서 평택까지 내려가서 만난 적이 있다. 한국에 집회를 와 있던 차에 교제를 원했던 것이다.
최근에 나는 그의 설교에 푹 빠져 있다. 내가 듣고 은혜받을 만한 설교자를 찾기란 쉽지 않다. 교만해서가 아니라, 영양도 만점이고 맛도 좋은 설교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7] 매일 하루하루 너무 분주한 삶을 살아간다. 강의와 저술과 독서와 설교 준비와 제자들 설교문 분석 비평과 사람들과의 대인관계로 인해 눈코 뜰 새 없는 삶을 살다 보니 남의 설교를 시청할 시간적 여유가 별로 없다. 그러다 보니 위에 소개한 그 목사의 설교를 한 주 전에 처음으로 들을 수 있었다.
솔직히 그 정도로 잘할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여러 편을 들어보았는데, 드러내어 자랑할 만한 설교였다.
[8] 우선 본문 분석이 충실하게 잘 되어 있으며, 본문의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한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아울러 본문을 ‘첫째, 둘째, 셋째’ 식의 대지로 자르지 않고, 하나의 큰 주제를 향해 조곤조곤 설명하고 박진감 있게 흘러가는 식으로 전달하고 있었다. 본문 해석에 문제를 보이는 설교들이 적지 않은데, 그 목사의 해석은 대부분이 본문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잘 파악한 내용이었다.
[9] 설교자의 목소리 역시 차분하면서도 호소력 있는 매력적인 방식으로 잘 전달되고 있었다. 영양 만점에다 보기도 좋고 맛도 좋고 의미도 심장한 설교의 모델로 칭찬하고 자랑하고 싶은 설교자가 틀림없었다. 아주 오랜만에 이렇게 충실하고 완숙된 설교를 발견하는 거 같아서 반갑기 그지없다. 그렇다.
아무나 교회를 부흥시키는 건 아니다. 단 기간에 큰 교회로 성장했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
[10] 누군가가 앞서 가고 차별화되는 인재가 있으면 눈여겨 보고 배워야 한다. 배우는 사람이 장땡이다. 남의 두드러진 장점은 배우려하지 않고, 자꾸만 깎아내리려고 하는 이에겐 발전과 성장이 없다. 자신의 설교에 획기적인 변화를 꾀하는 이들이 있다면 방금 소개한 목사의 설교 내용과 패턴과 전달 방식을 눈여겨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쯤 되면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궁금한 이들이 많을 게다.
[11] 나란 사람은 식당이든 사람이든 설교가이든 내 맘에 쏙 들었다 하면 드러내어 자랑하고 광고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오늘 난 내가 자랑하고 싶은 그를 페친 여러분께 공개적으로 소개하고 싶다.
그가 담임하고 있는 교회는 아틀란타 벧엘교회이고, 그의 이름은 이혜진이다.
‘아틀란타 벧엘교회 이혜진 목사.’
그의 설교를 모두에게 자신 있게 강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