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낭 교수의 『여정』 photo by 기독일보
김지낭 교수의 『여정』 photo by 기독일보
현 University of Texas, Arlington 영문과 강의 전담교수(full-time Lecturer). Texas A&MUniversity영문학 박사, Transnational Asian Literature and Culture 전공, Guy de Maupassant's 「Le Horla」, Wole Soyinka's 「The Lion and the Jewel」 번역 출판, 『미주문학』 시부문 신인상, 미주한국문인협회 소속 

 

편집장: 바쁘신데 이렇게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시인 등단을 축하드립니다.

김 교수: 감사합니다. 생각지도 못한 상을 받게 되어서 감사했고 이번 수상을 계기로 하나님 앞에 더 감사한 고백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마음이 설레기도 합니다. 

편집장: 계간지 <미주문학>의 등단 시, <퇴근길>에 대해서 서연우 시인의 심사평을 보니 "시인의 번민과 방황이 신앙적 원천으로 귀착됨 잘 서술했으며, 산문처럼 스스로에게 흡족한 마침표를 찍는 듯한 마지막 연이 시인의 열정을 자제하고 있다."라고 했던데 읽어 보셨나요?

김 교수: 부족한 시인데 칭찬과 격려를 해 주시는 과분한 평입니다. 당시의 시심을 잘 읽어 주시고 또한 제가 부족한 부분 역시 잘 지적해 주셔서 정말 감사했어요 (웃음). 사실 <미주문학>지는 기독교 문학지가 아니라서 기독교적인 제 시를 뽑아 주실 지 내심 걱정이 되었어요. 그런데도 선택해 주셔서 놀랐어요. 사실 20대때부터 시를 많이 사랑했어요. 당시의 시들은 어둠 속에서 방황하는 제 모습이 고스란히 들어나는 암울한 내용이었어요. 그러나 지금의 시는 일상의 기쁨과 감사함이 묻어 나오는 하나님을 향한 고백이에요. 심사위원들께서 저의 진실된 고백을 인정해 주시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편집장: 등단 시의 제목이 <퇴근길>인데요. 제목에 대한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김 교수: 퇴근하는 동안 조각조각 적었던 내용이에요. 바쁜 하루를 보내고 지친 마음으로 집에 오는 길에 만난 풍경들, 사막처럼 느껴지는 길. 그 길을 매일 달리며 하나님께서 나를 만나주신 이유는 무엇인지, 나를 이 낯선 땅에 두시는 이유는 무엇인지, 기도로 묻는 모습을 그린 시에요. 한숨으로 기도할 때 만나주시는 주님, "일어나라 내 딸아, 사랑한다" 말씀해 주시는 주님에 대해 간증하는 시에요. 매일 운전을 하면서 하늘을 참 많이 바라봐요. 하늘과 길, 그 사이에서 시에 대해 생각해요. 운전을 하며 떠오르는 영감을 수첩에 메모해 두었다가 집에 와서 정리하며 시를 쓰고 있어요.  

편집장: 시를 읽자마자 하나님을 향한 신앙적인 고백의 시(?)임을 대번에 알겠던데 교수님에게 시는 무엇일까요?

김 교수: 저에게 시는 예수님께서 주신 선물이에요. 나이 서른에 유학 와서 예수님을 영접했어요. 어둡던 제 마음을 빛으로 가득 채우셔서 20대 때 쓰던 암울한 시들을  더 이상 쓸 수가 없었어요. 그 후15년간 시를 쓸 수가 없었어요. 작년 초 어느 새벽, 기도를 다녀온 후 '시'가 다시 나에게 돌아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는 찬양 가사를 써볼까 하고 글을 쓰다가 보니 어느새 시를 쓰고 있었어요. 15년 만에 돌아온 시는 예수님을 증거하고 찬양하는 시가 되었어요. 20대의 저처럼 아프고 길을 잃었던 이들에게 빛이 되는 시, 하루의 삶이 힘겹지만 힘차게 살아가는 이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노래이고 싶어요. 

편집장: (제가 알기로) 교수님께서 대학원 시절에 교회에서 하나님께 기도하며 박사논문을 마쳤다고 들었습니다. 간증이 있을 것 같은데요.

김 교수: 
학교를 떠나 집에서 박사 논문을 썼어요. 부담감 때문에 논문 막바지에 집중이 안되고 힘들었어요. 교회에 양해를 구하고 교회 빈 교실에서 논문을 썼어요. 교회를 너무 사랑해서 교회가 제일 편했거든요. 글을 쓰다가 너무 힘들면 예배실에 가서 기도하고 피곤해서 잠이 살짝 들기도 하고 그렇게 논문을 마쳤어요. 교회 근처에 사는 자매님이 아이들을  돌봐 주시기도 했어요. 지금 생각해도 정말 감사드려요.  박사과정을 졸업하는데 10년이 걸렸어요. 지금 아이 셋을 키우고 있어요. 첫 아이를 낳고, 학교가 있는 도시를 떠나 남편이 있는 휴스턴으로 이사해 논문을 썼어요.  둘째가 태어났어요. 운전 공포증이 있어서 거의 집에 갇혀 지내며 교회와 어린이집만 다닐 수 있었어요. '내가 졸업하더라도 무슨 희망이 있을까?' 하는 절망스러운 생각에 사로잡히기도 하고, 산후 우울증이 오기도 했어요.  하지만 이 모든 순간에 주님이 계심을 알게 하셨어요.

내가 약할 때 가엽게 여기시고 더욱 사랑하시는 주님의 은혜가 있었어요. 저는 무엇 하나 잘 해낼 자신이 없어서, "그저, 포기만 하지 않겠습니다" 하고 말씀 드렸어요 (웃음). 아침에 기도 일기를 쓰며, "주님, 오늘은 무엇을 할까요?" 질문하며 하루를 살아요. 이런 하루의 삶이 나의 꿈도 미래도 주님의 것임을 고백하는 일이 아닐까 생각해요. 내가 만드는 큰 꿈, 나의 멋진 계획은 내려 놓게 되었어요.  (결국) 형통의 삶은 세상의 성공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은혜를 누리며 주님 뜻대로 사는 삶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편집장: 현재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가르치고 있나요?

김 교수: 세계문학 수업인데, 아시아 디아스포라 문학과 문화라는 주제로 가르치고 있어요. 식민역사, 이산, 분단, 전쟁 등으로 생긴 집단적 트라우마를 다룬 아시아계 영어권 작품들을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가르치고 있어요. 예를 들면 한국계 미국인 작가 노라 옥자 켈러 의  소설, 『Comfort Woman, 위안부』 라던가 인도계 작가 살만 루슈디의 『Midnight's Children  한밤의 아이들』 등의 작품들을 통해 식민역사 그리고 독립 이후 인종, 성별, 종교, 정치적 갈등과 폭력등이 어떻게  문학작품으로 형상화 되고 있는지  공부해요.    

편집장: 기독일보에서 많은 독자가 교수님의 시를 사랑하고 (신앙적) 감동이 있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앞으로 (작가로서의) 계획을 독자들에게 나눠 주세요.

김 교수: 앞으로 책을 쓰고 싶어요. 10년도 더 전에 하나님께 책을 드리겠다고 서원했는데 아직도 쓰고 있어요. 제 공부를 사용하실 것을 믿고 있기 때문에 틈틈이 연구하며 출판을 계획하고 있어요. 성경을 보면 하나님과 하나님의 나라가 보이지만, 문화를 보면 그에 반(反)하는 것들이 많이 보이죠. 하지만 크리스천의 시선으로 세상을 알고 공부해야 이 세계를 움직이시는 하나님의 뜻과 잃어버린 영혼들의 마음을 더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글로벌 시장에서 유통되는 한국 문학, 문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영어로 번역된 한국 소설, 영화, 예술 작품들을 미국 학계에 소개하고 싶어요. 요즘에는 초국가적 미학, 포스트 휴머니즘, 역사적 트라우마, 여성성, 기술 신성주의 등의 주제에 관심이 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 하나님께 시집을 드리고 싶어요. 시를 쓸 때 너무 행복해서 "하나님 제가 무엇이 간데 이런 큰 은혜를 부으시나요?" 하고 감사드려요. 시를 통해 주님을 증거하고 전하고 싶어요. 기회가 되면 찬양 작사도 하고 싶어요. 저는 자신을 주님을 찬양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해요. 시를 쓰는 것 또한 저의 찬양이고 기도에요. 주님을 알면 가만히 있을 수 없어요. 뛰쳐나가서 찬양하고 소리쳐 주님을 증거해야 해요.

정리, 편집장 이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