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운동가이자 선교사인 로버트 박이 크리스천포스트를 통해 공개적으로 오바마 대통령을 비판했다. 그는 오바마 대통령이 전 일리노이 상원의원 시절, 김동식 목사의 납북과 죽음에 관한 철저한 조사와 행동을 촉구하는 편지에 서명했었지만 대통령이 된 뒤에는 북한에 대한 입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박 씨는 2008년 선거캠프 당시 20세기 인권 유린과 대량학살에 맞선 미국의 의미 있는 행동의 중요성을 지적한 저서 의 작가인 사만다 파워스를 외교정책 조언자로 임명하는 것을 보면서 기대를 가졌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부시 행정부 당시 북한의 핵 무기 개발 금지를 위해 '테러리즘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하는 협상을 그대로 이어갔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고글 마지막에서 "시간이 흐르면서 무고한 북한의 주민들이 죽어가고 있다. 미국은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와 대량학살을 막을 정책을 쌍방간 혹은 다자간 논의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음의 그의 기고글.
나 자신은 2008년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인가 조치를 취해주길 기대했었다. 북한의 인권탄압을 염려하는 코리안 어메리칸의 한 사람으로써 일리노이 상원이었을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했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슴이 아프다.
그가 했던 약속은 김동식 목사에 관한 것이었다. 그의 아내와 두 아이들은 미국 시민권자이며, 본인 자신은 영주권자였던 김 목사는 2000년 1월 북한 공작원에 의해 유괴됐다.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역에서 탈북자들을 도와 한국으로 보내는 사역을 돕던 김 목사는 당시 9개의 피난처를 운영하고 있었다. 탈북자들은 중국의 매정하고 비합법적인 정책으로 발견되는 즉시 죽거나 끔찍한 고문을 당해야 하는 북한으로 송환되고 있었다. 김 목사 역시 북한으로 잡혀가 고문과 영양실조로 감옥에서 극심한 고통가운데 죽음을 맞이하게 됐다.
2005년 당시 오바마 상원의원은 김 목사의 아내와 교회 성도들의 도움을 촉구하는 청원에 반응해 다른 일리노이 의원들과 함께 북한 유엔대사에게 편지를 띄웠다. 이 편지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김동식 목사를 영웅으로 칭하면서,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령 전에 노예들의 탈출을 도운 지하조직을 세우고 노예제 폐지를 열렬히 주장했던 헤리엇 텁맨과 스웨덴의 외교관이자 인도주의자로 2차 전쟁 때 헝가리가 나치에 의해 점령됐을 당시 수만명의 유대인들을 구출했던 라울 월렌버그에 비견하기도 했다.
오바마와 국회대표단의 표현은 정확했다. 북한 주민들은 '노예상태'이며 무고한 수 백만 명이 죽어가고 있으며, 아이들을 포함해 수 많은 이들이 정치범 수용소에 갇혀 굶주리고, 고문과 성폭행, 공개처형과 게스실험을 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편지에서 그는 북한 정부를 테러리즘지원국 리스트에서 빼는 것을 반대한다고도 했다.
2008년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끝내기 위해 북한을 테러리즘지원국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건을 수용하는 분별없는 정책을 시도했고, 민주당 지원자(오바마 후보를 칭함)는 이것을 그대로 이어 받았다.
이런 끔찍한 결정은 도덕적 관점에서뿐 아니라 전략적으로도 의심할 여지 없이 잘못된 정책이었다. 북한은 여전히 핵 무기를 개발하고 있고 2015년까지 45개의 핵 무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과학과국제안전기관(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북한은 테러리즘지원국 명단으로 돌아가지는 않고 있다.
내가 오바마 대통령에게 북한 인권을 위한 의미있는 행동을 취해줄 것에 대한 기대를 가졌던 것은 그가 2008년 선거운동 캠프에 사만다 파워스를 외교정책 조언자로 임명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2003년 자신이 저술한 책 에서 20세기에 여전히 자행되고 있는 대량학살과 인권유린에 관한 미국의 완벽한 '무대책'을 지적하고 비판한 인물이다.
그러나 두 말할 나위 없이 나의 기대는 이뤄지지 않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초임 기간 북한의 인권문제에 관해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고 지금도 그렇다. 다만 북한의 핵 무기 위협이나 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인 안전에만 관심이 있다.
귀중한 시간이 지나갔다. 그 사이 무고한 이들은 고문과 고통으로 죽어가고 있다. 북한 주민들의 근본적인 자유와 권리, 그리고 인권유린과 대량학살 문제를 다룰 쌍방간 혹은 다자간 대화와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박 씨는 2008년 선거캠프 당시 20세기 인권 유린과 대량학살에 맞선 미국의 의미 있는 행동의 중요성을 지적한 저서 의 작가인 사만다 파워스를 외교정책 조언자로 임명하는 것을 보면서 기대를 가졌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부시 행정부 당시 북한의 핵 무기 개발 금지를 위해 '테러리즘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하는 협상을 그대로 이어갔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고글 마지막에서 "시간이 흐르면서 무고한 북한의 주민들이 죽어가고 있다. 미국은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와 대량학살을 막을 정책을 쌍방간 혹은 다자간 논의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음의 그의 기고글.
나 자신은 2008년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인가 조치를 취해주길 기대했었다. 북한의 인권탄압을 염려하는 코리안 어메리칸의 한 사람으로써 일리노이 상원이었을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했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슴이 아프다.
그가 했던 약속은 김동식 목사에 관한 것이었다. 그의 아내와 두 아이들은 미국 시민권자이며, 본인 자신은 영주권자였던 김 목사는 2000년 1월 북한 공작원에 의해 유괴됐다.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역에서 탈북자들을 도와 한국으로 보내는 사역을 돕던 김 목사는 당시 9개의 피난처를 운영하고 있었다. 탈북자들은 중국의 매정하고 비합법적인 정책으로 발견되는 즉시 죽거나 끔찍한 고문을 당해야 하는 북한으로 송환되고 있었다. 김 목사 역시 북한으로 잡혀가 고문과 영양실조로 감옥에서 극심한 고통가운데 죽음을 맞이하게 됐다.
2005년 당시 오바마 상원의원은 김 목사의 아내와 교회 성도들의 도움을 촉구하는 청원에 반응해 다른 일리노이 의원들과 함께 북한 유엔대사에게 편지를 띄웠다. 이 편지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김동식 목사를 영웅으로 칭하면서,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령 전에 노예들의 탈출을 도운 지하조직을 세우고 노예제 폐지를 열렬히 주장했던 헤리엇 텁맨과 스웨덴의 외교관이자 인도주의자로 2차 전쟁 때 헝가리가 나치에 의해 점령됐을 당시 수만명의 유대인들을 구출했던 라울 월렌버그에 비견하기도 했다.
오바마와 국회대표단의 표현은 정확했다. 북한 주민들은 '노예상태'이며 무고한 수 백만 명이 죽어가고 있으며, 아이들을 포함해 수 많은 이들이 정치범 수용소에 갇혀 굶주리고, 고문과 성폭행, 공개처형과 게스실험을 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편지에서 그는 북한 정부를 테러리즘지원국 리스트에서 빼는 것을 반대한다고도 했다.
2008년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끝내기 위해 북한을 테러리즘지원국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건을 수용하는 분별없는 정책을 시도했고, 민주당 지원자(오바마 후보를 칭함)는 이것을 그대로 이어 받았다.
이런 끔찍한 결정은 도덕적 관점에서뿐 아니라 전략적으로도 의심할 여지 없이 잘못된 정책이었다. 북한은 여전히 핵 무기를 개발하고 있고 2015년까지 45개의 핵 무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과학과국제안전기관(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북한은 테러리즘지원국 명단으로 돌아가지는 않고 있다.
내가 오바마 대통령에게 북한 인권을 위한 의미있는 행동을 취해줄 것에 대한 기대를 가졌던 것은 그가 2008년 선거운동 캠프에 사만다 파워스를 외교정책 조언자로 임명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2003년 자신이 저술한 책 에서 20세기에 여전히 자행되고 있는 대량학살과 인권유린에 관한 미국의 완벽한 '무대책'을 지적하고 비판한 인물이다.
그러나 두 말할 나위 없이 나의 기대는 이뤄지지 않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초임 기간 북한의 인권문제에 관해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고 지금도 그렇다. 다만 북한의 핵 무기 위협이나 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인 안전에만 관심이 있다.
귀중한 시간이 지나갔다. 그 사이 무고한 이들은 고문과 고통으로 죽어가고 있다. 북한 주민들의 근본적인 자유와 권리, 그리고 인권유린과 대량학살 문제를 다룰 쌍방간 혹은 다자간 대화와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