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신학연구소는 지난 1년 3개월에 걸쳐 <북미주 한인교회 실태조사>를 수행하며 한인교회의 현 주소를 확인했다. 연구소는 이에 그치지 않고 지난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계 지도자들을 초청해 한인교회의 미래를 계획하는 전략테이블을 2박3일간 개최했다. 이 전략테이블에는 소장 오상철 목사를 비롯해 정인수 목사(아틀란타연합장로교회), 민종기 목사(충현선교교회), 진유철 목사(나성순복음교회), 박세헌 목사(남가주교협 총무) 등 교계 1세 지도자들이 참여했다. 특히 2세는 민 청 목사(Covenant Fellowship Church, IL), 박영배 목사(Newlife Mission Church, CA), 정대성 목사(Newlife Mission Church, CO) 등 미국 내 2세 목회를 이끌고 있는 1.5세 출신 목회자들이 전국에서 참여했고 나성영락교회 교육부를 이끌었던 1.5세 목회자인 노승환 목사(토론토밀알교회)도 캐나다에서 참여했다. 평신도 중에는 박상원 장로(미주한인재단 전국총회장)가 참여해 큰 의미를 더했다. 한편, 본지는 이번 전략테이블에서 나온 각종 평가와 견해들을 4회에 걸쳐 연재할 계획이다. 지난 호 1세 목회자들의 평가에 이어 이번에는 2세들의 평가를 싣는다. -편집자 주
제2회) 2세 목회 테이블 참가자: 민 청, 정대성, 박영배, 노승환 목사
감사 및 바람: 서베이를 통한 분명한 자료를 근거로 이민교회의 본질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사실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 이런 사역이 더욱 활성화되어 이민목회가 분명한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실제적 차원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민교회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의 정확성, 보다 세밀한 통계의 유형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이민신학연구소가 이런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기관으로 발전, 성숙해 나가기를 기도한다.
We thank for this opportunity to look at Korean-American immigrant churches with tangible statistics. We pray that this kind of research work will continue to provide solid data to help Korean-American churches so that they could provide specific services that will bring benefits to people and to the community. We know that this kind of research work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 credibility of the statistics, it is vitally important to have them categorized and analyzed in scientific manner so that it could be used in ministry with certainty. We pray that KAIT will continue to grow to serve the community.
Ⅰ. 주요 문제들
1. 1세가 보는 2세의 문제
a. 소명의식 부족: 하지만 소명에 대한 분명한 정의가 없다. 1세들은 사역이 소명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2세들은 가정이 사역에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b. 대화와 이해의 문제: 서로가 대화를 위하여 시도한다고 생각하지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c. 문화적 이해 차이로 인한 갈등: 과연 문화의 ‘정석’이 있는가?
d. 평신도가 생각하는 2세의 문제: 1세가 생각하는 문제와 유사하다. 헌신, 사랑이 평신도 지도자들이 바라는 2세 지도자의 모습이다.
2. 2세가 보는 2세의 문제
a. 사역자들의 소명 부재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평신도들에게도 합당한 교회론의 부재로 인해 소명의식이 부재한 경우가 많다. (교회에 대한 주인의식 부재)
b. 2세 지도자들 안의 비전의 부재: 비전이 부재하는 이유는 많은 경우 2세 사역자들은 한인 1세로부터 사역에 대한 비전을 배우고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민교회 상황과 전혀 상관이 없는 백인 교계 지도자들을 통하여 사역 모델을 배우기 때문이다.
3. 2세가 보는 1세의 문제
a. 문화: 2세들은 1세들이 문화에 대해 권위적 자세를 보인다고 응답했다. 2세들이 정말 미국 문화를 이해하고 있는가는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2세의 문화는 결코 미국 문화라고 할 수 없다. 미국 내 2세 한인의 독특한 문화라고 해야 한다.
b. 2세들을 교회 안에서 성인으로 정당한 대우를 하지 않는 자세
4. 침묵의 탈출 (조용한 이탈)
a. “침묵의 탈출”은 한인교회 안에 독특한 문제가 아니라, 미국교회 안에서도 보편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일례로 GROW 컨퍼런스에서 소개된 바에 의하며 미국교회 안에서도 80%의 주일 학교 출석 학생들이 대학교 이후 교회를 떠나고 있다.
b. 침묵의 탈출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 아래를 확인해야 한다.
1) 교회를 떠났다가 다시 교회로 돌아오는 사람들에 대한 통계 파악
2) 미국 내 청장년 인구에 대한 정확한 통계 부족
3) 미국교회를 출석하는 청장년에 대한 통계 부재
c. 이민교회는 80% 교회를 떠나는 청장년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d. 교회 교육 시스템을 다시 시대에 맞게 재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스트모더니즘을 감안한 새로운 교회 교육 커리큘럼 제작이 중요하다.
e. 고등학교 이후 교회를 떠나는 통계를 보면, 이들이 대학 생활 중에 교회를 떠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게 된다. 어떻게 캠퍼스 사역을 활성화 하여 이들을 도울 수 있을까?
5. 이민목회 안에서 영어목회의 미래
a. 아래에 소개된 기존의 여러가지 모델을 서로 인정했다.
1) 영어부가 재정적으로 도움을 받되 행정적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
2) 영어부와 한어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사역하되 건물과 사역을 공유하며 서로 돕는 모델
3) 한인들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4) 아시안들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5) 다인종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6) 한인 2세나, 다른 인종들을 섬기는 대형교회
7) 캠퍼스 교회
b. 한 모델이 모든 교회에 다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교회의 특성을 살려서 유연하게 대처할 뿐 아니라, 새로운 모델도 필요함도 인식한다.
c. 시스템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시스템 안에서 서로를 섬기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Ⅱ. 대안들
1. 세대간의 차이를 인정하되 함께 대화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대화를 시도한다. 서로를 배려하는 장을 제시한다.
Recognize th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To achieve this end we need to provide places and times to have both sides come to engage in communication to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2. 지도자 모델링
a. 미국 내 신학교에 문화적 민감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교과 과정 개발 요청
b. 1세와 2세를 교육,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문서 발행, 배포
c. 복수 강사들이 2세와 1세의 이해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강의, 멘토, 쌍방간의 대화가 가능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예: 2박 3일 간의 멘토링 수련회)
3. 어떻게 침묵의 탈출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
a. 예방 접근: 교회와 가정이 교육의 주체로서 동반 사역할 수 있는 교회 교과 과정 개발
b. 치료: 캠퍼스 사역 보조? 고등학교 졸업 이후 대학 과정 및 직후 교회를 떠나는 수치가 90%인 것을 감안할 때, 캠퍼스 교회 사역은 절대적 필요 사역이다. 그러기에 교회들이 캠퍼스 사역을 돕기 위하여 “캠퍼스 입양 사역” 등의 후원 운동을 조속한 시일 내 조직 실시해야 한다.
Ⅲ. 결론
1. 금번 포럼에서 언급된 사역 제안들이 가능한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수 있기를 권면한다.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ction plans suggested by this forum should be implemented in a near future.
2. 이런 연구 사역이 더욱 활성화 되어 교회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함으로 교회로 하여금 지역을 섬기는 일에 더욱 힘쓰게 한다. Continue the research ministry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to churches so that it could help Korean-American churches to better serve the community.
제2회) 2세 목회 테이블 참가자: 민 청, 정대성, 박영배, 노승환 목사
감사 및 바람: 서베이를 통한 분명한 자료를 근거로 이민교회의 본질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사실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 이런 사역이 더욱 활성화되어 이민목회가 분명한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실제적 차원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민교회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의 정확성, 보다 세밀한 통계의 유형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이민신학연구소가 이런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기관으로 발전, 성숙해 나가기를 기도한다.
We thank for this opportunity to look at Korean-American immigrant churches with tangible statistics. We pray that this kind of research work will continue to provide solid data to help Korean-American churches so that they could provide specific services that will bring benefits to people and to the community. We know that this kind of research work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 credibility of the statistics, it is vitally important to have them categorized and analyzed in scientific manner so that it could be used in ministry with certainty. We pray that KAIT will continue to grow to serve the community.
Ⅰ. 주요 문제들
1. 1세가 보는 2세의 문제
a. 소명의식 부족: 하지만 소명에 대한 분명한 정의가 없다. 1세들은 사역이 소명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2세들은 가정이 사역에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b. 대화와 이해의 문제: 서로가 대화를 위하여 시도한다고 생각하지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c. 문화적 이해 차이로 인한 갈등: 과연 문화의 ‘정석’이 있는가?
d. 평신도가 생각하는 2세의 문제: 1세가 생각하는 문제와 유사하다. 헌신, 사랑이 평신도 지도자들이 바라는 2세 지도자의 모습이다.
2. 2세가 보는 2세의 문제
a. 사역자들의 소명 부재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평신도들에게도 합당한 교회론의 부재로 인해 소명의식이 부재한 경우가 많다. (교회에 대한 주인의식 부재)
b. 2세 지도자들 안의 비전의 부재: 비전이 부재하는 이유는 많은 경우 2세 사역자들은 한인 1세로부터 사역에 대한 비전을 배우고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민교회 상황과 전혀 상관이 없는 백인 교계 지도자들을 통하여 사역 모델을 배우기 때문이다.
3. 2세가 보는 1세의 문제
a. 문화: 2세들은 1세들이 문화에 대해 권위적 자세를 보인다고 응답했다. 2세들이 정말 미국 문화를 이해하고 있는가는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2세의 문화는 결코 미국 문화라고 할 수 없다. 미국 내 2세 한인의 독특한 문화라고 해야 한다.
b. 2세들을 교회 안에서 성인으로 정당한 대우를 하지 않는 자세
4. 침묵의 탈출 (조용한 이탈)
a. “침묵의 탈출”은 한인교회 안에 독특한 문제가 아니라, 미국교회 안에서도 보편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일례로 GROW 컨퍼런스에서 소개된 바에 의하며 미국교회 안에서도 80%의 주일 학교 출석 학생들이 대학교 이후 교회를 떠나고 있다.
b. 침묵의 탈출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 아래를 확인해야 한다.
1) 교회를 떠났다가 다시 교회로 돌아오는 사람들에 대한 통계 파악
2) 미국 내 청장년 인구에 대한 정확한 통계 부족
3) 미국교회를 출석하는 청장년에 대한 통계 부재
c. 이민교회는 80% 교회를 떠나는 청장년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d. 교회 교육 시스템을 다시 시대에 맞게 재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스트모더니즘을 감안한 새로운 교회 교육 커리큘럼 제작이 중요하다.
e. 고등학교 이후 교회를 떠나는 통계를 보면, 이들이 대학 생활 중에 교회를 떠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게 된다. 어떻게 캠퍼스 사역을 활성화 하여 이들을 도울 수 있을까?
5. 이민목회 안에서 영어목회의 미래
a. 아래에 소개된 기존의 여러가지 모델을 서로 인정했다.
1) 영어부가 재정적으로 도움을 받되 행정적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
2) 영어부와 한어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사역하되 건물과 사역을 공유하며 서로 돕는 모델
3) 한인들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4) 아시안들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5) 다인종을 사역 대상으로 하는 영어 독립교회
6) 한인 2세나, 다른 인종들을 섬기는 대형교회
7) 캠퍼스 교회
b. 한 모델이 모든 교회에 다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교회의 특성을 살려서 유연하게 대처할 뿐 아니라, 새로운 모델도 필요함도 인식한다.
c. 시스템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시스템 안에서 서로를 섬기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Ⅱ. 대안들
1. 세대간의 차이를 인정하되 함께 대화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대화를 시도한다. 서로를 배려하는 장을 제시한다.
Recognize th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To achieve this end we need to provide places and times to have both sides come to engage in communication to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2. 지도자 모델링
a. 미국 내 신학교에 문화적 민감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교과 과정 개발 요청
b. 1세와 2세를 교육,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문서 발행, 배포
c. 복수 강사들이 2세와 1세의 이해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강의, 멘토, 쌍방간의 대화가 가능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예: 2박 3일 간의 멘토링 수련회)
3. 어떻게 침묵의 탈출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
a. 예방 접근: 교회와 가정이 교육의 주체로서 동반 사역할 수 있는 교회 교과 과정 개발
b. 치료: 캠퍼스 사역 보조? 고등학교 졸업 이후 대학 과정 및 직후 교회를 떠나는 수치가 90%인 것을 감안할 때, 캠퍼스 교회 사역은 절대적 필요 사역이다. 그러기에 교회들이 캠퍼스 사역을 돕기 위하여 “캠퍼스 입양 사역” 등의 후원 운동을 조속한 시일 내 조직 실시해야 한다.
Ⅲ. 결론
1. 금번 포럼에서 언급된 사역 제안들이 가능한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수 있기를 권면한다.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ction plans suggested by this forum should be implemented in a near future.
2. 이런 연구 사역이 더욱 활성화 되어 교회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함으로 교회로 하여금 지역을 섬기는 일에 더욱 힘쓰게 한다. Continue the research ministry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to churches so that it could help Korean-American churches to better serve the community.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