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즉시 실천함으로>
중국 당나라의 한유(韓愈,768~824)는 과거시험(科擧試驗)을 치루기 위해 열심히 준비했다. 당시의 과거시험제도는 두 번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격(合格)이 되는 것이었다. 1차 시험은 예부(禮部)에서 준비한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1차에 합격하면 2차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2차 시험을 위해 시문(詩文)을 준비해 이부(吏部)에서 위촉(委囑)한 시험관에게 미리 제출하여 그 역량(力量)에 따라 2차의 합격여부(合格與否)를 가린다.
한유는 25세에 예부에서 준비한 1차 시험에 합격했으나 이부에서 준비한 2차 시험에는 몇 번을 응시해도 불합격이 되는 것이다. 이때의 심정을 담아 응과목시여인서(應科目時與人書)라는 제목으로 과거에 응함에 있어 시험관에게 띄우는 편지를 쓰게 되며 이 후 이 글은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산문선집(散文選集)인 《문장궤범(文章軌範)》에 소개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다.
편지의 내용 중에 ‘기궁이운전지개(其窮而運轉之蓋) 일거수일투족지노야(一擧手一投足之勞也; 힘이 있는 그대가 나를 궁한 처지에서 옮겨주는 것은 손이나 발을 잠깐 움직이는 것과 같은 손쉬운 노력에 지나지 않는다)’라는 글을 쓰며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one's every move)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다.
“사람이 손을 한 번 들어 올리고 발을 한 번 옮기는 일과 같이 당신의 작은 수고로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로 나를 궁(窮)한 처지에서 부(富)한 환경으로 바꿔 줄 수 있으니 나를 합격시켜 주시오”라는 자신의 소망을 시험관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한유는 이후 과거에 합격하여 중국 당나라의 문학가(文學家) 겸 사상가(思想家) 되었고 산문의 문체개혁(文體改革)과 함께 시에 있어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등 많은 문학상의 공적을 세웠다. 또한 당나라의 유종원(柳宗元), 송나라의 구양수(歐陽修), 소순(蘇洵), 소식(蘇軾), 소철(蘇轍), 증공(曾鞏), 왕안석(王安石)등과 함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로 일컫는 8명의 산문작가(散文作家) 중 한 사람이 되었다.
한유가 시험관에게 쓴 편지에서의 일거수일투족 즉, 손을 한 번 들어 올리고 발을 한 번 옮기는 일이라는 것은 약간의 수고로도 할 수 있는 쉬운 일, 또는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는 뜻이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이와 같은 손쉬운 일이라는 의미보다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행동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으며 감시라는 단어를 합해서 사용하면 강한 부정적(否定的)인 의미로 해석되게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 가운데 자신의 작은 수고로 남을 빈궁(貧窮)의 자리에서 부요(富饒)한 자리로, 낮은 자리에서 높은 자리로, 죽음의 자리에서 생명의 자리로, 옮겨 앉게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즉시 실천함으로 직무유기(職務遺棄;이유 없이 자신의 일을 하지 않는 것)하지 아니하고 이웃을 위해 수고 할 때 하나님이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오늘날 크고 작은 범죄사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서 제일 먼저 확보하는 것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에 찍힌 동영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우리의 일상을 지켜보는 CCTV가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 비해 선한 일에는 행동반경이 자유로운 반면, 악한 일에는 행동반경(行動半徑)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범죄예방을 위해 설치해 놓은 CCTV가 매 시간 나를 지켜보는 것과 같이 하나님은 우리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찰(監察,inspection)하신다. 하나님이 지켜보고 계신 중에 나의 손과 발, 일거수일투족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까?
“여호와의 눈은 어디서든지 악인과 선인을 감찰하시느니라.”(잠 15:3)
중국 당나라의 한유(韓愈,768~824)는 과거시험(科擧試驗)을 치루기 위해 열심히 준비했다. 당시의 과거시험제도는 두 번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격(合格)이 되는 것이었다. 1차 시험은 예부(禮部)에서 준비한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1차에 합격하면 2차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2차 시험을 위해 시문(詩文)을 준비해 이부(吏部)에서 위촉(委囑)한 시험관에게 미리 제출하여 그 역량(力量)에 따라 2차의 합격여부(合格與否)를 가린다.
한유는 25세에 예부에서 준비한 1차 시험에 합격했으나 이부에서 준비한 2차 시험에는 몇 번을 응시해도 불합격이 되는 것이다. 이때의 심정을 담아 응과목시여인서(應科目時與人書)라는 제목으로 과거에 응함에 있어 시험관에게 띄우는 편지를 쓰게 되며 이 후 이 글은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산문선집(散文選集)인 《문장궤범(文章軌範)》에 소개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다.
편지의 내용 중에 ‘기궁이운전지개(其窮而運轉之蓋) 일거수일투족지노야(一擧手一投足之勞也; 힘이 있는 그대가 나를 궁한 처지에서 옮겨주는 것은 손이나 발을 잠깐 움직이는 것과 같은 손쉬운 노력에 지나지 않는다)’라는 글을 쓰며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one's every move)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다.
“사람이 손을 한 번 들어 올리고 발을 한 번 옮기는 일과 같이 당신의 작은 수고로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로 나를 궁(窮)한 처지에서 부(富)한 환경으로 바꿔 줄 수 있으니 나를 합격시켜 주시오”라는 자신의 소망을 시험관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한유는 이후 과거에 합격하여 중국 당나라의 문학가(文學家) 겸 사상가(思想家) 되었고 산문의 문체개혁(文體改革)과 함께 시에 있어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등 많은 문학상의 공적을 세웠다. 또한 당나라의 유종원(柳宗元), 송나라의 구양수(歐陽修), 소순(蘇洵), 소식(蘇軾), 소철(蘇轍), 증공(曾鞏), 왕안석(王安石)등과 함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로 일컫는 8명의 산문작가(散文作家) 중 한 사람이 되었다.
한유가 시험관에게 쓴 편지에서의 일거수일투족 즉, 손을 한 번 들어 올리고 발을 한 번 옮기는 일이라는 것은 약간의 수고로도 할 수 있는 쉬운 일, 또는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는 뜻이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이와 같은 손쉬운 일이라는 의미보다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행동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으며 감시라는 단어를 합해서 사용하면 강한 부정적(否定的)인 의미로 해석되게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 가운데 자신의 작은 수고로 남을 빈궁(貧窮)의 자리에서 부요(富饒)한 자리로, 낮은 자리에서 높은 자리로, 죽음의 자리에서 생명의 자리로, 옮겨 앉게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즉시 실천함으로 직무유기(職務遺棄;이유 없이 자신의 일을 하지 않는 것)하지 아니하고 이웃을 위해 수고 할 때 하나님이 기억하고 계실 것이다.
오늘날 크고 작은 범죄사고가 발생했을 때에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서 제일 먼저 확보하는 것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에 찍힌 동영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우리의 일상을 지켜보는 CCTV가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 비해 선한 일에는 행동반경이 자유로운 반면, 악한 일에는 행동반경(行動半徑)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범죄예방을 위해 설치해 놓은 CCTV가 매 시간 나를 지켜보는 것과 같이 하나님은 우리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찰(監察,inspection)하신다. 하나님이 지켜보고 계신 중에 나의 손과 발, 일거수일투족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까?
“여호와의 눈은 어디서든지 악인과 선인을 감찰하시느니라.”(잠 15:3)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