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본지는 지난 4월부터 6월에 걸쳐 총 10명의 신학 전공 유학생들을 만나 <목회적 영성과 신학적 지성이 만나는 그곳에서>라는 시리즈 인터뷰를 통해 이민교회 목회와 신학에 관해 논의해 왔습니다. 이 인터뷰를 통해 목회적 영성과 신학적 지성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모색하고자 했으며 또 양자 간에 어떤 점에 있어서 대화가 부족하며 증진되어야 하는지도 함께 고민했습니다.

이번 시리즈 인터뷰의 가장 주안점은 역시 신학교에서 신학훈련을 받으면서 동시에 시카고 지역 한인교회에서 목회훈련을 받고 있는 이들을 인터뷰 해 신학과 목회 두가지를 함께 논의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인터뷰 기간 가운데 현장에서 목회를 하는 많은 독자들께서 매우 긍정적인 격려와 함께 조언을 해 주신 것에 감사합니다. 또 이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담임목회를 하고 있는 목회자와의 의견 교환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의견을 제안하신 분들이 많았기에 본지는 지난 7월 23일 나일스의 한 식당에서 “목회와 신학이 만나는 미래 이민목회를 말한다”는 주제로 4시간에 걸쳐 포럼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 포럼을 위해 많은 목사님들께서 시간을 내어 참여해 주신 것과 특히 김광태 목사님께서 신학생들을 격려하는 의미로 식사를 대접해 주신 것에 감사를 아울러 드립니다.

본지는 포럼의 내용을 3차례에 걸쳐 요약, 정리해 보도합니다.

주제: 목회와 신학이 만나는 미래 이민목회를 말한다
진행자: 백영민 목사(글렌브룩교회, 게렛신학교 조직신학 Ph.D.)
발제자1: 김진양 목사(시카고루터란신학교 구약학 Ph.D. 과정)
발제자2: 신동수 목사(휫튼대학교 조직신학 Ph.D. 과정)
코멘트1: 서창권 목사(시카고한인교회, 비블리컬신학교 신약학 M.A.)
코멘트2: 김광태 목사(시카고한인제일연합감리교회, 웨슬리안신학교 D.Min. 과정)

<제2 발제와 코멘트>

▲신동수 목사
신동수 목사: 목회자들에게 신학이 부족하다는 진단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리고 무너져가는 교회와 목회자들에 대한 불신은 목회자들의 신학 부재 현상, 신학 없는 목회의 열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브루스 월키에 의하면 “신학은 우리가 하나님을 이해하고 믿고 행동하는 방식”이기에 신학은 신학교의 대학자부터 시골의 이름없는 촌부에 이르기까지 성경을 읽으며 주의 뜻을 구하는 모든 사람은 신학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작금의 목회자들에게 신학이 없다는 비판은 정확한 진단이 아니다. 그렇다면 현대의 목회자들이 왜 신학 부재의 목회를 하고 있다고 비판받는가? 그것은 철저한 신학적 성찰이 부재하다는 말이다. 우리는 종교개혁적 신학적 전통, 고백, 통찰에 기초하지 않고 현실적인 조건이나 자신의 꿈, 외적 비전에 근거해 목회하지 않았는지 반성해 보아야 한다.

우리 목회자들이 어떻게 하면 철저한 신학의 세례를 받은 목회를 감당할 수 있을까? 신학은 신학교나 책에만 있는 탁상공론이 아니다. 신학은 교회와 목회의 현장에 뿌리박은 실체이며 목회의 도구다. 어거스틴, 칼빈, 조나단 에드워즈, 챨스 스펄전, 존 파이퍼 등의 목회자들은 목회의 현장에서 신학을 구성하고 그 신학을 목회에 반영한 대신학자요, 동시에 목회자들이었다.

결국 교회사 속에서 나타난 신학의 문제는 그것이 어떤 신학을 하느냐에 있지 않고 그것이 바른 신학(orthodox)인가, 나쁜 신학(heterodox)의 문제였다. 이를 위해 목회자들은 성경과, 성경 해석의 전통, 공동체라는 점에서 신학적 목회를 해야 한다. 성경 그 자체가 모든 사고와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하고, 교회사 가운데 나타난 전통의 맥락 안에서 성경을 바로 보고 해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성경과 바른 해석의 전통이 교회라는 공동체의 상황 안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목회자가 목회 가운데 직면하게 되는 많은 문제들에 있어서 성경이 말하는 바를 바로 알고, 즉 바른 신학을 갖고 그것을 목회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신학적 목회의 과정을 정리한다면, 목회자는 그 어떠한 목회적 판단도, 자의적이거나, 편의에 따르지 않고, 성경의 충실한 규범을 따라, 내가 속한 전통의 해석의 틀 가운데 반성하고, 현재 나의 공동체의 실제적 상황을 고려한 총체적인 신학적 성찰을 통하여 판단한다. 그러나 한인교회의 경우, 이 3가지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성경적으로 철저하지 않고, 해석도 부적절한데 이런 판단이 공동체에 적용되는 경우를 많이 봤다.

신학적 목회에 있어서 철저한 신학적 통찰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는 이 고통스러운 목회적 판단의 길고도 힘든 여정을 철저히 따라 가야만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어떤 사안이든지 일관된 신학적 성찰을 거치라! 목회 현장이 최고의 신학교이다. 둘째, 신학적 통찰을 도와줄 책이나, 멘토, 혹은 모임을 만들어서 끊임없이 배우라. 셋째, 이러한 신학적 목회들을 책으로 쓰라! 그 적실성과 적법성을 오는 세대의 교회에게 증거하고 알리라”라고 목회자들에게 제안하고 싶다.

▲김광태 목사
김광태 목사: 모든 사람이 신학자라는 말은 참 감사하고 옳은 말이다. 그러나 교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잡아 줄 이론을 정립하려면 한 사람이 생각한 것이 아니라 이론화되는 과정의 보편성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신학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교회의 자기이해다. 하나님은 그 시대마다 일으키고자 하시는 일이 있다. 그런 면에서 교회들이 시대에 맞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 이해가 필요하며 또 그것을 신학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새로운 신학이 생기는 현상은 교회론이 바뀌었다는 이야기로 볼 수 있다. 이는 우리 교회가 지향해야 할 목표점이 바뀌었다는 뜻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대로 성령의 역사가 필요하다. 이미 정립된 교회론을 자신의 목회에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경우에든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성령의 역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목회자들은 우리 이민교회가 과연 성령에 의존해 제대로 지도를 받으며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끊임없이 점검해야 한다. 신동수 목사님의 말처럼 교회가 성경, 전통, 공동체 안에서 끊임없이 신학적 성찰을 기울이는 것이야말로 목회자들이 가져야 할 최우선의 태도이며 동시에 신학적 목회를 위한 기초이다. 나는 여기에 더해 말씀과 삶에 성령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첨가하고 싶다.

▲서창권 목사
서창권 목사: 신 목사님의 발제에 100% 동의한다. 목회자들이 지적받는 ‘신학 부재’가 무엇인지 정확히 말씀해 주셨다. 저는 목회자들에게 신학이 없다는 말, 특히 이민교회 목회자들이 신학 없는 목회를 하고 있다는 말이 ‘이민교회가 필요로 하는 신학, 이민교회를 위한 신학’의 부재라고 정의하고 싶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신 목사님이 “무너져 가는 교회의 문제는 신학 없는 목회의 열매”라고 했는데 그점은 부분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그것이 과연 정확한 표현인지는 되묻고 싶다. 교회가 지탄을 받는 것 중에 하나가 교회 안에서 발생하는 갈등 문제인데 그것이 과연 신학의 문제인가? 아니면 목회자 혹은 평신도 성격 문제 때문인가? 나는 교회에 발생하는 많은 문제가 신학 부재 때문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죄성 때문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더 옳다고 생각한다.

이민교회의 신학 부재에 더해 바른 신학이 없다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번영신학, 성공주의에 물든 설교와 목회가 이 시대의 문제다. 그러나 이것만이 문제가 아니라 동시에 목회자의 헌신 결여, 이민 목회에 대한 목회자들의 이해 부족 등도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신 목사님의 의견 가운데 성경, 전통, 공동체라는 과정은 옳은 말이나 이것이 상황윤리에 빠질 수 있지 않나 하는 우려도 함께 제기해 본다.

저는 신학하는 분들에게 “바른 신학을 확산시키기 위해 각 교단 교파별로 가진 넓은 신학적 스펙트럼을 통괄하는 합의점을 만들어 주길” 부탁드린다. 참 다행인 것은 우리 시대는 복음주의가 대세라는 점이지만 사실 대부분의 교회, 대부분의 교단이 속한 이 복음주의에 대한 정확한 신학적 정의조차 아직 내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신학자들이 복음주의 교회들을 위한 교본을 만들어 주면 좋겠다. 마치 종교개혁 시대에 기독교 강요 한권이면 모든 목회자들이 교단을 초월해 목회의 문제를 해결 받았듯이, 이 시대도 목회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신학 참고서 같은 교본이 만들어지면 좋겠다.

신동수 목사: 어거스틴이나 칼빈 등 일생의 역작을 남긴 신학자들은 모두 목회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책을 저술한 목회자들이었다. 저는 이민목회를 하시는 분들이 이런 일생의 역작을 하나씩 남겨 주시면 이것이 후세에 교본이 될 수 있고 이민신학을 정립하는 기초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본다. 저는 신학자들보다 오히려 10년, 20년씩 담임목회를 하면서 이민교회의 문제를 아는 분들이 쓰신 저술이 이민신학의 더욱 소중한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