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스라엘이 잇따라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했다.
유네스코(UNESCO)는 1945년 2차대전이 끝난 후, 세계평화에 대한 열망에 따라 유엔과 동시에 설립된 유엔의 교육·문화 부문의 산하 기구다.
그러나 인류평화 증진과 보편가치지 제고라는 목표와 달리 유네스코는 최근 몇 년간 각국의 상반된 역사 해석과 정치적 입장에 따른 치열한 물밑 싸움으로 외교의 '전쟁터'와 같았다.
갈등의 축으로 부상한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은 총 1,073개가 등재됐다.
자연유산에 관해서는 국가 간 이견이 별로 없으나, 문화유산에서는 입장이 정면으로 부딪치기 쉽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해당 유산이 인류 전반에 통용되는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녀야 한다. 그러나 각국이 경험한 역사와 정치적 입장에 따라 이 보편가치에 대한 해석이 첨예하게 엇갈린 것이다.
유네스코는 최근 몇 년간 특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반목으로 시끄러웠다. 미국은 여러가지 탈퇴의 이유를 들었으나, 유네스코가 역사 유산과 관련된 문제에서 혈맹국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우호적 입장을 보여왔다고 주장했다.
유네스코는 작년 이스라엘의 강한 반발에도 동예루살렘에 있는 이슬람과 유대교 공동성지 관리 문제에서 팔레스타인의 손을 들어줬고, 지난 7월엔 요르단 강 서안 헤브론 구시가지를 이스라엘이 아닌 팔레스타인의 유산으로 등재했다.
군함도 등 조선인 강제노역의 한이 서린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한일간의 입장차가 뚜렸했다.
한국은 당시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에 반대해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시대적 상황과 집권 세력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유네스코의 탈퇴와 재가입을 반복해왔다. 미국 역시 탈퇴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유네스코는 당분간 미국과 이스라엘의 탈퇴 문제에 대응할 여력이 없다. 불가리아 출신 현 이리나 보코바 사무총장의 임기가 11월로 끝나면서 사실상 '레임덕'에 빠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