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동해 표기'의 국제 표준 채택 여부를 결정하는 제18회 국제수로기구(IHO) 총회가 23일(현지시간) 모나코에서 개막됐다.

동해 표기는 이번 총회에서 1929년 이후 83년 만에 일본해에 선점당했던 국제 표준 지위 회복에 도전한다.

IHO는 이번 총회에서 1953년 3판 발행 이후 개정이 지연되고 있는 국제 표준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개정을 위해 동해 표기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릴 계획이다. S23은 세계 바다 이름을 결정하는 국제표준 지침서다.

동해 표기 이슈는 개막 첫날부터 실무그룹에서 제출된 보고서 검토와 당사국인 한국과 일본의 입장 발표가 이어지면서 총회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한국 대표단은 이날 S23 신판 개정을 통해 동해(East Sea)를 일본해(Sea of Japan)와 병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석대표인 외교통상부 백지아 국제기구국장은 "국가 간 분쟁으로 지명 합의가 안 되면 함께 적는다는 IHO와 유엔의 기존 규정에 따라 동해 표기 병기가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북한 대표단도 동해 표기의 역사적 정당성을 주장하며 우리 측 입장을 지지했다.

이에 대해 일본 대표단은 국제 표준으로 통용되는 일본해 지명을 개정판에서 고칠 이유가 없다는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동해 표기 안건은 25일까지 해도집 개정 워킹그룹 회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으로 채택 여부는 총회 의결을 거쳐야 확정된다.

그러나 한일 양국의 의견 대립이 첨예해 표결 처리까지는 못 가고 다음 총회로 넘어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다수 회원국들은 한국의 병기 주장을 심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표결보다는 당사국의 합의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측도 개정판에 동해 병기가 여의치 않으면 현행 일본해 단독 표기 개정을 저지해 국제표준으로 새로 용인되는 것만큼은 막는다는 계획이다.

동해 표기 문제는 2002년과 2007년 총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논의됐으나 남ㆍ북한과 일본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IHO는 일제 시절인 1929년 S23에 동해를 일본해로 첫 공식 표기했으며, 1953년 발간된 S23 3판에서도 이를 유지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07년 총회에서는 일본해 부분을 빈칸으로 남기거나 이를 제외한 해도집 개정판 발간이 제의됐으나 일본의 반발로 실행되지 못했다.

한국과 일본의 첨예한 대립으로 S23 개정이 번번이 무산되자 IHO는 2009년부터 실무그룹을 구성해 합의안 도출을 추진했다.

실무그룹 회의에서는 호주 등 상당수 국가가 한국의 '동해와 일본해 병기'안을 지지했지만, 총회에는 양측의 입장만을 나열한 보고서가 제출됐다.

알렉산드로 마라토스 의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늘어나는 해양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회원국 및 국제무대의 긴밀한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독도수호국제연대는 총회장 주변에서 집회를 열고 국제표준 해도집에 동해 표기를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