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총 대표회장 직무대행 김용호 변호사가 장고(長考) 끝에 둔 한 수(手)는 ‘청문회’였다. 그는 5일 한기총 회원들에게 발송한 서신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가 이 서신을 발송한 것은 법원에서 직무대행으로 선임된지 약 1주일 만이다. 장문으로 된 이 서신을 분석해 보면 김 직무대행의 이번 한기총 사태에 대한 몇 가지 원칙과 의지를 엿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전개 방향을 어느 정도 관측해볼 수 있다.

먼저 김 직무대행은 이번 서신을 통해 소극적·피동적이 아닌 적극적·능동적으로 한기총 사태에 개입할 의지를 밝혔다. 그저 총회 사회를 보는 정도가 아니라, 순차적인 청문을 통해 각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통해 현 사태의 해법을 찾겠다는 것이다. 특히 청문회라는 방식을 택한 것은 변호사다운 발상으로, 공정하고 중립적·객관적으로 판단하겠다는 뜻을 시사하고 있다.

두번째는 시간에 쫓겨 졸속으로 일을 처리하지는 않겠다는 의지다. 청문 기간만 해도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약 한 달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 기간 동안 나온 다양한 의견을 검토하고 사실 확인도 거친 뒤 어떤 결단을 내릴 때까지는 얼마나 시간이 더 걸릴지 알 수 없다. 길자연 목사측은 하루 빨리 임시총회를 열어 다시 인준을 받기를 바라고 있고 또 그렇게 될 것이라고 공공연히 밝히기도 했으나, 당장 그렇게 흘러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세번째는 잘못된 관행은 단호히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평신도로서 목회자들의 눈치를 보면서 어설프게 일처리를 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고름이 살 되는 법은 없다”, “세상 문화에서는 용인되는 수준의 관행이었더라도, 믿음의 공동체 안에서는 곧 너의 지체가 범죄케 하거든 찍어버리라는 말씀(마가복음 9:43)대로 준행하여야 한다” 등의 표현이 그의 이같은 의지를 반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단을 지양하며 가급적 화합과 일치를 이끌어내겠다는 의지 또한 보여줬다. 특히 그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한기총 탈퇴나 해체 주장에 대해 “그 대안이 제시되지 않는 한, 또다른 분열로서 자신의 의로움이 누군가에게 이용당할 염려가 크다”고 선을 그었다.

안타깝게도 한국 기독교를 대표하는 기구인 한기총이 내부의 분란과 불법행위 및 잘못된 관행들로 인해 세상 법정의 판단을 받고, 그곳에서 세운 직무대행에 의해 해결책을 기다리는 입장이 됐다.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 된 만큼, 모든 한국교회 관계자들은 이 일이 한기총과 한국교회의 개혁과 거듭남의 계기가 되길 바라고 있다. 김용호 직무대행의 결단과 의지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된다.